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IT기업 화웨이가 2023년 스마트폰 출하 목표를 상향 조정했다. 미국의 재제 속 화웨이는 무선통신 사업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여전히 한계가 명확하다는 분석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화웨이는 2023년 스마트폰 출하 목표를 4000만 대로 상향 조정했다. 당초 화웨이의 2023년 스마트폰 출하목표는 3000만 대 수준이었다. 화웨이는 2020년 미국 정부의 제재를 받기 전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18%를 차지하며 세계 최대 스마트폰 판매업체가 됐다. 하지만 2019년 미국 정부는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화웨이와 중국 공산당 간의 관계를 문제 삼으며 제재조치를 실행했다. 미국 정부의 제재에 화웨이는 미국 기업의 칩 공급은 물론 자체 칩 설계를 위해 필요한 핵심적인 미국 기술에 대한 접근이 차단됐다. 또한 구글 안드로이드에도 접근이 제한되면 2022년 화웨이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2% 수준으로 급감했다. 화웨이는 이를 타개하기 위해 자체 칩과 OS 개발에 속도를 내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미국 주도의 스마트폰 생태계 접근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면서 정상화는 요원해 보였다. 이에 화웨이는 신제품 라인업을 연이어 출시하
[더구루=이연춘 기자] 셀트리온이 연말까지 최대 5개의 후속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허가 신청을 완료하고 2025년까지 바이오시밀러 제품 포트폴리오를 11개까지 확대하는데 총력을 기울인다. 이미 글로벌시장에서 판매중인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 램시마SC, 유플라이마, 베그젤마 등 기존 6개 제품에 후속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까지 추가해 바이오시밀러 사업 경쟁력을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지난 5월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CT-P43’의 유럽 허가 신청을 완료했다. 글로벌의약품 시장조사 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우스테키누맙 시장은 약 23조원 규모로, 셀트리온은 글로벌 주요국에 순차적으로 CT-P43의 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이에 앞선 지난 4월엔 졸레어 바이오시밀러 ‘CT-P39’의 유럽 품목허가 신청을 완료했으며, 상반기 내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CT-P42’의 미국 품목허가까지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CT-P42를 통해 안과질환 영역까지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게 됐으며, 오리지널 의약품인 아일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약 12조6800억원에 달한다. 후속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의 임상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에서 4년 연속 최고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브랜드로 선정되며 현지 SUV 시장 내 존재감을 알렸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HMA)은 시사주간지 'US뉴스&월드리포트'(U.S. News & World Report)가 선정한 '올해 최고 SUV 브랜드'(2023 Best SUV Brand)로 꼽혔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올해 최고 SUV 브랜드는 브랜드별 현지 판매 SUV 전체 모델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이뤄진다. 올해 평가 대상에 오른 브랜드는 총 13개로 모델별 내외부 디자인, 성능, 기술, 신뢰성, 안전성 등 항목을 토대로 점수가 주어졌다. 현대차의 경우 팰리세이드와 싼타페, 투싼, 코나, 아이오닉 등 총 9개 SUV가 평가를 받았으며 이들 모델의 종합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8.7점을 기록했다. US뉴스&월드리포트는 현대차가 현지 운전자들의 입맛에 맞춘 SUV 판매 포트폴리오를 갖췄다고 평가했다. 특히 세련된 디자인과 첨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합리적인 가격정책에 대한 만족도를 강조했다. 짐 샤리피(Jim Sharifi) US 뉴스&월드 리포트 편집장은 "스타일리시하고 성능
