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연춘 기자] 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대표가 "주식회사 쌍방울 인수에 대한 의혹들과 관련해 추측성 보도를 자제해 달라"고 밝혔다. 정 대표는 22일 "내의시장에서 오랜 경험을 쌓아온 1세대 토종기업 쌍방울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터무니없는 말들이 나오고 있다"며 "일부 언론에서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보도함으로 인해 불필요한 오해가 발생하고, 회사 브랜드 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인수와 관련해 사실에 근거한 보도가 이뤄지길 강력히 요청한다"며 "결코 무리한 인수가 아닌 것은 물론 사실 확인이 이뤄지지 않은 정보나 추측성 내용을 SNS등 온라인에 게시하거나 공유하는 행위도 자제해 달라"고 덧붙였다. 앞서 네이처리퍼블릭은 지난 20일 쌍방울의 최대주주가 기존 광림에서 자회사 세계프라임개발로 변경된다고 공시했다. 세계프라임개발이 광림이 보유한 쌍방울 전체 주식 63만2297주를 70억원에 양수했다. 세계프라임개발은 정운호 대표가 지분을 40% 보유한 부동산 임대 회사다. 네이처리퍼블릭의 계열회사로 분류된다. 네이처리퍼블릭 관계자는 "쌍방울의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사업을 다각화할 계획"이라며 "두 회사가 서로 강점을 갖고
[더구루=김형수 기자] 맥도날드가 비건 신메뉴를 출시한다. 프랑스를 시작으로 유럽 곳곳에 도입, 차별화를 꾀한다는 전략이다. 국내에서도 해당 메뉴를 출시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버거 맥베지(McVeggie), 사이드 메뉴 맥랩 베지(McWrap Veggie) 등 채식지향 신메뉴 2종을 프랑스에 론칭했다. 프랑스 전역에 자리한 약 1560개 매장을 통해 이들 메뉴를 판매를 시작했다. 맥베지의 경우 지난 2020년 2월 호주에 이어 판매 국가를 확대했다. 맥베지와 맥랩 베지에는 소고기·닭고기 대신 우유 단백질, 해조류, 계란 등의 재료를 이용해 닭고기의 맛과 식감을 구현한 패티 '발레스'(Valess)가 들어간다. 맥도날드는 네덜란드 대형 유제품 기업 캄파니아(Campina)와 손잡고 발레스를 개발했다. 동물성 식품을 엄격하게 제한하는 비건이 아닌 채소·과일과 유제품·달걀을 먹는 락토오보, 여기에 더해 어패류도 섭취하는 페스코 수준의 채식 식단을 지향하는 소비자들을 겨냥해 이들 메뉴를 기획한 것으로 분석된다. 비건 메뉴 라인업 확대를 통해 늘어나는 프랑스 시장 내 관련 수요를 선점하려는 맥도날드의 행보로 풀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 국방부가 올해 국방 예산으로 120억 링깃(약 3조8700억원)을 책정했다. 곡사포와 함대함미사일 등 신무기를 도입해 군 현대화에 나선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으로부터 말레이시아 경전투기 'FA-50' 도 내년 10월 예정대로 인도받을 예정이다. 경전투기 사업을 바탕으로 'K-방산'의 말레이시아발 훈풍이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말레이시아 국방부와 NST닷컴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다툭 세리 모하메드 칼레드 노르딘(Datuk Seri Mohamed Khaled Nordin) 장관은 지난 16일(현지시간) "올해 첨단 무기 확보를 위해 120억 링깃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말레이시아는 105㎜ 곡사포와 함대함 미사일, 중고도 장기체공 무인항공시스템 등을 도입한다. 육·해·공군 모두 무기체계를 현대화하고 전투력을 강화한다. 연내 KAI의 FA-50도 처음으로 공급받는다. 모하메드 칼레드 노르딘 장관은 "KAI의 FA-50M(FA-50의 개량형) 사업 진척률이 48%에 도달했다"며 "2026년 10월께 첫 2대가 인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FA-50은 인도 테자스, 파키스탄 JF-17, 러시아 MIG-35, 튀르키예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물산이 호주 초고압직류송전(HVDC) 해저 케이블 공사 최종 후보로 선정됐다. 호주 매리너스링크는 22일 호주 본토와 태즈매니아섬을 연결하는 해저 케이블 1단계 공사와 관련해 컨소시엄 두 곳을 최종 후보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삼성물산은 호주 엔지니어링 기업 DT인프라스트럭처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에 참여했다. 호주 현지 건설사로 구성된 CPB·UGL 컨소시엄과 경쟁한다. 매리너스링크는 이르면 연내 최종 사업자를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이 사업은 호주 남부 빅토리아주(州) 라트로브밸리와 태즈매니아섬을 연결하는 345㎞ 길이의 지하 및 해저 케이블을 설치하는 공사다. HVDC 케이블과 광섬유 케이블, 통신국, 변전소 등을 건설한다. 사업비는 약 40억 호주달러(약 3조6000억원)로 추산된다. 