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전기차 전환 추세에 보폭을 맞추지 못한 유럽 자동차 산업이 590조원에 달하는 경제적 손실을 볼 것으로 진단됐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맥킨지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빠른 전기차 전환으로 유럽 완성차 브랜드 점유율이 60%에서 45%로 하락하면서 향후 유럽 자동차 업계 경제적 손실은 최대 4000억 유로(약 59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맥킨지는 "전기차 전환은 전 세계적으로 추진력을 얻고 있으며 미국 테슬라와 중국 BYD 등이 이미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55%를 장악하고 있다"면서 "이에 반해 유럽의 경우 배터리 생산 등 주요 전기차 분야에서 뒤처져 있어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배터리 제조, 충전 인프라 등 전기차 생태계를 구축하지 못하면 유럽 자동차 산업은 추가적인 좌절에 직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맥킨지는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는 혁신적인 전략을 채택하고 성장하는 시장에 투자하는 동시에 새로운 파트너와 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면서 "아울러 전기차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소프트웨어의 기술 격차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고 전했다. 맥킨지는 "자동차 산업의 경쟁 우위를 유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친환경차 시장이 전기차에서 하이브리드차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성장세가 전기차 대비 4.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기차 캐즘과 충전 인프라 확장 속도가 전기차 판매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현재 전기차 판매 추세를 고려하면 오는 2030년까지 100만 개 이상 충전소가 새로 설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9일 미국 자동차혁신연합(AAI)에 따르면 2분기(4~6월) 미국 승용차 시장에서 전기차 점유율은 9.96%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9.05%) 대비 0.65% 상승했다. 특히 경형 EV 트럭 비중이 84%를 차지했다. 다만 하이브리드 점유율은 전년 대비 2.92% 증가, 전기차 성장세 보다 4.5배 가량 높았다. 특히 전기차 시장 규모가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여전히 충전소 확장 속도는 현저히 뒤처지고 있다. 2분기 미국 EV 시장 규모는 38만6221대로 전년 대비 9% 증가했지만, 신규 공공 EV 충전기 수는 1분기 대비 6% 확장된 1만121대에 그쳤다. 미국 재생에너지연구소에 따르면 2030년까지 필요한 공공 충전기는 100만 개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일반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 대표 모델 4개가 칠레 베스트셀링카 '톱10' 목록에 일제히 이름을 올렸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상품성을 인정받은 데 따른 결과이다. 특히 베스트셀링카 2위에 오른 기아 솔루토는 중국에서 생산되는 만큼 중국 합작법인 웨다기아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9일 칠레국립자동차협회(ANAC-Asociación Nacional Autromotriz de Chile)에 따르면 올들어 9월까지 누적 판매량 기준 현지 베스트셀링카 톱10에 현대차 그랜드 i10 HB와 액센트, 기아 솔루토와 모닝이 포함됐다. 구체적으로 기아 솔루토는 해당 기간 총 3798대 판매로 2위, 현대차 그랜드 i10 HB는 3144대로 4위를 기록하며 톱5에 이름을 올렸다. 현대차 액센트와 기아 모닝은 각각 2160대와 1592대로 6위와 8위에 랭크됐다. 1위는 스즈키 스위프트가 차지했다. 같은 기간 총 3955대 판매됐다. 스즈키 발레노 해치백은 3285대로 기아 솔루토에 이어 3위, 쉐보레 세일은 2697대를 판매, 4위 현대차 그랜드 i10 HB와 447대 격차로 5위를 기록했다. 6위와 9위, 10위는 각각 △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엘리베이터가 스리랑카 콜롬보시에 설치된 고속 엘리베이터와 첨단 에너지 효율 시스템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해외 유력 매체들은 현대엘리베이터의 뛰어난 기술력을 집중 조명하며 아시아 지역에서 현대엘리베이터가 경쟁력을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9일 영국 출판사 데일리 미러(Daily Mirror)와 미국의 엘리베이터 전문매체 엘리베이터월드(Elevator World) 등에 따르면 이 매체들은 스리랑카 콜롬보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현대엘리베이터의 다양한 기술 및 제품을 상세히 보도했다. 