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김병용 기자] 삼성전지가 북미시장 공략을 위해 추진했던 멕시코 공장 프로젝트를 전면 중단한다. 25% 관세 폭탄을 예고한 트럼프 2기 정부의 출범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
삼성전기 장덕현 사장(대표이사)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미래’를 그리다. 삼성전기 ‘Mi-RAE' 신사업” 주제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신사업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장덕현 사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멕시코 공장 설립을 잠정 중단한 상태"라며 "대체 부지 1~2곳으로 압축해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앞서 멕시코 법인을 설립, 전장용 카메라 모듈을 제조할 계획이었다.
장 소장은 미래 사업에 대한 포부도 밝혔다. 그는 “미래 산업의 기술 실현은 반드시 부품·소재가 기반이 돼야 가능하다”며 “핵심 기술을 보유한 삼성전기에게는 새로운 성장 기회”라고 강조했다. 이어 “삼성전기는 AI/서버, 전장, 에너지, 로봇 분야의 신사업을 성공적으로 전개하여 미래 성장기회를 놓치지 않겠다”라고 덧붙였다.
우선 삼성전기는 MLCC 사업에서 확보한 세라믹 재료 기술, 적층/소성 등 공정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관련 신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삼성전기는 전지 내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한 전고체 전지 사업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삼성전기가 개발하고 있는 전고체 전지는 재료의 안정성이 높은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산화물계)을 사용해 형상의 자유도가 높아 웨어러블 기기 등 소형 IT 기기에서 리튬 전지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장덕현 사장은 “삼성전기의 전고체 전지는 업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밀도와 용량 특성을 확보했다”며 “올해 양산 설비를 투자해 시제품을 공급하고, 2026년 이후 적용 제품들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실리콘 캐패시터는 실리콘 웨이퍼를 활용해 만들어지는 캐패시터로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를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고, 고성능 시스템 반도체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어 고속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다. 작은 사이즈에도 높은 저장 용량과 고온, 고압 등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삼성전기는 지난해 고객에서 실리콘 캐패시터 샘플 공급을 시작했고, 금년에는 고성능 반도체 패키지용과 AI서버용 실리콘 캐패시터를 양산할 계획이다.
또한 하이엔드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술을 선도해온 삼성전기는 IT에서 축적한 렌즈 및 광학 설계 기술을 차량용으로 확대하고 있다.
특히 삼성전기는 탄소중립 시대에 가장 필요한 미래형 그린 에너지 기술인 SOEC(고체산화물 수전해), SOFC(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올해까지 그린수소 생산의 핵심 기술인 SOEC셀(Cell) 기술을 확보할 예정이다. 내년엔 셀을 쌓아 올린 스택(Stack) 개발 후 2027년 이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삼성전기는 차세대 플랫폼인 휴머노이드 분야에 대응하기 위해 회사가 광학설계, 정밀가공, 구동제어 기술을 활용한 신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시스템/AI 데이터 처리를 위한 패키지기판, MLCC와 센싱을 위한 카메라모듈, 전원공급 및 구동기술을 적용한 액츄에이터 등의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