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연춘 기자] 빙그레 메가히트작 바나나맛우유가 K-간식 선봉장으로 입지를 굳히고 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K-드라마 등 한류와 맞물려 지속적으로 판매량이 치솟으면서 매출 증가도 기대된다. 20일 미국 매체 올케이팝(Allkpop)에 따르면 빙그레가 K-컨텐츠 인기에 힘입어 미국 시장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미주 한인 마트 H-mart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외 법인 중 가장 매출이 높았던 중국 법인 매출을 넘어서며 미국 시장 공략을 확대할 전망이다. 바나나맛우유의 인기는 실제 제품의 품질과 맛에도 기인하지만 무엇보다 한국에서의 열풍에 대한 호기심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SNS와 블로그를 통해 한국에서의 유행 열풍에 대한 호기심이 구매로 이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 빙그레 주력 제품이 미국 마트에서 인기 브랜드로 자리잡으면서 현지 공략은 더욱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교민시장 마켓을 시작으로 아시안 마켓, 현지 대형마트인 코스트코 등으로 입점을 확대하고 있다. 바나나맛우유에 이어 메로나, 붕어싸만코 등 아이스크림의 미국 수출 물량이 최근 크게 증가했다. 올케이팝 측은 "바나나맛우유는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이 사랑
[더구루=김형수 기자] 뜨거운 여름이 성큰 다가온 가운데 팔도가 비빔면을 앞세워 일본 소비자 입맛 공략에 나섰다. 일본 시장은 중국, 미국에 이은 중요 라면 수출 시장으로 꼽힌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팔도는 일본 라쿠텐(Rakuten), 일본 소매업체 라옥스(Laox) 등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여름 시장 주력 제품인 팔도 비빔면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 라옥스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팔도 비빔면 봉지면을, 라쿠텐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팔도비빔면 봉지면과 컵라면을 선보이고 있다. 라쿠텐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팔도 비빔면 컵라면 제품 10개를 하나로 구석한 세트 상품을 팔고 있으며, 팔도 비빔면 봉지면 40개가 들어간 박스 단위 판매도 이뤄지고 있다. 다양한 요리에 활용해 맛을 낼 수 있는 팔도 비빔장(380g)도 구입할 수 있다. 팔도 비빔면은 지난 1984년 6월 팔도가 출시한 제품이다. 1986년 10월부터 일본 시장에 라면을 수출하기 시작했다. 농식품수출정보(KATI)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을 대상으로 수출한 라면은 6527만6000달러(약 830억원)에 달한다. 전년 대비 19.67% 늘어나며 가파른 성장세다. 팔도는 일본에서 판매하는 팔도 비빔
[더구루=홍성일 기자] 컴투스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미국의 엔터테인먼트 기업 '스카이바운드 엔터테인먼트(Skybound Entertainment, 이하 스카이바운드)가 추가 투자를 유치했다. [유료기사코드] 히로캐피탈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스카이바운드에 투자했다고 밝혔다. 히로캐피탈의 투자는 놀우드 어드바이저리가 주도하고 부스트 VC, 컴투스, 스카이댄스 엔터테인머트가 참여한 라운드에 참여하는 형태로 이뤄졌으며 상세 투자 내역은 공개되지 않았다. 히로캐피탈의 투자를 유치한 스카이바운드는 미국에 본사를 둔 멀티플랫폼 콘텐츠 기업으로 코믹스, TV, 영화, 도서 등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를 제작해왔다. 특히 세계적인 인기를 끈 좀비물인 '워킹데드'를 비롯해 슈퍼 다이노소어, 인빈서블 등 강력한 IP(지식재산권)를 보유하고 있다. 히로캐피탈은 향후 스카이바운드의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스카이바운드 관계자는 "우리의 비전에 대한 히로의 신뢰는 기존 프랜차이즈의 발전과 새로운 콘텐츠의 발전을 가속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히로캐피탈 관계자도 "스토리텔링보다 강한 것은 없다"며 "스카이바운드의 제작자, 큐레이터에 투자할 수…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스틱인베스트먼트가 인도 모바일 농산물 도매 플랫폼 '닌자카트(Ninjacart)'에 추가 투자를 완료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스틱인베스트먼트는 닌자카트의 900만 달러(약 110억원) 규모 자금조달에 참여했다. 