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영 에너지기업 TAQA가 GS건설의 수처리 자회사 GS이니마 인수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GS이니마 인수전이 흥행 조짐을 보이는 모습이다. 스페인 일간지 익스펜시온(Eexpansion)은 11일 TAQA가 캐나다 연기금 CDPQ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GS이니마 인수 제안서를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인수가는 약 14억 달러(약 1조8900억원) 수준으로 전해진다. 앞서 TAQA는 연초부터 스페인 에너지 기업 나투르기(Naturgy) 인수를 추진해 왔는데, 지난 6월 협상을 중단한 바 있다. 대신 GS이니마 인수로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TAQA는 2005년 아부다비 주식시장 상장과 민영화를 목적으로 설립된 국영 기업이다. 신규 프로젝트와 기존 프로젝트 인수를 통해 국내외 에너지와 수자원을 개발하는 운영사이자 투자사이다. 자체적으로 수립한 2030 전략계획을 통해 청정 에너지원 기반 전력 생산을 2030년까지 30%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수립하고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GS이니마는 글로벌 수처리 기업으로 해수담수화 기술, 하·폐수 정화시설 등을 갖췄다. GS건설은 신성장 동력 확보 차원에서 지난 20
[더구루=홍성환 기자] 대우건설이 베트남 타이빈성 신도시 개발 사업을 본격화한다. 타이빈성은 10일(현지시간) 대우건설에 끼엔장 신도시 개발사업 투자 등록 인증서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2025년부터 2035년까지 10년간 3억9000만 달러를 투자해 약 96만3000㎡ 규모 신도시를 조성하는 것이다. 타이빈성은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해안도시로, 하노이에서 110㎞, 북부 경제도시 하이퐁에서 70㎞ 거리에 있다. 2018년 경제특구로 지정돼 신흥 산업도시로 급속히 변모하고 있는 중이다. 하노이와 하이퐁 등 주요 도시와 연계되는 도로 등 산업 인프라가 잘 구축돼 있으며 대규모 항만시설과 국제공항이 가까워 발전 잠재력이 높은 곳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베트남 북부의 물류·공업 중심지인 하이퐁과 연결되는 타이빈~하이퐁 해안도로와 타이빈성을 지나는 하노이순환도로인 39번 고속도로 등이 개통되면 지역 발전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대우건설은 베트남의 하노이와 동나이성 등 다양한 지역에서 신규 도시개발사업 참여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인도네시아와 인도, 나이지리아, 캐나다 등 세계 여러 곳에서 개발 사업도 검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인프라협력 컨퍼런스(GICC) 참석차 한국을 찾은 솔로몬 퀘이너 아프리카 개발은행 부총재가 삼성물산, 대우건설, 도화엔지니어링과 연쇄 회동했다. 이번 회동에서 양측은 향후 아프리카 개발 사업과 관련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퀘이너 부총재는 10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GICC 개막식에 참석 후 삼성물산, 대우건설, 도화엔지니어링 경영진과 양자 면담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잠재적 협력 방안과 프로젝트 수행 개선, 아프리카 미래 사업 확장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퀘이너 부총재는 아프리카 인프라 개발에 대한 한국 기업들의 투자 확대를 요청하기도 했다. 30년 동안 아프리카 사업을 수행해 온 삼성물산, 대우건설, 도화엔지니어링은 아프리카 개발은행의 창립 60주년을 축하하며 그 의미도 함께 강조했다. 이어 퀘이너 부총재는 고광효 관세청장과도 면담을 가졌다. 앞서 아프리카 개발은행과 관세청은 지난 7월 아프리카 지역의 세관 개혁 및 현대화 촉진에 상호 협력하는 내용의 비망록을 체결한 바 있다. 이와 함께 퀘이너 부총재는 한만희 해외건설협회장과 별도 면담 자리에서 아프리카 인프라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과 케냐 정부가 경제혁신 파트너십 프로그램(EIPP)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콘자 스마트시티 개발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7일 케냐 콘자테크노폴리스개발청에 따르면 한국·케냐 정부는 지난 2일(현지시간) EIPP 3단계 사업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양국은 3단계 사업으로 △스마트팜 구축 △인큐베이션 단지 개발 △콘자 테크노폴리스 재생 에너지 전략 수립 등을 수행했다. EIPP는 우리 기업의 해외 사업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자 2020년부터 추진 중인 정부 간 중장기 정책 자문 프로그램이다. 