매체들은 특히 스리랑카 수도 콜롬보시에 위치한 '그라페이오 원(Grafeio One)' 사무용 건물에 주목했다. 이 건물은 스리랑카에서 유일하게 현대엘리베이터의 '목적지 제어 시스템(DSS)'을 활용한 고속 엘리베이터 6대가 운영되고 있다. DSS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통해 피크 시간 및 도어 작동 패턴을 분석해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특히 매체들은 스리랑카 최대의 유통 및 개발 회사 '존 킬즈 홀딩스(John Keells Holdings)'가 개발한 '시나몬 라이프 인터그레이티드 리조트(Cinnamon Life Integrat
[더구루=오소영 기자] 페루 국방부가 현대로템·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한국 기업들과 협력하는 페루 회사들의 역할론을 강조했다. 차륜형장갑차 도입과 경전투기 부품 생산에 협업 촉진을 주문하면서 국방력을 키우자고 강조했다. 9일 페루 국방부에 따르면 월터 아스투디요(Walter Astudillo) 장관은 최근 의회예산위원회에서 군의 억제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높게 평가했다. △현대로템·STX와 페루 육군 조병창(FAME S.A.C.)의 차륜형장갑차 파트너십 △KAI와 페루 국영 항공정비회사 SEMAN의 FA-50 부품 공동생산 업무협약(MOU)을 언급하며 페루 회사들의 역할을 강조했다. 현대로템과 STX는 지난 4월 페루 육군 조병창이 진행한 차륜형장갑차 입찰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한 달 후 페루 육군 조병창과 성공적인 사업 수행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내년 말까지 1차 양산분인 차륜형장갑차 K808 '백호' 30대를 공급할 예정이다. 향후 보병전투형·지휘용·대공방어용 등 다양한 파생 모델을 협의를 통해 추가로 납품한다. KAI는 FA-50 부품 공동생산에 SEMAN와 협력하고 있다. 공동 태스크포스를 꾸리고 기계·판금 등
[더구루=정예린 기자]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저장 용량이 5년 뒤 4배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대용량 이점을 앞세워 SSD 수요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9일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에 따르면 IEEE는 오는 2029년 SSD 저정 용량이 최소 4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재 2테라바이트(TB) 수준에서 2027년 4TB, 2029년 8TB의 저장 공간이 주류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낸드플래시 메모리 셀당 저장되는 비트 수도 발전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부터는 트리플레벨셀(TLC·3비트)에서 한 단계 진화한 TLC+(플러스)가 적용될 것으로 봤다. TLC+는 셀당 4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쿼드레벨셀(QLC)을 지칭한다. 낸드 레이어 수 역시 약 2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2025년 300단 이상 △2027년 500단 이상의 레이어 구현이 가능할 것이라고 봤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주요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은 1000단 이상의 레이어를 쌓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IEEE는 "다이 밀도를 계속 증가시키고 비트당 비용을 줄이는 경로에는 레이어당 메모리 셀 밀도를 높이고, 메모리 셀이 제조되는 홀 크기