[더구루=김도담 기자] LG디스플레이가 스웨덴 디스플레이 솔루션 기업 플랫프로그와 손잡고, 기업용 태블릿 시장 지배력을 강화한다. 12일(현지시간) 플랫프로그는 LG디스플레이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세계 최초로 OLED 터치 기반 55인치 디스플레이 '팀 태블릿'(team Tablet)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플랫프로그는 이 제품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상업용 디스플레이 전시회 '인포콤 2023'에서 공개한다. 팀 태블릿은 하이브리드 작업 환경에서 협업을 개선하도록 설계됐다. △화상회의 △화이트보드 △콘텐츠 공유 기능 등 플랫포로그의 앞선 협업 소프트웨어 기능을 모두 넣어 CEO 사무실, 회의실, 팀 회의 공간 등 다양한 사무 환경에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양사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해 LG디스플레이의 다양한 OLED 디스플레이 상품들에 플랫플로그의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상호 리소스 개발 및 통합을 위한 기술 지원도 제공한다. 앤더스 크룩스(Anders Krooks) 플랫프로그 부사장은 "플랫프로그와 LG디스플레이는 성공적인 협업으로 팀태블릿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며 "조만간 새로운 크기의 팀태블릿을 개발하기 위해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대표 수소연료전지차(FCEV) 모델 '넥쏘'를 캐나다 그린수소 개발업체 수소 에너지 홍보 차량으로 공급했다. 퀘벡을 중심으로 현지 전역에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이니셔티브를 추진한다. 현대차 캐나다판매법인은 12일(현지시간) 카본 하이드로겐(Charbone Hydrogen, 이하 카본)에 2023년형 넥쏘 3대를 플릿(fleet·영업용 차량)으로 공급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 장기 리스 계약을 체결한지 약 5개월 만이다. 이들 차량은 현지 차량 리스 및 관리 서비스 업체 '포스 내셔널 리스'(Foss National Leasing)을 통해 전달됐으며 차량 인도식은 몬트리올 인근 브로사드(Brossard) 지역에 위치한 현대차 쇼룸에서 진행됐다. 카본은 이들 차량을 이용해 몬트리올 지역을 중심으로 친환경 수소 에너지 홍보 및 시연에 나선다. 북미 정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녹색 수소 모빌리티의 잠재력을 입증하겠다는 각오다. 이를 위해 현지 에너지 유통업체 'Filgo-Sonic Group'과 퀘백 내 수소 충전소 네트워크 개발도 병행하고 있다. 특히 카본은 오는 15일부터 18일까지 나흘간 몬트리올 크레센트 스트리트(Cresce
[더구루=오소영 기자] 성일하이텍 헝가리 공장의 안전성이 또 도마 위에 올랐다. 화재가 발생하며 설비 일부가 파손됐다. 인명 피해는 없었고 공장은 정상 가동 중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9일 밤 바토니테레녜에 위치한 성일하이텍의 제2 리사이클링 공장에서 화재가 났다. 부상자는 없었다. 너지 머이돈 요제프(Nagy-Majdon Joszef) 바토니테레녜 시장은 페이스북 라이브 방송을 통해 현장 소식을 전했다. 그는 "홀은 타지 않았고 큰 화재도 아니었으나 위험한 회사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여러 명의 소방관이 출동해야 했다"며 "내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곧 밝혀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성일하이텍 측은 "설비 과부화로 인한 화재였다"며 "파손된 설비 일부만 재점검하고 가동을 준비 중이며 공장 가동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헝가리 리사이클링 2공장은 폐배터리를 수집해 전처리 공정을 담당하는 시설이다. 배터리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불량품을 비롯해 배터리 스크랩을 재활용하는 1공장과 달리 2공장은 다 쓴 중고·폐배터리를 수거한 후 배터리팩까지 해체할 수 있다. 성일하이텍은 2021년 7월 연간 5만t 규모의 2공장을 완공했다. 총투자비 2700만 유로(약
[더구루=김형수 기자] SPC그룹 파리바게뜨가 유럽 시장 공략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파리바게뜨 글로벌 사업을 총괄하는 허영인 회장의 장남 허진수 파리크라상 사장을 필두로 글로벌 영토 확장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북미와 동남아시아와 중동에 이어 유럽 시장에 나서면서 글로벌 식품 기업으로의 퀀텀점프에 나서는 것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오는 2036년까지 현재 7개인 유럽 내 매장을 450개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유럽 시장 공략의 전진기지인 영국 가맹 1호점을 오픈한 이후 오는 2025년 영국 점포도 20호점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오너 3세인 허 사장이 경영 전면에 나서면서 글로벌 사업 확장에도 속도가 붙는 모양새다. 허 사장은 지난해 영국 진출 당시 과감한 투자를 통해 더욱 적극적으로 글로벌 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강조했다. 그는 "영국은 파리바게뜨의 유럽 시장 확대 및 가맹사업 전개를 위한 핵심 거점이 될 중요한 시장"이라면서 "2025년까지 20개점을 오픈하는 등 미국과 중국, 싱가포르와 함께 4대 글로벌 성장축으로 삼아 적극적인 공략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영국 진출을 계기로 유럽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파리
