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리뷰] 해시드, 아부다비 ADFW 2025 서 '웹3 리더스 라운드테이블' 주최(11월1주차)

2025.11.09 08:17:49

 

◇해시드

 

글로벌 블록체인 벤처캐피털 해시드(Hashed)가 오는 12월 10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개최되는 '아부다비 파이낸스 위크 2025(Abu Dhabi Finance Week 2025, 이하 ADFW 2025)' 공식 파트너사로 합류해 행사 공식 프로그램인 '웹3 리더스 라운드테이블'을 주최하기로 했다.

 

해시드는 이번 행사를 아부다비 글로벌 마켓(Abu Dhabi Global Market, ADGM) 산하 기술 혁신 조직 ADGM 이머징테크(ADGM Emerging Tech)와 공동으로 개최한다.

 

아부다비에 위치한 국제 금융 자유무역지대인 ADGM은 최근 디지털 자산 거래·수탁·펀드 운용 전반을 포괄하는 디지털 자산 규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며 중동 지역의 대표적인 디지털 금융 허브로 부상했다. ADGM 이머징테크는 비금융 분야 기술 기업의 시장 진입을 지원하고 감독하는 등 기업의 전 생애주기를 관리하는 전담 조직이다.

 

웹3 및 규제, 금융 산업의 글로벌 리더들이 참여하는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AI–웹3 융합과 디지털 자산 제도화 등을 주제로 두 개의 세션으로 진행된다.

 

'2030년 디지털 인프라 – AI, 웹3, 현실세계 체계의 융합'이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첫 번째 세션에서는 AI와 블록체인이 실물경제 시스템과 결합하며 만들어 나갈 차세대 디지털 인프라의 방향성이 논의된다.

 

두 번째 세션은 '기관의 디지털 자산 도입과 규제'라는 주제로 개최되며, 참가자들은 스테이블 코인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의 제도적 채택, 규제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금융 인프라 혁신과 규제의 조화를 모색하게 된다.

 

각 세션에는 글로벌 주요 금융사와 규제기관, 웹3 기업, 정책 리더 등 국제 금융 및 기술 분야의 최고위급 인사들이 초청돼 열띤 토론을 펼칠 예정이다. 세션에서 도출된 논의 결과는 ADFW 2025 공식 리포트로 발간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AI와 웹3가 주도할 차세대 디지털 경제의 정책·산업 방향성이 제시될 전망이다.

 

해시드는 지난 2017년 설립 이후 서울·싱가포르·아부다비·샌프란시스코·뱅갈루루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등 웹3 스타트업에 집중 투자해 왔으며 라운드테이블 등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네트워킹을 이어왔다. 이번 행사 참여도 지난 9월 한국에서 열린 '이스트포인트: 서울 2025' 라운드테이블 행사의 후속으로 기획됐다. 해시드는 이번 행사 참여를 통해 아부다비 및 중동과 아시아를 잇는 디지털 자산 협력 플랫폼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AI·웹3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디지털 인프라 구축 전략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서준 해시드 대표는 "AI와 블록체인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미래 경제와 금융 인프라의 구조가 재편되고 있다"며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혁신이 중동과 글로벌 시장의 제도적 변화와 맞물려 새로운 디지털 경제 질서를 만들어가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무하마드 알메이리(Muhammad Almhairi) ADGM 커뮤니케이션 총괄은 "해시드와 함께 올해 ADFW에서 웹3 리더스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혁신적 창업가·투자자·기술 리더들이 모여 웹3 트렌드와 규제, AI와 웹3의 융합, 기관의 디지털 자산 도입 등을 논의하고 블록체인 기반 AI 결제 기술 데모까지 선보이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해시드는 자회사 샤드랩을 통해 이번 ADFW 2025에서 x402 표준 기반의 프로덕트 데모를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x402 프로토콜은 기존에 사용되지 않던 HTTP 응답 코드 '402 Payment Required'를 활용해, 디지털 네이티브 결제를 지원하려하는 오픈소스 프로토콜이다. 또한 최근 AI 에이전트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x402 프로토콜과 AI 에이전트, 가상자산을 통합·연동하려는 움직임이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일례로, 코인베이스(Coinbase)와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를 중심으로 이를 블록체인 결제 인프라(A2A, Agent-to-Agent) 로 확장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해시드는 이러한 시장의 흐름에 발맞춰 JWT 기반 지불 인증 표준을 제안하고 스트리밍 서비스용 구현체를 선보이는 등 차세대 A2A 결제 표준의 기술적, 사업적 논의를 선도하고 있다.

 

◇서울랩스

 

블록체인 개발기업 서울랩스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블록체인 산업 및 기술 진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한국인터넷진흥원장 명의의 단체 표창을 수상했다. 시상은 11월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주관한 '블록체인 진흥주간 X 웹3.0 컨퍼런스'에서 진행됐다.

 

이번 수상은 기술개발, 국제사업, 산업 확산 등 서울랩스의 전방위적 성과를 종합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다. 특히 자체 개발한 고성능 K-블록체인 메인넷 기술,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전자정부 및 디지털 금융 인프라 구축 사업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서울랩스는 라오스 정부와 15년 장기 MOA를 체결하고, 전자정부 시스템의 블록체인 기반 전환 사업을 주도해 왔다. 이 사업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코이카)의 ODA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안정적 추진 기반을 마련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의 블록체인 기술을 동남아시아 시장에 전파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중이다.

 

서울랩스는 라오스를 시작으로 필리핀, 베트남 등 인접 국가로 신원인증(DID), 전자문서, 결제 등 디지털 공공 인프라 구축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앞서, 고성능 메인넷과 AI 기반 DID 기술이 결합된 '슈퍼월렛' 솔루션으로 국내외 금융·공공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입증하며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벤처기업 인증도 획득한 바 있다.

