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나윤 기자] 콩고민주공화국 남동부 구리 광산에서 대규모 사고가 발생해 30여 명이 숨졌다. 이번 사고로 구리 생산 차질이 우려되면서 국제 구리 가격 변동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린다.
캐나다 광물 전문매체 마이닝닷컴에 따르면 지난 15일(현지시간) 민주콩고 루알라바주 칼란도 지역 구리 광산에서 다리가 붕괴해 최소 30명이 숨지고 20명이 중상을 입었다.
현지 당국은 “광산 인근 다리 위에 광부들이 몰려 있던 중 군인들의 총격으로 공황 상태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구조물이 붕괴하면서 다수가 깔렸다”고 설명했다. 루알라바주 내무장관 로이 카움바는 “사망자 대부분이 장인 광부로 추정된다”며 “부상자들은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다”고 밝혔다.
장인 광부는 대규모 광산 회사에 공식적으로 고용된 광부가 아닌 주로 개인 또는 소규모 팀을 이루어 활동하는 광부들이다. 광물 채굴을 주된 생계 수단으로 삼는다.
인권단체 인권보호이니셔티브는 군과 광부 간 충돌이 사고로 이어졌다는 증언을 인용하며 “군의 개입 경위를 명확히 규명해야 한다”며 독립적인 조사를 촉구했다.
민주콩고에서는 이 같은 광산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 특히 정부의 감독이 미치지 않는 장인 광산에서는 기본적인 안전 장비나 시설이 부족해 매년 수십 명이 사고로 목숨을 잃는다. 마이닝닷컴은 “장비가 열악한 채 깊게 굴착하는 장인 광산에서 붕괴 사고가 빈번하다”고 전했다.
이번 참사는 구리 공급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민주콩고는 칠레에 이어 세계 2위의 구리 매장국으로 글로벌 시장 구리 공급의 약 10%를 차지한다. 루알라바와 카탕가 일대에는 고품위(5% 이상) 구리 광맥이 집중돼 있고 미개발 매장지 또한 광범위하게 분포돼 있다.
한편 민주콩고 구리 광산에서는 아동 노동과 열악한 근로 환경 문제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현지에서는 생계를 위해 10세 미만의 어린이들이 하루 12시간 이상 광산에서 흙을 나르거나 원광석을 세척하는 일에 동원되는 사례가 빈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가 기업의 공급망 전반에 대한 인권 실사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