[더구루=홍성일 기자] 텐센트가 퍼블리싱하는 모바일 1인칭 슈팅게임(FPS) '아레나 브레이크아웃'이 글로벌 사전 등록을 시작했다. 텐센트는 아레나 브레이크아웃 등을 앞세워 수익 확대에 나선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아레나 브레이크아웃의 글로벌 사전등록을 시작했다. 사전등록은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에서 진행되며 7월 출시 전까지 진행된다. 텐센트는 사전 등록 시작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친구 초대 이벤트는 사전등록 단계에 새로운 유저를 초대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1명, 3명, 5명, 15명에 도달할 때마다 보상이 주어진다. 또한 총 사전등록 유저수가 50만, 100만, 200만, 500만, 1000만명에 도달할때마다 사전등록에 참여한 모든 유저들에게 보상이 제공된다. 텐센트는 중국 정부의 판호 발급이 재개된 가운데 아레나 브레이크아웃 등을 앞세워 매출 확대에 나선다. 이미 중국 시장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아레나 브레이크아웃의 출시 효과로 1분기 게임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6% 상승하는 등 긍정적인 신호가 나오고 있다. 한편 아레나 브레이크아웃은 지난해 7월 중국에서 발표된 이후 4개월여만에 영어버전이 공개됐다. 아레나 브레이크아
[더구루=홍성환 기자] 정부가 현대로템이 추진하는 이집트 카이로 지하철 전동열차 공급사업에 약 6000억원 규모 자금을 지원한다. 이집트 국제협력부는 우리나라 대외경제협력기금(EDCF)과 카이로 지하철 2호선·3호선 전동열차 공동 제조·공급 사업과 관련해 4억6000만 달러(약 5900억원) 규모 차관 계약을 맺었다고 13일 밝혔다. 김용현 주이집트 대사와 라니아 알 마샤트 국제협력부 장관이 협약에 서명했다. 이번 협약은 현대로템의 전동차 공급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현대로템은 지난해 8월 이집트 교통부 산하 터널청(NAT)과 카이로 지하철 2호선·3호선용 전동열차 공급 계약을 맺었다. 현대로템은 이집트 민관 합작으로 설립된 국영철도산업회사(NERIC)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맺고 사업을 수주했다. 현대로템은 터널청이 발주한 전체 사업 규모 6억5600만 달러 가운데 지분 86%를 차지하며, 나머지 14%는 NERIC가 가져간다. 현대로템은 오는 2028년까지 카이로 지하철에 사용될 신형 전동차 320량(2호선 56량·3호선 264량)을 공급하게 된다. 카이로는 최고 기온 영상 50도를 넘나들지만 지하철이 노후한 탓에 에어컨이 탑재돼 있지 않다. 신형
[더구루=한아름 기자] 신세계그룹이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밸리 와이너리 '얼티미터 빈야드'(Altimeter Vineyard)를 인수한다. 앞서 쉐이퍼 빈야드·와일드푸트 빈야드 이어 미국 현지 와이너리 인수는 세 번째다. 급성장하는 와인 시장에서 고급화와 차별화를 이루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프라퍼터미국 자회사인 쉐이퍼 빈야드(Shafer Vineyard)가 캘리포니아 나파밸리 와이너리 얼티미터 빈야드를 품는다. 다만 인수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거래에는 정용진 부회장이 적극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와인 감별 능력부터 양조 지식까지 두루 갖춘 와인 전문가로 통한다. 정 부회장은 지난 2008년 와인 수입사인 신세계와인컴퍼니(현 신세계L&B)를 직접 설립했다. 매튜 샤프(Matthew Sharp) 쉐이퍼 빈야드 총 지배인은 "얼티미터 빈야드를 쉐이퍼 빈야드 포트폴리오에 포함할 수 있어 기쁘다"며 "당사는 수십 년 간 최고급 와인을 생산하기 위해 노력했고 그 결과물이 나오고 있다"고 했다. 이번에 인수하는 얼티미터 빈야드는 나파밸리 아틀라스 픽(Atlas Peak)에 자리한다. 까베르네 소비뇽 와인 생산에 적합한
[더구루=정등용 기자]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이 인도 시장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또 한번 글로벌 확장에 나섰다. 미래에셋증권 인도 법인인 미래에셋캐피털마켓은 13일 모기업인 미래에셋증권으로부터 124억 루피(약 1940억원)의 자본을 투자 받았다고 밝혔다.미래에셋캐피털마켓은 이로써 총 319억 루피(약 5000억 원)의 자금을 조달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이번 투자를 통해 인도 시장 확대를 도모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인도 주식 시장에서 운영 중인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엠스톡(m.Stock)’의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엠스톡은 출시 1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현재까지 25만 개의 유료 계정과 65%의 활성 고객을 유치했다. 