 

특히 이번 수상에 포함된 기술 성과 중 하나인 서울랩스의 메인넷 기술은 △PoW+XPBFT 듀얼체인 구조 △초당 4000건 이상의 트랜잭션 처리 속도(TPS) △1초 내 블록 완결성(Finality) △EVM 100% 호환성 △낮은 트랜잭션 수수료 등의 특성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반 지불결제 등 국내외 마이크로페이먼트 서비스에 최적화된 성능을 보이고 있다.

 

서울랩스는 이번 KISA 포상을 통해 국내 기술 기반 블록체인 기업으로서 입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함과 동시에 행사 기간 중에는 블록체인 진흥주간 전시기업으로도 선정되 국내외 투자자 및 정부 관계자들에게 자사 솔루션을 직접 소개하고 있다.

 

장도희 서울랩스 대표는 "이번 표창은 서울랩스가 기술개발과 글로벌 사업화에 더욱 힘쓰라는 격려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Forget Blockchain'이라는 철학 아래, 누구나 쉽게 K-블록체인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실용 중심의 글로벌 디지털 인프라 확산에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넥써쓰

 

넥써쓰(NEXUS)가 레드랩게임즈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 인프라와 게임 개발 역량을 결합해 오픈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크로쓰의 생태계 확장에 나설 방침이다.

 

레드랩게임즈는 지난해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롬: 리멤버 오브 마제스티(ROM: Remember of Majesty)'를 출시하며 개발력을 입증한 게임 개발사다. 이 작품은 한국·대만 등 글로벌 10개국에 동시 출시돼 구글플레이 매출 순위 2위(한국), 3위(대만)를 기록했으며, '구글 플레이 베스트 오브 2024 어워드'에서 대만·홍콩 지역 PC 부문 베스트 게임으로 선정됐다.

 

넥써쓰는 크로쓰 플랫폼 개발사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이용자 중심의 게임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크리에이터 기반 커뮤니티 플랫폼 '크로쓰 웨이브'와 블록체인 통합 앱 '크로쓰x' 등을 통해 블록체인 게임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레드랩게임즈 신현근 대표는 "이번 넥써쓰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K-RPG의 글로벌 진출에 있어서 든든한 파트너십을 형성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블록체인 게임 부문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크로쓰 플랫폼과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 좋은 성과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넥써쓰 장현국 대표는 "MMORPG와 잘 짜인 토크노믹스의 결합은 게임의 재미를 배가시켜 더욱 높은 몰입감을 선사한다"라며 "검증된 개발력을 갖춘 레드랩게임즈와 함께 블록체인 게임의 새로운 성과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스토리

 

지식재산권(IP)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 '스토리'의 생태계 프로젝트 IP RWA 플랫폼 '아리아 프로토콜(Aria Protocol, 이하 아리아)'이 자사 네이티브 토큰 $ARIAIP의 커뮤니티 세일을 성공적으로 마감했다. 세일은 2100% 초과 청약을 기록하며 글로벌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완전희석가치(FDV) 6000만 달러 기준 전체 공급량의 1%에 해당하는 60만 달러 규모로 진행된 이번 세일은 총 1만 1391명이 참여, 개시 후 15분 만에 목표 모금액을 달성하며 IP RWA 시장과 블록체인 기반 IP 자산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아리아의 커뮤니티 세일은 관련 규정을 엄격하게 준수한 토큰 세일 플랫폼 바이브에서 진행돼, 투명하면서도 안정성을 보장받으며 효율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청약 배정을 신속히 완료하며 한국과 유럽연합(EU) 투자자들에게 원활한 참여 환경을 제공했으며, 글로벌 투자자층의 IP RWA 시장 접근성도 확대했다.

 

한국과 유럽 내 참여자들의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아리아의 커뮤니티 참여 중심 생태계 확장이 한 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음악을 비롯한 다양한 IP 자산을 토큰화하고, 창작자·권리자·투자자 간 접근성을 확대하며, 글로벌 온체인 IP 시장의 유동성 강화에 나선다. 아울러 $ARIAIP는 아리아 생태계의 커뮤니티 코디네이션 토큰으로서 거버넌스, 유동성, 커뮤니티 혜택을 조율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오랜시간 인기있는 음악 포트폴리오부터 트렌드를 선도하는 레이블 자산, 글로벌 브랜드, 라이선스 리믹스 저작물까지 IP RWA 전반에 걸쳐 커뮤니티 참여를 하나로 연결한다.

 

데이비드 코스티너(David Kostiner) 아리아 공동창업자는 "한국과 유럽 투자자들이 $ARIAIP 커뮤니티 세일에 적극 참여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성과는 IP RWA가 새로운 투자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줄 뿐 아니라, 창작자·투자자·IP 권리자·팬을 블록체인으로 연결하려는 아리아의 비전에 글로벌 투자자들이 공감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비들패드 관계자는 "바이브는 유망한 초기 단계의 프로젝트들에 대한 커뮤니티의 접근성을 확대하기 위해 만들어진 플랫폼"이라며 "아리아 커뮤니티 세일의 성공은 IP 연계 실물자산에 대한 수요가 이미 견고하며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임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홍성일 기자 hong62@theguru.co.kr
Copyright © 2019 THE GURU. All rights reserved.












발행소: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81 한마루빌딩 4층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06 | 등록일 : 2018-03-06 | 발행일 : 2018-03-06 대표전화 : 02-6094-1236 | 팩스 : 02-6094-1237 | 제호 : 더구루(THE GURU) | 발행인·편집인 : 윤정남 THE GURU 모든 콘텐츠(영상·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THE GURU. All rights reserved. mail to theaclip@thegur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