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진유진 기자] 베트남 국회가 닌투안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위해 '메이드 인 코리아(Made in Korea)' 턴키(일괄 수주) 방식 도입을 논의했다. 최근 전력난을 겪고 있는 베트남은 청정에너지 개발의 한계를 인식하고, 보류했던 원전 건설을 다시 추진하는 분위기다.
지난 17일(현지시간) 베트남 국회는 본회의에서 닌투안 원전 건설과 관련한 정책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 의원들은 해당 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기 위해 특별 정책이 필요하다는 데 대체로 공감했다.
쩐 티 투 아인 의원은 "한국이 1970년대 첫 원전 건설 당시 턴키 방식을 도입했고, 이후 기술 자립을 거쳐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에 한국식 원전을 수출했다"며 "베트남에도 턴키 방식이 적합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방글라데시, 폴란드 등도 턴키 방식을 채택해 발전소 운영·유지보수, 연료 공급 등을 일정 기간 주요 계약업체가 담당하는 구조를 선택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베트남 국회는 닌투안 원전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국가·민간 기업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프로젝트 준공 후 5년간 운영·유지보수를 수행할 역량을 갖춘 업체를 선정해 간소화된 입찰 방식을 적용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현재 발전량 대부분을 수력·화력 발전에 의존하고 있는 베트남은 오랜 기간 전력난을 겪어왔다. 그러나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한계에 부딪히면서, 결국 안전성 논란으로 도입을 보류했던 원전 건설을 재검토하기 시작했다.
지난 2023년 5월 승인된 국가전력개발계획(PDP8)에 따라 베트남은 발전 가능 용량을 2023년 말 기준 80GW(기가와트)에서 오는 2030년까지 150GW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과 베트남 간 원전 협력도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 최영삼 주베트남 한국대사는 지난 11일(현지시간) 하노이에서 응우옌 홍 디엔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만나 △베트남 PDP8 △원전 투자자 선정 방식 △한국 원전 기술 유형 △기술 이전 △자금 조달 △원전 인재 양성 등을 논의했다.
디엔 장관은 "베트남 당과 지도부가 닌투안 원전 사업 재개에 합의했고, 지속적인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를 고려할 때 원전 도입은 시기적절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디엔 장관을 포함한 베트남 산업무역부 대표단은 이달 말 우리나라를 찾아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력공사 관계자와 만날 예정이다. 한국의 원전 개발 경험과 기술, 투자 모델, 정책 수립 과정을 살펴보고, 베트남에 적용할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