한국과 케냐는 지난 2021년부터 EIPP를 통해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두 나라는 지난 2021~2022년 진행한 1차 사업으로 △콘자 테크노폴리스 구현을 위한 마스터 플랜 수립 △콘자시티 통합운영센터(IOC) 도입 자문 △스마트 모빌리티 전략 개발 등을 수행했다. 이어 작년 9월 완료한 2차 사업에서는 △콘자 지능형 교통체계(ITS) 및 통합관제센터 예비 타당성 조사 △콘자-나이로비 간 광역교통망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 △콘자 테크노폴리스 스마트물류 조성 및 육성 기본계획 △콘자 스마트시티 산업 육성을 위한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등을 다뤘다. 콘자
[더구루=진유진 기자] 오세철 삼성물산 건설부문 사장이 사미아 술루후 하산 탄자니아 대통령을 예방했다. 탄자니아 정부의 건설·인프라 사업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며 향후 협력 방안을 구체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오세철 사장은 지난 2일(현지시간)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 대통령궁에서 사미아 술루후 하산 탄자니아 대통령과 회동해 탄자니아 정부가 추진 중인 건설·인프라 사업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탄자니아에서 다양한 경제개발 협력자금과 연계된 인프라 사업이 활발히 진행될 예정인 만큼 양측은 이날 관련 사업 협력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형근 삼성물산 부사장은 지난달 12일 서울에서 개최된 '한국-탄자니아 교류 협력의 밤' 행사에 참석, 탄자니아 정부 기관·건설산업 관계자들과 만나 향후 현지 인프라 프로젝트 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당시 이노센트 바슝와 탄자니아 공공사업부 장관은 "한국 기업이 탄자니아 대형 건설·인프라 프로젝트에 진출하고자 한다면 전폭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아프리카가 대형 건설·인프라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기회의 땅으로 떠오르자 국내 건설업계에서도 아프리카 건설·인프라 시장 진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더구루=홍성환 기자] GS건설 수처리 자회사 GS이니마가 1600억원 규모 포르투갈 해수 담수화 플랜트 공사를 수주했다. 매각을 앞두고 기업가치가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알가르브 수자원공사는 3일(현지시간) GS이나마·아쿠아포르 컨소시엄을 해수 담수화 플랜트 설계·조달·시공(EPC) 및 운영 사업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포르투갈 남부 알가르브 지역에 연간 1600만㎥ 규모의 해수를 처리할 수 있는 담수화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이다. 개발 상황에 맞춰 2400만㎥ 규모로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오는 2026년 상업 운전이 목표다. GS이니마 컨소시엄은 사업비는 1억792만 유로(약 1600억원)를 제시하며 이 사업을 따냈다. 이는 최소 입찰가보다 1792만 유로(약 260억원) 높은 금액이다. <본보 2024년 7월 17일자 참고 : GS이니마, 포르투갈 담수화 플랜트 수주전 '2파전'> 알가르브 수자원공사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 건설을 통해 최근 몇 년 간 심해진 가뭄으로 인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GS이니마는 스페인에 본사를 둔 글로벌 수처리 기업으로 해수담수화 기술, 하·폐수 정화시설 등을 갖췄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HJ중공업 건설부문이 필리핀 세부 신국제컨테이너 항만 프로젝트 수주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 수주가 확정되면 HJ중공업 건설부문의 누적 수주액은 2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엘머 프란시스코 사르미엔토 필리핀 교통해양부(DOTr) 차관은 최근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HJ중공업이 세부 신국제컨테이너항 토목 공사를 수주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앞서 HJ중공업은 이번 프로젝트에 1억8600만 달러(약 2460억원)의 입찰가를 제시했다. 아직 공식 계약은 체결되지 않았지만, 이미 장비와 인력을 배치해 초기 작업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르미엔토 차관은 "약 2주 전에 자금 지출을 허용하는 문서인 특별 할당 해제 명령(SARO)을 받았다"며 "현재 HJ중공업이 가장 경쟁력 있는 제안을 한 입찰자로, 이르면 10월 초에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DOTr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 임기 내인 2028년 이전에 항만 완공을 목표로 올해 안에 착공할 예정이다. 이후 항만 운영과 유지보수를 담당할 민간 기업을 찾기 위한 추가 입찰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세부 신항만 프로젝트는 세부