총 14억 루피(약 220억 원)의 매출을 기록 중이며, 지난해 7월 마진 거래 기능(eMargin)을 출시한 이후 2700억 루피(약 4조2000억 원)가 넘는 거래량을 달성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인도 시장 내 효율적인 자동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한편 원활한 고객 서비스 경험과 IT 인프라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기관 비즈니스 및 투자은행(IB) 시장 진출 역량을 강화해 인도 주식 시장 선두 주자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더구루=오소영 기자]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핵심 원재료인 '인산염'이 2026년부터 품귀 현상을 빚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LFP 배터리 수요가 폭증하며 인산염 고갈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테슬라를 비롯해 글로벌 완성차·배터리 업계의 타격이 우려된다. 13일 마이닝닷컴에 따르면 캐나다 인산염 제조사 퍼스트 포스페이토 존 파살라쿠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6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인산염이 부족해져 2026년 (배터리) 업계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전했다. LFP는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보다 성능은 떨어지지만 코발트를 쓰지 않아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화재 위험도 적어 테슬라와 포드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LFP 배터리를 채택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전 세계 LFP 배터리 시장은 2021년 100억 달러(약 13조원)에서 2028년 500억 달러(약 64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LFP 비중을 약 30%로 추정했다. 현재 중국에서 생산되는 배터리의 90% 이상이 LFP다. LFP 배터리 사용량은 늘고 있으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과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 두 기업 수장이 전격 회동했다. 합작사 설립 논의가 속도를 낼 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립부탄 인텔 CEO와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이번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TSMC 연례 기술 컨퍼런스에서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립부탄 CEO는 24일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TSMC는 우리의 아주 좋은 파트너로 설립자인 모리스 창과 웨이저자 CEO는 나의 오랜 친구"라며 "최근 만남에서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모색했고 서로에게 도움일 될 수 있는 상황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달 초 양사 간 합작사를 설립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와 주목받았다. 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인텔과 TSMC 임원이 최근 합작 투자사 설립을 위한 예비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인텔과 미국 반도체 기업이 합작사에 대한 대부분 지분을 보유하고, TSMC는 20%만 갖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웨이저자 회장은 지난 17일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합작회사, 기술 라이선스, 기술 이전·공유
[더구루=길소연 기자] 파나소닉 에너지가 미국 전기 상용차 스타트업 '하빈저 모터스(Harbinger Motors, 이하 하빈저)'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테슬라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해온 파나소닉은 하빈저의 트럭과 밴에도 공급해 성능과 효율을 극대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파나소닉 계열사인 파나소닉 에너지는 하빈저의 중형 전기차용 공식 배터리 셀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파나소닉 에너지는 하빈저의 모든 모델에 최신 2170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한다. 지름 21㎜, 높이 70㎜인 원통형 2170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배터리 생산 능력을 현재 10% 가량 향상시킨다. 이로써 생산비용이 감소되고, 배터리 가격이 낮아진다.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3와 모델 Y에도 파나소닉의 2170 배터리가 탑재되고 있다. 파나소닉 에너지가 공급할 2170 배터리 셀은 업계 최고 수준인 800Wh/L(리터당 와트시)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자랑하며, 트럭의 에너지 솔루션을 보장한다. 파나소닉 에너지가 일본에서 생산된 배터리 셀을 하빈저에 공급하면 하빈저의 독점 배터리 시스템에 통합돼 미국산 중형 전기차에 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파나소닉 에너지의 배터리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