스틱인베스트먼트와 함께 영국계 투자사 메인스트림디지털이 자금을 투입했다. 스틱인베스트먼트는 지난 2020년 12월 시리즈C 후속투자에 참여한 데 이어 두 번째 투자다. 이번 자금조달에서 닌자카트는 기업가치를 8억1200만 달러(약 1조300억원)로 평가받았다. 닌자카트는 인도 벵갈루루에 본사를 둔 B2B 농산물 도매 플랫폼이다. 농부와 배송기사, 소매상인 등이 앱 터치 몇 번으로 거래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했다. 벵갈루루와 첸나이, 델리, 뭄바이 등 인도 내 7개 도시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 인도의 과채류 소매시장은 2020년 기준 150조원으로 추산되며, 2030년에는 약 300조원 규모로 성장이 예상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미국에서 주식 거래 서비스를 출시했다. FTX는 향후 모든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슈퍼앱으로 성장해나간다는 목표다. FTX의 미국 자회사인 FTX US는 19일(현지시간) 주식 거래 플랫폼인 'FTX 스톡스(FTX Stocks)'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해다 플랫폼은 미국 내 유저들을 대상으로 서비스하는 미국 증시 거래 서비스다. FTX US는 FTX 스토스 출시에 맞춰 참여를 원한 유저들 중 일부를 추첨해 비공개 베타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FTX 스톡스는 기존 FTX 암호화폐 거래앱에 통합된 형태로 일반 주식은 물론 ETF 등도 거래할 수 있다. FTX는 투명한 거래와 공정한 가격 책정을 보장하기 위해 모든 주문을 나스닥을 통해 거래한다. FTX는 무엇보다 주식 거래 수수료를 받지 않고 서비스하며 최근 로빈후드 등에서 문제가 된 투자자 주식 주문 정보 판매(payment for order flow, PFOF)도 도입하지 않아 거래자들은 사실상 무료로 주식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FTX US는 USDC와 같은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통해 자금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아마존이 미국 저조도 태양전지 개발사 앰비언트 포토닉스(Ambient Photonics, 이하 앰비언트)에 투자했다. 앰비언트의 저조도 태양전지 공장 건설을 조력하고 저탄소 기술 발굴에 총력을 기울인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아마존은 기후서약펀드(Climate Pledge Fund)을 통해 앰비언트의 3100만 달러(약 390억원) 상당의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주도했다. 아마존과 함께 미국 퓨처 쉐이프·아이 스퀘어드 캐피탈·에코시스템 인터그리티 펀드도 투자에 참여했다. 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에 설립된 앰비언트는 저조도 태양전지 기술을 보유한 회사다. 저조도 태양전지는 기존 제품 대비 3배 더 많은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일회용 배터리를 제거하고 충전식 배터리의 질량을 줄여 환경적 이점도 제공한다. 폐기물뿐 아니라 탄소발자국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사물인터넷(IoT)·스마트홈 장치의 동력원으로 널리 활용될 전망이다. 앰비언트는 조달 자금을 토대로 미국 내 세계 최대의 저조도 태양전지 생산시설을 짓는다. 완전 자동화 공장을 구축해 연간 수천만개의 전지를 양산할 계획이다.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고자 미국