[더구루=홍성환 기자] GS건설 수처리 자회사 GS이니마가 오만 담수화 플랜트를 현지 주식시장에 상장한다는 방침이다. 현지 친환경 에너지 시장 진출에 속도를 높인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후안 호세 베나야스 GS이니마 오만 담수화 플랜트 특수목적법인 책임자는 "특수목적법인 지분 40%를 공모하는 내용의 기업공개(IPO)를 준비하기 시작했다"면서 "신규 자금을 유치해 친환경 에너지 역량을 확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바르카 5단계 민자 담수발전사업(IWP) 프로젝트는 수도 무스카트에서 서쪽으로 약 60㎞ 떨어진 곳에 하루 평균 10만㎥(입방미터) 규모의 해수담수화 시설을 건설하는 것이다. 지난 2022년 3월 착공해 올해 6월 완공했다. 이어 지난 8월 시운전을 완료하며 상업운전 준비를 마쳤다. <본보 2024년 8월 21일자 참고 : GS이니마, 오만 담수화 플랜트 상업운전 초읽기> 시공 후 운영권을 갖는 BOO(Build-Own-Operate) 방식으로 GS이니마는 금융조달과 EPC(설계·조달·시공) 공사 후 20년간 운영을 맡게 된다. 예상 매출은 약 7000억원 규모다. 베나야스는 또 바르카 담수화 플랜트에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건설사들이 자산 매각을 통한 유동성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건설 경기 부진이 장기화함에 따라 선제적 현금 확보 및 재무 건전성 강화 등에 안간힘을 쓰는 모습이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에코플랜트는 최근 미국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전문기업인 어센드엘리먼츠 지분을 9823만 달러(약 1300억원)에 전량 매각했다. SK에코플랜트는 어센드엘리먼츠의 혁신적인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에 주목해 지난 2022년 8월과 작년 4월 두 차례에 걸쳐 총 6100만 달러를 투자했다. 하지만 SK그룹 차원에서 사업 구조 재편에 나서면서 선제적인 유동성 확보가 필요해진 상황이다. 이에 우량 자산을 처분한 것이다. 회사 측에서는 부인하고 있지만 업계 안팍에서는 핵심 자회사인 SK오션플랜트 매각설도 꾸준히 제기되는 상황이다. SK에코플랜트는 최근 몇 년 간 이어진 공격적인 투자와 환경·에너지 사업 확대 등으로 차입금 부담이 적지 않은 상태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부채총계는 11조3162억원, 부채비율은 248%로 작년 말 10조4868억원, 237%와 비교해 악화했다. GS건설은 지난달 GS엘리베이터 지분 매각 관련 주식매매계약(SPA)을 체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물산이 호주 퀸즐랜드주(州) 녹색소수(그린수소) 개발 사업에 대한 1차 자금조달을 완료했다. 호주 에너지기업 라이온에너지(Lion Energy)는 30일 삼성물산과 일본 미쓰미시상사 자회사 디지에이(DGA)로부터 호주 퀸즐랜드주 브리즈번에서 추진하는 녹색수소 개발 사업과 관련해 320만 호주달러(약 30억원)의 자금을 수령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삼성물산과 디지에이는 각각 이 사업의 지분 25%를 확보했다. 라이온에너지는 지분 50%를 갖는다. 삼성물산과 디지에이는 녹색수소 생산시설 착공에 들어가면 추가 자금조달에도 나설 예정이다. 앞서 이들 3사는 지난달 26일 녹색수소 공동개발 협약을 맺은 바 있다. 이 사업은 호주 브리즈번 인근 항구 지역에 녹색수소 생산시설을 짓는 것이다. 오는 2026년 시설이 완공되면 연간 최대 300t의 녹색수소가 호주 내수시장에 공급될 예정이다. 삼성물산은 이 사업에 개발사(디벨로퍼)로 참여해 설계에서부터 기자재 조달, 공사, 시운전 등 전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삼성물산은 이번 브리즈번 항만 녹색수소 생산시설 개발 사업을 수주함에 따라 앞으로 호주에서 추진할 다른 대규모 녹색수소 사업에 참여할
