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주연 기자] 삼성전자가 메타버스 플랫폼 '헬릭스'를 개발하고 있는 하이퍼소닉랩스에 투자한다는 기산데요. 관련 내용들, 홍성일 더구루 기자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1> 헬릭스가 기존 블록체인 게임과는 다른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데 어떤 건가요. <질문2> 하이…
[더구루=이주연 기자] 빗썸 인수를 추진 중인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추가 자금 조달에 나섰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홍성일 더구루 기자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1> FTX가 빗썸을 인수하려는 이유, 배경은 어떻게 되나요. <질문2> 이전 7월 기사에서 보면, JP모건 같…
[더구루=이주연 기자] 국내 디스플레이·반도체 장비 회사 '코윈디에스티'가 중국에 매각 됐다는 기산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코윈디에스티 어떤 회사인가요. <질문 2> OLED 출하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요. 대부분이…
[더구루=이주연 기자] 세원이앤씨의 OLED 광치료 패치가 미국 식품의약국 FDA의 승인을 받아 연말부터 생산된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FDA의 승인을 받았다는 게 어떤 의미 인건가요. <질문 2> 바이든 행정부가…
[더구루=이주연 기자] 삼성SDI가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의 설계를 내년에 확정하고 생산에 본격 돌입한다는 기산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4680 배터리 어떠한 장점이 있는 건가요. <질문 2> 미국 내 우리 기업의 배터리 공장…
[더구루=이주연 기자] 기아가 독일 스타트업인 앙코르와 손잡고 600조원 시장 규모의 폐배터리 사업에 나선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완성차 업체가 폐배터리 업체와 계약을 체결한 것이 이례적이라고 하는데요. <질문…
[더구루=이주연 기자] 며칠 간 방산 관련 기사들 차례대로 살펴볼텐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기사는 폴란드가 한국산 포켓포 천무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는 기사인데요. <질문 1> 우리 방산 업체들이 무기를 빠르게 공급할 수 있는 이유…
[더구루=이주연 기자] 한화큐셀 프랑스 법인 큐에너지는 프랑스 최대 규모인 66MW 규모의 수상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한다고 30일 밝혔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한화큐셀이 프랑스에서 태양광 프로젝트 4건 수주했다는 기사가 3…
[더구루=이주연 기자] 나노신소재가 우리 돈 약 663억 원을 투자해 미국 켄터키 주에 공장을 짓는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기사에서 계속해서 CNT도전재 이야기가 나오는데 CNT도전재의 뜻이 탄소나노튜브 도전재라고…
[더구루=이주연 기자] 현대로템이 모로코 정부와 K2 전차 조달 협상을 시작했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유럽에 이어서 중동시장까지 공략에 나섰는데 모로코에 구체적인 수출 규모, 금액은 어느 정도 될까요. <질문 2&g…
[더구루=이주연 기자] 삼성전자, GS그룹, 위메이드 등의 투자를 받은 가상자산 운용사 하이퍼리즘이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레이튼의 네임서비스에 베팅했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홍성일 더구루 기자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블록체인 네임서비스란 어떤건가요. 간단하게…
[더구루=이주연 기자] 이집트 정부가 한화디펜스와 공동 생산을 추진 중인 K9 자주포 수출을 위해 중동 아프리카 지역의 일부 국가들과 수출 협상을 이미 진행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2월에 이집트, 최…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산업용 레이저 전문기업 '트럼프(TRUMPF)'가 중국에 새로운 거점기지를 마련했다.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에도 아랑곳 않고 중국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트럼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중국 광동성 심천(선전)시에 신규 레이저 응용 센터를 오픈했다. 심천 사업장은 트럼프가 세계에서 9번째, 중국에서 2번째로 설립한 레이저 기술 연구개발 시설이다. 트럼프는 1923년 설립돼 100여 년의 업력을 자랑하는 유서깊은 회사다.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핵심 장치를 개발한다. 독일 자이스·프라운호퍼 IOF 연구소, 네덜란드 ASML, 벨기에 아이멕 등 1200여 개 기업·대학·연구소와 함께 'EUV 얼라이언스'에 소속돼 있다. EUV 장비에서 EUV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즈마는 진공상태에서 EUV 광원에 탄산가스를 공급하고 이를 증폭시킨 뒤 주석(Sn)과 결합해 발생된다. 트럼프는 이 과정에서 필수 소재인 탄산가스 레이저 설비를 제조한다. 트럼프는 2000년 장쑤성 소주시에 전액 출자 자회사를 설립하며 중국 시장에 첫 발을 내딛었다. 심천시와 소주시 외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텔이 이스라엘 자율주행 기업 모빌아이(Mobileye) 지분 일부를 매각한다. 신규 투자 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7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인텔은 14억8000만 달러(약 1조9300억 원)의 투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모빌아이 지분 일부를 매각할 예정이다. 매각은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가 주관한다. 모빌아이가 미국 규제 당국에 제출한 계획안을 보면 인텔은 모빌아이 주식 3500만 주를 매각하고 525만 주를 추가로 매각할 수 있는 옵션을 보유하고 있다. 인텔이 모빌아이 지분 일부를 매각하더라도 지분율은 88%에 이를 전망이다. 인텔의 모빌아이 지분 매각 계획은 투자 자금 확보 차원으로 풀이된다. 앞서 패트릭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제조 기술을 빠르게 발전시키기 위해 관련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인텔은 지난 2017년 153억 달러(약 17조5600억 원)에 모빌아이를 인수했다. 이후 모빌아이는 지난 2022년 10월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됐으며 현재까지 2배 이상 주가가 급등했다. 올해 주가 상승률은 21%에 이른다. 모빌아이는 지난 1999년 설립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