[더구루=김형수 기자] 쿠팡 고위경영진들이 지난달에 이어 이번달에도 줄줄이 쿠팡 주식을 팔아치웠다. 주주들의 매각 행진이 이어지며 엑시트(투자금 회수)에 시동을 걸었다는 관측도 나온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클 파커(Michael Parker) 쿠팡 최고회계책임자(CAO)는 쿠팡의 클래스A 보통주 7만2891주를 한 주당 평균 13달러(약 1만6500원)에 매각했다. 가격 범위는 1주당 12.77달러~13.24달러(약 1만6200원~1만6800원)였다. 전체 판매금액은 약 94만7583달러(약 12억원)에 달한다. 이번 주식 매각에 따라 마이클 파커 쿠팡 최고회계책임자가 보유한 쿠팡 주식은 11만1466주에서 3만8575주로 줄어들었다. 이번 매각 과정에서의 쿠팡 주식 평균가격을 감안하면 약 50만1475달러(약 6억4000만원)에 달한다. 쿠팡은 이번 거래에 3만8575주의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가 포함됐다고 전했다. 마이클 파커 최고회계책임자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주식 거래 보고 서류를 통해 특정 납세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주식을 팔았다고 설명했다. 마이클 파커 최고회계책임자는 지난 2019년 11월 쿠팡에 합류했다. 쿠팡 이전에
[더구루=한아름 기자] 카렌 후스만(Karen Housman) 전 아모레퍼시픽 미국 법인 마케팅 부사장이 경쟁사인 에스티로더에 새 둥지를 튼다. 글로벌 화장품업계가 위드 코로나 여파에 뷰티 생태계가 빠르게 회복됨에 따라 타사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전문인력 수혈을 통해 새활력을 불어넣는 것은 물론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카렌 후스만 전 아모레퍼시픽 미국 법인 마케팅 부사장이 에스티로더 아시아 퍼시픽(APAC) 수석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로 옮겼다. 카렌 후스만 신임 부사장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에스티로더 여행 소매(Travel Retail) 사업의 성장을 이끌겠다는 포부다. 이스라엘 아사(Israel Assa) 에스티로더 여행 소매 글로벌 사장은 "카렌 후스만 부사장은 뷰티 업계에 대한 높은 이해와 전문성뿐만 아니라 마케팅의 이론·실무를 두루 겸비한 최고의 전문가"라고 평가했다. 카렌 후스만은 뷰티 산업에서 20년 이상의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해왔다. 미국 뉴욕에 위치한 해밀턴 컬리지(Hamilton College)와 뉴욕 대학교 스턴 비즈니스 스쿨(NYU Stern School of Business)에서 경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건설이 수행 중인 베트남 하노이 도시철도 3호선 공사와 관련해 현지 교통당국이 시정부에 사업비 증액과 사업 기간 연장을 요청했다. 원주민 보상 문제로 중단된 공사가 재개될지 주목된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하노이 도시철도관리위원회(MRB)는 하노이 인민위원회에 사업비를 4조9050억 동(약 2680억원) 추가로 늘리고 사업 기간을 오는 2029년으로 연기하는 것을 제안했다. 요청이 승인되면 총사업비는 34조5300억 동(약 1조8890억원)으로 확대되게 된다. 이 사업은 하노이 북서부와 남부를 잇는 도시철도 3호선의 뇬과 하노이 구간 4개 역사를 짓는 것이다. 총길이는 12.5㎞로 지상 8.5㎞, 지하 4㎞다. 총사업비는 14억2000만 달러(약 1조6670억원)다. 현대건설은 이탈리아 건설업체 겔라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하 구간 공사를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2017년 첫 삽을 뜬 이후 건설 부지 이전 지연, 공사 대금 미지급, 원주민 보상 문제 등으로 계속 차질을 빚고 있다. 작년 6월 이후 공사가 멈춘 상태다. 이에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지난해 11월 공사 지연에 따른 피해 보상으로 1억1470만 달러(약 1450억원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플러그파워가 스위스 수소 회사 H2 에너지(이하 H2E)와 대형 원자재 중개업체 트라피규라의 합작사 'H2 에너지 유럽'으로부터 대규모 전해조 주문을 받았다. 유럽에서 수주 행보를 이어가며 플러그파워의 대주주인 SK의 수혜가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플러그파워는 지난 17일(현지시간) "H2 에너지 유럽으로부터 1GW 규모 전해조를 수주했다"라고 밝혔다. 뉴욕주 로체스터 기가팩토리에서 생산한 전해조를 공급할 계획이다. 플러그파워의 전해조는 덴마크 에스비에르 인근 수소 생산 복합단지에 2024년께 배치된다. 