인도, '영토분쟁' 중에 경제 보복 확대…"韓기업에 기회"

인도 정부, 중국산 앱 금지…공공입찰 참여 제한
코트라 "우리 기업, 협력 기회 발굴해야"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도가 영토 갈등을 빚고 있는 중국에 경제 보복의 수위를 높이면서 우리 기업에 기회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6일 코트라 인도 뭄바이무역관이 내놓은 '인도-중국 국경 충돌이 가져온 인도 경제로의 파급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월 인도와 중국 간 국경 갈등이 터진 이후 인도 정부는 중국에 대한 경제적 압박 수위를 높였다.

 

인도 정부는 우선 틱톡, 캠스캐너 등 중국산 애플리케이션 59개를 자국민 개인정보 보호 명목으로 금지했다. 이어 우회 애플리케이션 47개를 추가로 차단했다. 현지 합작법인이 내놓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재 확대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공공조달 포털에 등록된 모든 판매자가 유통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는 모든 제품에 원산지를 표기하도록 했다. 주요 목적은 자국 산업의 활성화이지만, 인도 내 반중 심리를 이용해 중국산 제품 유입을 차단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전자상거래 기업의 원산지 표기 규정 시행도 촉구했다.

 

인도 정부는 중국 등으로부터의 수입을 줄이고 자국 제조업을 육성하기 위해 컬러TV 수입 가능 여부를 기존 '제한 없음'에서 '제한'으로 변경했다. 인도 대외무역청(DGFT)은 CCTV, 셋톱박스 등을 포함한 12건의 TV 완제품 수입을 제한했다. 이에 중국을 비롯한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으로부터 제품 수입에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정부는 태양열 셀·모듈 수입에 대한 세이프가드 조치 기간을 지난 7월 30일부로 연장했다. 이와 함께 200여개 제품에 수입 관세 부과를 고려 중이고, 100여개 제품에 대해서는 인증 취득·품질 확인 과정을 강화할 예정이다.

 

인도정부는 일부 국가에 대해 정부 주관의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규정을 발의했다. 시행 대상은 인도 접경 국가로 제한했으나, 사실상 인도의 인프라 개발산업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의도다.

 

인도정부는 중국 기업에 대한 대대적인 규제와 더불어 탈(脫)중국 글로벌 기업을 인도로 유치해 글로벌 생산기지로 탈바꿈하려는 행보를 보였다.

 

코트라는 "인도 정부는 우회 수입, 중국 위탁생산 제품의 유입을 막기 위해 규제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은 이러한 인도의 전략을 인지하고, 제조업 육성 과정에서의 다양한 협력 기회를 발굴할 뿐만 아니라 향후 증가할 무역장벽에 대비해 직접 투자를 통한 인도 내 생산 전략 등에 대해 적극적인 고민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