해저 케이블 용량은 1500㎿(메가와트) 규모로 150만 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다. 2026년 착공, 2030년 인도가 목표다. 매리너스링크 측은 "이 사업의 주요 토목 패지키 사업은 지역 기업이 직접 혜택을 볼 수 있는 큰 기회가 될 것이라며 태즈매니아와 빅토리아의 혜택이 극대화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삼성물산은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카타르 건설·인프라 자재 유통 전문회사와 난방·환기·공조(HVAC) 분야 협력에 손을 잡았다. 파트너사를 통해 현지 공조 솔루션 사업을 확장하고 기업 간 거래(B2B)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22일 LG전자에 따르면 걸프법인은 최근 '타드무르 트레이딩(Tadmur Trading, 이하 타드무르)'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맞춤형 HVAC 솔루션을 현지 시장에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다드무르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상업용 건물, 병원 등에 HVAC 제품군을 공급하는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를 노릴 것으로 예상된다. 타드무르는 LG전자의 현지 파트너사로서 유통·설치·기술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양사 간 파트너십을 통해 LG전자는 현지 고객 기반을 다질 수 있을 전망이다. 카타르 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유지보수와 사후관리(A/S) 서비스 역량까지 확보, 고객과 신뢰를 쌓고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985년 설립된 타드무르는 기술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카타르의 건설·인프라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HVAC 장비 사업부를 별도로 두고 1995년부터 관련 사업을 추진해왔으며,
[더구루=이연춘 기자] 쌍방울 소액주주연대는 지난 21일 한국거래소 앞에서 집회를 열고 쌍방울 주식 거래 재개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앞에 모인 쌍방울 소액주주연대는 "정치적 표적수사로 인해 애꿎은 쌍방울의 소액주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이들의 소중한 자산이 보호 받을 수 있도록 거래 재개를 조치해 달라"고 한국거래소에 요구했다. 쌍방울은 지난 2023년 7월 6일 주권 매매 거래가 정지됐다. 이후 개선계획 이행 여부와 관련한 심의요청서를 제출하고 기업심사위원회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집회에 참석한 40대의 한 소액주주는 "전 임원들의 횡령·배임을 이유로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이 된다는 것은 부당하다"며 "현재 오너리스크도 없어졌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장폐지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는 여지는 충분하다"고 밝혔다. 이어 "쌍방울의 주식 거래정지는 주주들과 그 가족을 포함한 수십만 명의 재산이 걸려있는 중대한 문제"라며 "아무쪼록 거래소는 쌍방울이 거래가 될 수 있도록 조치해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이 캐나다 의료용 대마초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영국 자회사 벡투라 퍼틴 파마(Vectura Fertin Pharma·이하 벡투라)를 통해 캐나다 대마초 기반 생명공학기업 아비칸나(Avicanna)와 손잡고 캐나다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아비칸나에 따르면 벡투라와 과학·의학 분야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다만 구체적 계약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캐나다 소비자들의 의료용 대마초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접근성 제고를 위한 합동 과학·의학 위원회를 설립·운영하는 것이 해당 계약의 골자다. 