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사우디·미국 '페트로 달러' 시대 50년 만에 막 내렸다

2024.06.14 10:17:17

지난 9일 협정 공식 만료
中 위안화 위상 확대 주목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와 미국의 '페트로 달러(Petrodollar)' 시대가 50년 만에 막을 내렸다. 달러 패권에 대한 중국 위안화의 도전이 탄력받을 지 주목된다.

 

14일 외신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9일 사우디아라비아와 미국 간 페트로 달러 협정이 공식적으로 만료됐다. 사우디아라비아 측이 협정을 갱신하지 않기로 결정한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은 지난 1974년 페트로 달러 협정을 맺고 원유대금 결제에 달러만 사용하는 대신 미국은 사우디의 안보를 책임지는 데 합의했다. 

 

세계 각국에 원유를 판 중동 산유국은 달러를 미 국채와 금융시장 등에 다시 투자하는 이른바 페트로 달러 리사이클링을 구축했고, 이런 과정을 거쳐 페트로 달러 시스템은 더욱 공고해졌다. 이를 통해 미국은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강화하고 세계 원유시장을 통제하는 힘을 확보했다. 

 

그런데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2018년 사우디아라비아 반체제 인사 자말 카슈끄지 살해 사건의 책임을 물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홀대하고, 2021년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을 철수하자 양국 관계의 균열이 생겼다.

 

이런 가운데 중국이 사우디아라비아의 최대 원유 수출국으로 부상하면서 페트로 달러 체제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중국은 작년 3월 사우디아라비아에 무역 대금 결제용 위안화를 풀었다.

 

현재 세계 원유의 80% 이상이 달러로 거래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중국과의 원유 거래에서 위안화 사용을 허용할 경우 위안화의 국제화 위상이 높아진다. 중국은 사우디 연간 원유 수출량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중국은 미국과의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무역 거래에서 위안화 세계화를 꾀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2022년 12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중국-걸프 아랍국가협력위원회 정상회의 기조연설에서 "석유 및 가스 무역에 대해 위안화를 사용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은 최근 밀월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앞서 지난 2022년 12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정상회담을 진행한 것을 계기로 경제 협력을 확대하는 중이다. 

 

양국은 지난해 11월 500억 위안 규모로 양국 간 첫 통화 스와프 협정에 서명했다. 통화 스와프는 서로 다른 통화를 미리 약정된 환율에 따라 맞교환하는 외환 거래를 말한다. 또 같은 달 홍콩 증시에 아시아 처음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상장지수펀드(ETF)가 상장됐다. 

홍성환 기자 kakahong@theguru.co.kr
Copyright © 2019 THE GURU. All rights reserved.












발행소: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81 한마루빌딩 4층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06 | 등록일 : 2018-03-06 | 발행일 : 2018-03-06 대표전화 : 02-6094-1236 | 팩스 : 02-6094-1237 | 제호 : 더구루(THE GURU) | 발행인·편집인 : 윤정남 THE GURU 모든 콘텐츠(영상·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THE GURU. All rights reserved. mail to theaclip@thegur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