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美 싱크탱크의 경고…"동해 가스전, 좌초자산 전락 가능성"

2024.06.20 15:10:36

미국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IEEFA) 보고서 발간
정부 탈탄소화 정책으로 천연가스 수요 감소
국가 에너지 안보 강화에 도움 안돼

 

[더구루=홍성환 기자]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이 국가 에너지 안보에 큰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특히 천연가스 수요 감소에 따라 좌초자산(Stranded Assets)으로 전락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다.

 

미국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IEEFA)는 19일(현지시간) 발간한 동해 가스전 보고서에서 "한국의 천연가스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동해 대규모 가스전 사업은 좌초자산이 될 수 있다"면서 "장기적으로 친환경 에너지 전환은 화석 연료에 대한 과도한 의존에 비해 국가 에너지 안보와 지속가능성을 더욱 잘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좌초자산은 기존에는 경제성이 있어 투자가 이뤄졌으나 시장 환경 변화로 인해 가치가 하락하고 부채가 되어 버리는 자산을 의미한다. 

 

IEEFA는 지속가능하면서도 수익성 있는 에너지 전환을 추구하며 에너지 정책과 관련 시장 동향 등을 조사 분석하는 민간 싱크탱크다.

 

IEEFA는 "동해 가스전이 2035년 상업적으로 가동을 시작할 때 한국의 천연가스 수요는 에너지 전환으로 인해 상당히 감소할 것"이라며 "이미 천연가스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원전 및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와 높은 수입 비용에 따른 도시가스 수요 감소로 천연가스 수요가 4.9% 줄었다"고 설명했다.

 

IEEFA는 또 "한국의 강화된 탈탄소화 목표를 고려할 때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이라며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에너지 믹스에서 액화천연가스(LNG) 비중은 2023년 26.8%에서 2038년 11.1%까지 감소한다"고 전했다. 이어 "산업통상자원부는 인구 감소와 경제 성장률 둔화로 인해 천연가스 수요가 2036년까지 연평균 1.38% 감소해 연간 3766만t 수준까지 감소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했다.

 

IEEFA는 "국민의 세금을 성공률이 입증되지 않은 고위험 가스 연료 탐사에 투자하면 좌초자산 위험이 상당히 높다"면서 "한국의 LNG 터미널과 발전소는 수요 감소로 활용률이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연구소는 "한국의 탈탄소화 목표는 LNG 화력 발전소의 가동률은 2023년 41.7%에서 2036년까지 10~20% 수준으로 낮출 가능성이 높다"면서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고려할 때 동해 가스전에서 생산한 천연가스는 10~15년 동안에만 사용할 수 있어 좌초자산 리스크가 크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부와 석유공사는 올해 12월부터 4개월간 약 1000억원을 들여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의 분수령이 될 첫 탐사시추를 진행할 계획이다. 정부와 석유공사는 약 20%의 성공률을 고려했을 때 향후 5년간 최소 5개의 시추공을 뚫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추공 1개에 약 1000억원씩, 5000억원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홍성환 기자 kakahong@theguru.co.kr
Copyright © 2019 THE GURU. All rights reserved.












발행소: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81 한마루빌딩 4층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06 | 등록일 : 2018-03-06 | 발행일 : 2018-03-06 대표전화 : 02-6094-1236 | 팩스 : 02-6094-1237 | 제호 : 더구루(THE GURU) | 발행인·편집인 : 윤정남 THE GURU 모든 콘텐츠(영상·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THE GURU. All rights reserved. mail to theaclip@thegur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