캐나다 헬스케어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토대로 의료용 대마초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현지 소비자들에게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교육 자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아비칸나는 "벡투라와 협력해 우선 캐나다 의학 커뮤니티·환자·환자 옹호 단체·보험사 등과 관계를 구축하고 이들에게 의료용 대마초 접근성 문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면서 "또한 아비칸나 의료용 대마초 플랫폼 ‘마이메디’(Mymedi)를 통해 의료용 대마초 접근성을 개선하고, 환자 지원을 강화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확대될 것으로 예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배터리 소재 기업 다이나노닉(Dynanonic)이 스페인에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생산 공장을 설립한다. 유럽 전기차 배터리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이스라엘 미네랄 기업 ICL에 따르면 다이나노닉은 ICL과 스페인 카탈루냐주에 약 2억8500만 유로(약 4060억 원)를 투자해 LFP 양극재 생산 공장을 설립한다. 이번 합작 공장은 ICL 바르셀로나 공장 인근 살렌트 부지 약 25에이커 내에 건설된다. 이곳은 바르셀로나 항구와 인접해 있어 향후 유럽 내 배터리 소재 생산 허브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이나노닉은 완성차 업체들의 LFP 배터리에 대한 러브콜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신공장 건설을 통해 글로벌 양극재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유럽 내 전기차 완성차 업체들은 경제성과 안정성을 갖춘 LFP 배터리 채택을 확대하는 추세다. 실제로 전기차 1위 기업 테슬라는 지난 2020년 모델3에 탑재되는 배터리로 LFP 배터리를 택한 이후 LFP 배터리 비율을 늘려가는 모양새다. LFP 배터리는 코발트를 사용하지 않아 니켈·코발트·망간(NCM) 제품보다 저렴하
[더구루=정등용 기자] 아민 나세르 아람코 사장이 일각에서 제기된 석유 소비 피크설을 일축했다. 중국의 석유 수요가 여전히 높다는 이유에서다. [유료기사코드] 나세르 사장은 21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 참석해 블룸버그TV와 인터뷰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나세르 사장은 “우리는 여전히 중국에서 좋은 수요가 나오고 있다고 본다”면서 “중국은 인도와 함께 전 세계 소비 증가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람코는 아시아 국가들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도 최대 시장이자 주요 투자 대상인 중국의 수요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긍정적으로 평가해 왔다. 나세르 사장도 지난 10월 중국이 발표한 경기 부양책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다만 나세르 사장의 이번 주장은 지난해 12월 중국 시노펙(중국석유화공)이 발표한 분석 내용과 대조를 이룬다. 시노펙은 액화천연가스(LNG) 자동차와 전기자동차(EV)의 급속한 보급으로 휘발유와 디젤 연료(경유) 수요가 감소하면서 석유 소비량이 3년 후 피크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시노펙에 따르면 지난해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일렉트릭이 튀르키예 수도 이스탄불의 상수도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현지 대리점을 통해 고압전자접촉기를 납품했다. 튀르키예의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지원하고 전력기기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일렉트릭은 지난달 10일(현지시간) 튀르키예 대리점에 12kV 고압전자접촉기를 인도했다. 고압전자접촉기는 전기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스위칭 장치다. HD현대일렉은 현지 대리점을 통해 작년 9월 20일 이스탄불 상수도청(İSKİ)과 2만4500달러(약 3500만원) 상당 계약을 체결한 후 3개월 만에 납품했다. 고압전자접촉기는 İSKİ가 총괄하는 상수도 사업에 쓰인다. İSKİ는 멜렌강 수자원을 활용해 이스탄불에 식수를 공급하고자 상수도 인프라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이스탄불은 강우량 감소와 인구 증가로 식수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 지난 2021년 초에는 이스탄불의 주요 댐들의 저수율이 20% 이하로 떨어져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물 소비를 제한하지 않고 그대로 둔다면 주요 댐들이 메말라 식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튀르키예가 2030년부터 물 부족 국가 반열에 오를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차그룹 미국 전기차 전용공장인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클린 물류망 운영 효율이 높아질 전망이다. 