[더구루=정등용 기자] 전응식 ㈜대원 대표가 베트남 빈딘성 인민위원회 위원장을 만나 개발 사업을 논의했다. 빈딘성은 신규 산업 클러스터 개발을 추진하는 등 해외 자본 투자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30일 빈딘성에 따르면 전응식 대표는 지난 25일(현지시간) 팜 아인 뚜언 빈딘성 인민위원회 위원장과 투자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동에서 전 대표는 빈딘성의 성장 잠재력과 개발 이점을 높게 평가하며 사업 개발에 대한 빈딘성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뚜언 위원장은 베트남 정부의 지방 발전 계획에 따라 빈딘성이 가진 높은 잠재력과 장점, 투자 유치 방향 등을 설명하며 국내외 투자 유치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또한 산업 단지를 개발할 수 있는 원활한 교통 인프라와 풍부한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했다. 이와 함께 뚜언 위원장은 한국 기업들의 강점을 높이 평가하며 ㈜대원이 갖고 있는 프로젝트 구상이 빈딘성의 개발 방향와 일치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어 빈딘성 프로젝트에 대한 현장 조사와 투자 제안 연구를 요청하기도 했다. 전 대표의 이번 빈딘성 방문은 ㈜대원의 베트남 사업 강화와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원은 이미 베트남에서 외국
[더구루=홍성환 기자] 말레이시아 건설 산업이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빠른 성장세를 보인다. 특히 대규모 프로젝트가 전체 건설 산업을 이끌고 있다. 29일 코트라 '메가 인프라 프로젝트로 성장하는 말레이시아 건설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레이시아 건설 산업은 556억6000만 링깃(약 17조8200억원)으로 전년 대비 6.1% 성장했다. 말레이시아 건설 산업은 대부분 국내 건설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다. 다른 경제 분야와 전략적이고 광범위하게 연계돼 있어 말레이시아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말레이시아 건설 산업은 정부 주도의 프로젝트가 이끌고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정책적으로 건설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건설 산업 부가가치는 지난해 대비 11.9% 성장했다. 다툭 세리 아마드 마슬란 말레이시아 건설부 차관은 올해 건설 부문이 총 1800억 링깃(약 58조원)의 개발 공사 예산 할당에 힘입어 긍정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건설 부문은 2024년 예산에서 총 900억 링깃(약 29조원) 개발 지출을 위한 두 개의 대규모 자금 배정에 의해 주도하고 있다고 언급했
[더구루=홍성환 기자] 스위스 바이오 기업 로이반트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가 자회사 이뮤노반트(Immunovant)에 약 5000억원 규모 실탄을 충전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로이반트사이언시스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이뮤노반트 주식 1684만5010주를 매수했다. 매입가는 주당 20달러로, 총투자액은 3억3690만 달러(약 4910억원)에 이른다. 지분율은 56.9%다. 또 이뮤노반트는 같은 날 3개 기관투자자로부터 4억5000만 달러(약 6600억원) 규모 상장지분사모투자(PIPE)를 유치했다. 기관투자자 3곳에 주당 20달러 가격으로 2250만주를 매각했다. 이뮤노반트는 로이반트사이언시스가 자가면역질환 치료 항체신약 'HL161(물질명 바토클리맙)'의 글로벌 임상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지난 2018년 설립한 자회사다. 이뮤노반트가 개발 중인 HL161ANS(IMVT-1402)은 자가면역질환 항체치료제 후보물질이다. △그레이브스병(GD) △류마티스관절염(RA) △중중증근무력증(MG) 등 치료제로 쓰일 수 있는 후보물질이다. 1분기 중으로 4~5개 적응증에 대한 IMVT-1402 임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프랑스 선급 뷰로 베리타스(Bureau Veritas)가 스위스 선급 SGS와 합병을 추진한다. 선박 적합성 평가와 인증을 전문으로 하는 '공룡 선급'의 탄생이 예고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로이터와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BV와 SGS가 합병 논의에 돌입했다. 이들의 합병 가치는 300억 달러(약 43조7000억원) 규모로 평가된다. 합병 관련 최종 세부 사항은 조만간 발표될 전망이다. 런던 증권거래소(LSEG) 데이터에 따르면 BV의 시장 가치는 132억 3000만 유로(약 19조8500억원)다. SGS의 가치는 약 174억 스위스 프랑(약 27조8000억원)이다. BV와 SGS의 합병이 성사될 경우 영국 인터텍(Intertek)과 프랑스 유로핀스(Eurofins) 등의 경쟁사는 물론 노르웨이 선급 DNV에 비길 만한 거대 선급으로 거듭난다. DNV는 지난 2013년 노르웨이의 국제 공인 등록기관인 노르셰 베리타스 (Norske Veritas)와 독일 게르마니셔 로이드(Germanischer Lloyd)가 합병해 탄생했다. 2021년 DNV GL에서 DNV로 사명을 변경했다. 다만 이번 합병 논의가 합의로 이어진다는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