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SC제일은행의 신용대출 금리 중 4% 미만의 저금리 비중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은행이 40%대인 것과 비교하면 지나치게 낮은 수준으로 "이자 장사가 도를 넘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평균 금리도 가장 높았다. 이재명 대통령의 금융 정책 기조인 '포용 금융'과는 정반대의 길을 걷고 있다.
27일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공개된 ‘신용대출 금리구간별 취급비중’을 보면, 올해 9월 기준 SC제일은행의 4% 미만 신용대출 금리 비중은 0.4%에 그친다.
반면 다른 시중은행의 4% 미만 신용대출 금리 비중은 △국민은행 43.9% △NH농협은행 35.3% △하나은행 34% △신한은행 25.4% △우리은행 20.5%로 SC제일은행과 큰 격차를 보였다. 다른 은행들이 대출 잔액의 20~40%에 대해 4% 미만의 금리를 매기는데 반해 SC제일은행만 이런 금리의 대출이 거의 없었다.
저금리 대출 비중이 낮으니 신용대출 평균 금리도 SC제일은행이 5.37%로 가장 높았다. 이밖에 5%를 넘는 곳은 신한은행 5.1% 였고 다른 은행은 모두 4%대 였다.
서민금융을 제외한 평균 신용대출 금리에서도 SC제일은행이 5.22%로 가장 높았다. 다른 은행은 모두 4%였다.
앞서 SC제일은행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최저금리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아 '미끼성 금리' 공시로 논란이 된 바 있다. 네이버 금리 비교 플랫폼을 통해 "최저 3.13%의 주담대 금리를 제공한다"고 밝혔지만, 실제 이 수준으로 대출을 받은 사람은 한 명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본보 2025년 11월 13일 참고 받은 사람 하나 없는 SC제일은행 3.13% 금리..."호객 행위..감독 철저히 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