지난해 투입된 수소연료트럭 엑시언트 물류 운송 동선에 포함되는 지역에 전기·수소 혼합 충전소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 22일 풀러 위원회(Pooler City Council)에 따르면 'Capitol Development Partners'(CDP)는 지난 6일 열린 풀러 위원회 회의에서 '풀러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했다. 풀러는 미국 조지아주 채텀 카운티에 있는 도시이며, CDP는 조지아주 사바나에 본사를 두고 있는 건설사이다. 풀러 프로젝트는 탄소 배출 제로화를 목표로 500 시브룩 파크웨이(500 Seabrook Parkway)에 풀러 전기·수소 혼합 충전소(Pooler EV·Hydrogen fueling station)를 마련하고, 전기와 수소 에너지 충전을 모두 하나의 시설에서 제공하겠다는 내용이 골자이다. 풀러 지역에서 진행하는 최초 친환경 프로젝트인 셈이다. 이날 발표를 맡은 존 노섭 변호사는 가까운 거리에 있는 HMGMA 지원을 위해 개발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MGMA 물류 차량으로 수소트럭 '엑시언트'가
[더구루(성남)=윤진웅 기자] 혼다코리아가 PCX의 2025년형 모델을 공식 출시했다. 배달과 퀵서비스 등 상업용 수요를 고려해 '그립 히터'를 기본 사양으로 넣는 세심한 배려를 토대로 라이더들의 마음을 훔친다. 혼다코리아는 22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고에서 신형 PCX를 공식 출시했다. 오는 24일부터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한다. 총 4가지 색상으로 구성했으며 판매 가격은 472만 원으로 책정했다. 이전 모델과 비교해 인상 폭이 20만 원에 불과하다. 신형 PCX는 PCX의 아이덴티티와 핵심 스타일링을 계승하면서 한층 세련된 디자인으로 진화했다. 심플하고 날렵해진 LED 헤드라이트를 적용해 고급스러운 프론트 디자인을 완성했다. 비상등과 브레이크등이 구분된 새로운 형태의 리어 라이트와 전면의 넓은 핸들바에 세련된 커버를 장착해 기능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만족시켰다는 평가이다. 파워 유닛은 유로5+(EURO5+) 강화된 환경규제를 충족하도록 설계된 eSP+(Enhanced Smart Power Plus) 엔진이 탑재됐다. 최고출력 12.5ps/8750rpm의 동급 대비 강력한 성능을 자랑할 뿐만 아니라 55.0km/ℓ(60km/h 정속 주
[더구루=김형수 기자] 맥도날드가 비건 신메뉴를 출시한다. 프랑스를 시작으로 유럽 곳곳에 도입, 차별화를 꾀한다는 전략이다. 국내에서도 해당 메뉴를 출시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버거 맥베지(McVeggie), 사이드 메뉴 맥랩 베지(McWrap Veggie) 등 채식지향 신메뉴 2종을 프랑스에 론칭했다. 프랑스 전역에 자리한 약 1560개 매장을 통해 이들 메뉴를 판매를 시작했다. 맥베지의 경우 지난 2020년 2월 호주에 이어 판매 국가를 확대했다. 맥베지와 맥랩 베지에는 소고기·닭고기 대신 우유 단백질, 해조류, 계란 등의 재료를 이용해 닭고기의 맛과 식감을 구현한 패티 '발레스'(Valess)가 들어간다. 맥도날드는 네덜란드 대형 유제품 기업 캄파니아(Campina)와 손잡고 발레스를 개발했다. 동물성 식품을 엄격하게 제한하는 비건이 아닌 채소·과일과 유제품·달걀을 먹는 락토오보, 여기에 더해 어패류도 섭취하는 페스코 수준의 채식 식단을 지향하는 소비자들을 겨냥해 이들 메뉴를 기획한 것으로 분석된다. 비건 메뉴 라인업 확대를 통해 늘어나는 프랑스 시장 내 관련 수요를 선점하려는 맥도날드의 행보로 풀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 국방부가 올해 국방 예산으로 120억 링깃(약 3조8700억원)을 책정했다. 곡사포와 함대함미사일 등 신무기를 도입해 군 현대화에 나선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으로부터 말레이시아 경전투기 'FA-50' 도 내년 10월 예정대로 인도받을 예정이다. 경전투기 사업을 바탕으로 'K-방산'의 말레이시아발 훈풍이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말레이시아 국방부와 NST닷컴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다툭 세리 모하메드 칼레드 노르딘(Datuk Seri Mohamed Khaled Nordin) 장관은 지난 16일(현지시간) "올해 첨단 무기 확보를 위해 120억 링깃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말레이시아는 105㎜ 곡사포와 함대함 미사일, 중고도 장기체공 무인항공시스템 등을 도입한다. 육·해·공군 모두 무기체계를 현대화하고 전투력을 강화한다. 연내 KAI의 FA-50도 처음으로 공급받는다. 모하메드 칼레드 노르딘 장관은 "KAI의 FA-50M(FA-50의 개량형) 사업 진척률이 48%에 도달했다"며 "2026년 10월께 첫 2대가 인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FA-50은 인도 테자스, 파키스탄 JF-17, 러시아 MIG-35, 튀르키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