[더구루=진유진 기자] 오만이 스마트 시티 개발·도심 재정비 계획을 통해 국토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간 도시 개발이 수도 무스카트에 집중되며 타 지역의 발전이 더뎠던 가운데 '오만 비전 2040'을 통해 기존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화를 달성하려는 의지로 풀이된다. 9일 코트라에 따르면 오만 정부는 최근 국가 공간 전략(Oman National Spatial Strategy, ONSS)을 통해 '다양한 지역에서의 균형 잡힌 통합 개발'을 목표로 한 자국 토지 활용 계획을 발표했다. 수도 무스카트에 개발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던 만큼 오만 정부는 이번 대규모 도시 정비 사업을 통해 전국적으로 도시 경관과 인프라를 개선하고 지역 간 균형을 맞춘다는 방침이다. 주요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중 하나인 마디나트 알 이르판(Madinat Al Irfan)은 무스카트 내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도시로, 30만 명을 수용할 주거 시설과 호텔, 쇼핑몰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현재 알 이르판 동부(Al Irfan East) 지구 1단계가 완공된 상태며, 오만 컨벤션·전시 센터(OCEC)와 비즈니스 복합 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오만 지도자 술탄 하이쌈이 지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 간 인도네시아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 'HLI그린파워'가 배터리 안전성을 자신했다. 철저한 테스트를 거쳐 고품질의 안전한 배터리를 생산, 화재 위험을 최소화한다는 설명이다. 9일 콤파스(Kompas) 등 인도네시아 현지 매체에 따르면 조셉 아난타 HLI그린파워 전극 공정 담당 부매니저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현대차 전기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여러 단계의 점검과 다양한 테스트를 거친다"며 "고객에게 보내는 배터리는 가장 높은 표준인 표준A를 통과한 배터리만 제공된다"고 밝혔다. 이어 "LG에너지솔루션은 매우 우수한 기록 트랙을 보유하고 있다"며 "배터리셀 제조 공정에서 열폭주 조건을 사전에 예상하는 등 잘 대처하기 때문에 배터리를 차량에 장착하기 전에 안전한지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HLI그린파워는 배터리를 출고하기 전 혹독한 테스트 과정을 거친다. △반복적인 충전·방전(CDC) △전압 누출 여부 등을 극한의 조건에서 수행한다. 약 10일 동안의 모니터링을 거쳐 최종적으로 합격 판정을 받은 배터리만 고객에 배송된다. 아난타 부매니저는 "우리는 셀이 충전되는 순간부터 배송을 위해 포장할 준비가 될
[더구루=오소영 기자] 루마니아 원자력공사(Societatea Nationala NUCLEARELECTRICA, SNN)가 원전을 2기에서 5기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재확인했다. 대형·소형 원전 모두 활용해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한다. 세계 최대 우라늄 생산국인 카자흐스탄과 핵연료 확보를 위한 굳건한 협력 관계를 지속하겠다는 의사도 내비쳤다. 9일 카자흐스탄 국영 통신사인 카진포름에 따르면 코스민 기짜(Cosmin Ghita) SNN 사장은 지난 1일 인터뷰에서 "현재 원전 2기가 있는데 같은 부지에 2기를 더 짓고 별도 장소에 SMR을 설치할 예정"이라며 "총 2기에서 5기로 늘리겠다"고 전했다. SNN은 체르나보다 원전 1·2호기에 더해 3·4호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각각 오는 2030년·2031년 가동한다는 목표로 공급사를 찾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사업 수주에 관심을 표하고 있다. 또한 SNN은 도이세슈티 지역에 석탄화력발전소를 페쇄하고 남은 부지에 462㎿ 규모의 SMR 발전소를 구축한다. 미국 뉴스케일파워의 77㎿급 SMR 6기를 설치해 2030년 상업운전할 계획이다. 기짜 사장은 "원전은 팬더믹과 같은 혼란 속에서도 일관되게 전력을 공급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이집트에 공급하는 K9 자주포에 현지 생산 엔진을 탑재합니다. 9일 이집트 방산물자부와 디펜스아라빅 등 외신에 따르면 STX엔진은 이집트향 K9 자주포에 탑재되는 'SMV 1000' 현지 생산을 위한 논의중입니다. 이를 위해 지난달 말 현지 국영 기업들과 미팅을 갖고 시설을 둘러봤습니다. 현지에서는 방산물자부 산하 국영 기업 헬완 캐스팅(Helwan Casting Company)이 STX엔진의 유력 파트너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무기 구매에 이어 생산 기술 전반으로 한국과 이집트의 방산 협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K9 자주포 탑재' STX엔진 SMV-1000 이집트 생산 확정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씨소프트가 선보인 MMORPG 게임 ‘쓰론 앤 리버티(이하 TL)’의 인기가 심상찮다. 지난 1일 글로벌 시장에 출시한 TL은 출시 첫날 스팀에서만 33만 명의 동시 접속을 기록하며 순항 중이다. 여기에 트위치에서는 전체 시청자 순위 TOP 10에 이름을 올려 뜨거운 관심을 얻고 있다. TL의 주요 수익모델은 배틀패스 방식으로 일정 기간 동안 캐릭터가 레벨을 올리거나, 스테이지를 클리어를 통해 특별한 미션을 완료해 그에 따른 성과를 지급한다. 특히 엔씨(NC)는 더욱 많은 이용자가 배틀패스의 혜택과 가치를 경험할 수 있도록 유료 재화 ‘루센트’를 통해 배틀패스 구매를 지원하고 있다. 이미 해외 커뮤니티에서는 TL의 화려한 그래픽을 인기 요인으로 꼽으며 실제 자연처럼 월드가 시시각각 변화하고 이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심리스(Seamless) 형식은 TL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로 평가했다. 이에 미국의 대표 게임 커뮤니티인 ‘레딧’에서 리뷰를 남긴 한 이용자는 “숨이 멎을 듯한 비주얼을 선사해 전투와 월드 탐험에서 큰 재미를 느꼈다”며 “많은 이용자가 서로 돕고 경쟁하는 커뮤니티성이 흥미 요소였다”고 평했다. 여기에 TL은 현재 21개에
