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이 전기·전자제품의 유해물질 관리·감독 강화에 나섰다. 친환경 공급망 구축에 방점을 둔 행보로 풀이된다.
13일 중국 정부에 따르면,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과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는 최근 ‘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 제한사용 요구사항’을 공식 발표했다.
이는 중국 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 관리 분야에서 최초로 제정된 강제성 국가표준이다. 2년간의 과도기를 거쳐 오는 2027년 8월1일부터 정식 시행된다. 2028년 8월1일까지는 기존 재고 제품의 판매가 허용된다.
이번 표준 발표는 EU(유럽연합)의 ‘RoHS(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 사용제한 지침)’ 등 국제 환경 규제 강화 흐름에 대응해 중국 제품에 대한 무역 장벽을 완화하고, 전기·전자제품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로 평가된다.
신규 표준은 중국 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 관리체계를 권장에서 강제로 전환하고, 제품 분류 도입을 통해 유해물질에 대한 관리를 보다 체계화했다. 또한 전기·전자제품의 유해물질 관리 결과를 소비자에게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표식의 유형과 사용 기준을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중국은 이번 신규 표준을 통해 전기·전자제품의 친환경 관리를 추진한다. 기업들이 친환경 소재 대체와 환경 기술 도입, 재활용·무해화 설비 투자를 확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궁극적으로는 친환경 경쟁력을 갖춘 기업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편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