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패스트푸드 체인점 웬디스 운영사 스타보드그룹(Starboard Group)이 파산 절차를 밟습니다. 스타보드그룹은 14일 미국 연방법원에 파산보호 신청을 제출했는데요. 챕터 11로 불리는 파산보호는 한국의 법정관리와 유사하며 해당 기업의 채무 이행을 일시 중지하고 자…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사우디아라비아 물류·운송 업체에 수소전기트럭 모델 엑시언트를 500대 가량 대량 공급했습니다. 총중량 28t급인 엑시언트는 완충 시 약 570㎞를 주행할 수 있는데요. 같은 무게의 엑시언트 디젤보다 우수한 힘을 발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엑시언트에 적용된…
[더구루=김은비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SK온에 이어 미국 공장 인력을 줄이고 있습니다. 미시간 주 지역 언론 홀랜드 센티넬은 13일 LG에너지솔루션이 홀랜드 공장 생산직원 170명을 해고하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SK 배터리 아메리카도 최근 조지아 주 공장 근로자를 일시적으로 무급 휴직 처…
[더구루=김은비 기자] 전세계적인 억만장자 중 하나인 론 배런이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의 상장 시점을 오는 2027년으로 전망했습니다. 론 배런은 최근 CNBC와 인터뷰에서 “스페이스X가 오는 2027년 분사해 상장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기업 가치는 현재 1500억 달러(약 198조원)에서 두 배 증가…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가 약 6600억원 규모 신규 자금조달을 추진합니다. 아이온큐는 최대 5억 달러 규모의 믹스드 셸프 오퍼링을 실시할 예정인데요. 셸프 오퍼링이란 일반적인 유상증자 방식인 다이렉트 오퍼링과 달리 한 번에 주식을 발행해 시장에 팔지 않고, 원…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기업들이 전문 인력과 새로운 기술을 찾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는 반도체의 AI 훈련 및 추론 성능을 끌어올리는 텐서 코어의 기능을 끌어올릴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엔비디아는 1세대 볼타 텐서 코어를 시작으로 AI 반도…
[더구루=김은비 기자] 포스코홀딩스가 프랑스 '베올리아'의 친환경 기술을 도입해 국내 수산화리튬 공장 생산성을 개선합니다. 베올리아의 자회사 '베올리아 워터 테크놀로지’가 포스코홀딩스의 리튬 생산법인 '포스코리튬솔루션'에 통합 리튬 생산 시스템을 설계·납품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탄산…
[더구루=김은비 기자] 내년 낸드플래시 시장이 최대 수요를 넘어 공급 부족 현상까지 겪을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대만 낸드플래시 컨트롤 IC 제조업체 피슨의 CEO 판 젠청은 “내년 낸드플래시 시장이 공급 부족 국면에 직면할 수도 있다”며 “최근 주요 제조 업체의 공급량 축소와 다운스트림…
[더구루=김은비 기자] SK텔레콤의 인공지능(AI) 반도체 자회사 '사피온(Sapeon)'이 사우디아라비아 IT·보안 솔루션 기업과 손을 잡았습니다. 와타드 에너지 앤 커뮤니케이션은 8일(현지시간) 사피온과 AI 혁신 가속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스마트팩토리, 데이터센터, 클라우드컴…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와 테슬라는 리튬인산철(LFP)배터리로 차량의 가격을 차별화하고 상품성을 강화하고 있는 반면 르노는 LFP배터리 사용을 포기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용 LFP 배터리를 자체 개발해 중국산 배터리 의존도를 낮춘다는 계획을 밝힌바 있습니다. 이에 올해부터 국내 배…
[더구루=김은비 기자] 삼성전자가 차세대 GPU(그래픽 처리장치)를 개발 중인 기업에 투자를 실시했습니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해외 투자 전문 자회사 삼성넥스트는 이스라엘 GPU 개발 스타트업 인곤야마(Ingonyama)의 2000만 달러(약 260억원) 규모 시드 펀딩 라운드에 주요…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가 최근 접이식 스티어링휠(foldable steering wheel)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습니다. 해당 특허는 스티어링휠 림을 선형으로 접거나 펼쳐지도록 만들어 운전자가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극대화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스티어링휠을 위로 이동시키고 운전석을 뒤로 미…
[더구루=홍성일 기자] 호주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인공지능 산업(AI산업)을 성장시키고 있다. 호주 AI산업 성장에 국내 기업들의 협력 확대도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코트라 멜버른무역관은 '호주의 인공지능 혁신: 미래 성장을 위한 전략적 투자' 보고서를 통해 호주 AI산업을 소개했다. 호주 정부는 2018년 5월 AI기술의 윤리적이고 안전한 사용을 위한 청사진을 공개하고 2990만 호주 달러의 예산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올해 5월에는 자국 내 AI기술 적용을 촉진하기 위해 1억120만 호주 달러를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호주 정부는 적극적인 투자로 2030년까지 AI분야에서 120만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AI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가 중요하다고 판단해 2019년 5월 '윤리 프레임워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를 통해 △공공의 이익 창출 △안정성 △법률 및 규제 △사생활 보호 △공정성 △투명성 △경합성 △책임성 등의 AI 핵심 8원칙 발표했다. 또한 호주 기업들도 AI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CSIRO(호주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는 AI스파크를 개발해 산불 확산 예측 시스템을 만들어냈다. 이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싱가포르는 전세계에서 인공지능(AI) 산업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국가다. 싱가포르는 생성형 AI에 대해 우려보다는 기회에 중점을 두며 초기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코트라 싱가포르무역관은 6일 '싱가포르 생성형 인공지능(GenAI) 시장 동향' 보고서를 통해 싱가포르의 AI 시장 트렌드와 한국 기업과의 협력 등을 소개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생성형AI 솔루션 도입과 가속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는 최근 5년간 AI연구개발에 약 5억 싱가포르 달러를 투자하고 민간 파트너도 지속적으로 찾고 있다. 11월에는 싱가포르통화청(MAS)이 금융산업을 위한 생성형AI 활용 프레임워크 개발 프로젝트 '마인드포즈'의 1단계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스마트네이션디지털정보청은 구글 클라우드와 AI트레일블레이저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 세일즈포스에 따르면 2023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AI 준비 지수에서 싱가포르는 70.1점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기술수준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는 중국은 59.7점이었다. 싱가포르 기업들은 AI와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