[더구루=한아름 기자] 농심이 미국 서부에서 푸드트럭을 운영, 신라면과 알새우칩 제품 알리기에 나선다. 신라면을 통해 쌓은 인지도를 토대로 알새우칩을 핵심 상품으로 육성, 현지에 K라면·K과자 열풍을 일으킨다는 계획이다. 9일 환경단체 시클라비아(CicLAvia)에 따르면 농심과 손잡고 오는 13일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 차이나타운 허브(Chinatown Hub)에서 푸드트럭 이벤트를 연다. 시클라비아는 시민의 기후위기 대응의식을 높이고 탄소중립 실천 동참을 권하는 환경 단체로, '차 없는 거리' 캠페인을 전개한다. 농심은 시클라비아의 차 없는 거리 행사장에서 푸드트럭을 운영하고 △신라면 △알새우칩 등을 선보인다. 무료 시식 이벤트도 진행한다. DIY(Do It Yourself) 스테이션도 운영해 방문객들의 발길을 사로잡는다는 계획이다. 현지 유명 요리 인플루언서 지나바오비나(Jinabaobina)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신라면을 알새우칩과 함께 먹는 영상을 공개하며 푸드트럭 홍보전에 힘을 보태고 있다. 그는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 10만명을 보유한 음식 전문 인플루언서로, 알새우칩을 신라면 국물에 찍어 먹고 라면 면발을 알새우칩에 싸먹으며
[더구루=진유진 기자] 오만이 스마트 시티 개발·도심 재정비 계획을 통해 국토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간 도시 개발이 수도 무스카트에 집중되며 타 지역의 발전이 더뎠던 가운데 '오만 비전 2040'을 통해 기존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화를 달성하려는 의지로 풀이된다. 9일 코트라에 따르면 오만 정부는 최근 국가 공간 전략(Oman National Spatial Strategy, ONSS)을 통해 '다양한 지역에서의 균형 잡힌 통합 개발'을 목표로 한 자국 토지 활용 계획을 발표했다. 수도 무스카트에 개발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던 만큼 오만 정부는 이번 대규모 도시 정비 사업을 통해 전국적으로 도시 경관과 인프라를 개선하고 지역 간 균형을 맞춘다는 방침이다. 주요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중 하나인 마디나트 알 이르판(Madinat Al Irfan)은 무스카트 내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도시로, 30만 명을 수용할 주거 시설과 호텔, 쇼핑몰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현재 알 이르판 동부(Al Irfan East) 지구 1단계가 완공된 상태며, 오만 컨벤션·전시 센터(OCEC)와 비즈니스 복합 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오만 지도자 술탄 하이쌈이 지
[더구루=정등용 기자] 노르웨이 국영 에너지 기업 에퀴노르(Equinor)가 세계 최대 에너지기업 오스테드(Ørsted) 지분을 인수했다. 이로써 에퀴노르는 덴마크 정부에 이어 오스테드 2대 주주에 올랐다. [유료기사코드] 에퀴노르는 7일(현지시간) 오스테드 주식 4119만7344주를 약 25억 달러(약 3조3700억원)에 인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오스테드 전체 지분 중 9.8%에 해당하는 규모다. 에퀴노르는 관련 외국인 직접 투자 규정에 따라 덴마크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는 대로 지분율을 10%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에퀴노르는 오스테드의 전략과 경영을 지지하며 이사회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에퀴노르는 장기적 관점에서 오스테드에 대한 투자를 결정했다. 선도적인 개발업체에 대한 경기 순환적 투자인 동시에 현재 운영 중인 해상 풍력 자산에 프리미엄 포트폴리오를 추가하겠다는 차원이다. 실제 오스테드는 현재 약 10.4GW(기가와트) 규모의 순재생 발전 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총 7GW 규모의 해상 풍력 프로젝트 포트폴리오를 운영 중이다. 에퀴노르는 현재 35GW 수준인 총 재생에너지 설치 용량을 오는 2030년까지 38GW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