덴마크 정부는 작년 9월 세계에서 가장 큰 용량의 전해조를 설치해 수소 생산 거점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했었다. H2 에너지 유럽의 주도로 사업을 추진했으며 반년 만에 플러그파워와 전해조 공급 계약을 성사시켰다. H2 에너지 유럽은 인근 해상풍력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활용해 2025년부터 그린 수소를 만들 예정이다. 연간 생산량은 최대 10만MT(메트릭톤)으로 추정된다. 이는 하루 약 1만5000대 대형차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그린 수소는 다양한 수요처에 공급된다. H2E는 2019년 9월 현대자동차와 합작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웹3 생태계 전문 투자사인 해시드가 블록체인 기술 개발자 보조금 플랫폼인 '퀘스트북(Questbook)'에 투자했다. [유료기사코드] 퀘스트북은 18일(현지시간)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830만 달러(약 105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렘니스캡이 주도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해시드를 비롯해 코인베이스 벤처스, 알라메다 리서치, 드래곤플라이, 폴리곤 등 블록체인 생태계를 이끄는 대표 투자사들이 대거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외에도 솔라나 블록체인 공동창업자인 라즈 고칼 등도 앤젤투자자로 참여했다. 퀘스트북은 웹3 생태계 구축에 나선 개발자들이 손쉽게 지원 받을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퀘스트북은 웹3 보조금 생태계와 개발자 간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폴리곤, 솔라나, 하모니, 니어 등 블록체인 생태계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있다. 퀘스트북은 이를 통해 블록체인 생태계 혁신을 가속시킨다는 계획이다. 퀘스트북은 현재 20명의 개발팀으로 구성돼 있으며 2만여명의 개발자 커뮤니티도 구성하고 있다. 퀘스트북은 올해 하반기 개발자들이 온라인을 통해 보조금 자격 증명 등을 진행할 수 있는 온체인 보조금
[더구루=정예린 기자] 엘앤에프의 파트너사인 중국 CNGR이 인도네시아에 1조원이 넘는 대규모 추가 투자를 단행한다.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니켈 공장을 지어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CNGR은 싱가포르 금융업체 리케자 인터내셔널(이하 리케자)의 지원을 받아 인도네시아 북말루쿠 웨다베이 산업단지 내 3개의 니켈 처리 공장을 건설한다. 총 투자액은 13억 달러(약 1조6479억원)에 이른다. 각 공장은 연간 4만t 규모의 고급 니켈 매트를 생산할 예정이다. CNGR이 홍콩 지사를 통해 공장 지분의 70%를 보유하고 리케자가 나머지 30%를 갖는다. CNGR은 지난 4월에도 리케자와 2억4300만 달러(약 3083억원)를 공동 투자를 발표한 바 있다. 중부 술라웨시에 위치한 모로왈리 산업단지에 연간 3만t 규모 니켈 매트 공장을 짓는다. CNGR의 인도네시아 누적 투자액은 2조원에 이른다. 두 달 새 잇따라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니켈 확보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니켈은 배터리 4대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양극재의 주 원료다.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 배터리 3사를 비롯해 여러 기업들이 하이니켈 제품 개발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컴투스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미국의 엔터테인먼트 기업 '스카이바운드 엔터테인먼트(Skybound Entertainment, 이하 스카이바운드)가 추가 투자를 유치했다. [유료기사코드] 히로캐피탈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스카이바운드에 투자했다고 밝혔다. 히로캐피탈의 투자는 놀우드 어드바이저리가 주도하고 부스트 VC, 컴투스, 스카이댄스 엔터테인머트가 참여한 라운드에 참여하는 형태로 이뤄졌으며 상세 투자 내역은 공개되지 않았다. 히로캐피탈의 투자를 유치한 스카이바운드는 미국에 본사를 둔 멀티플랫폼 콘텐츠 기업으로 코믹스, TV, 영화, 도서 등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를 제작해왔다. 특히 세계적인 인기를 끈 좀비물인 '워킹데드'를 비롯해 슈퍼 다이노소어, 인빈서블 등 강력한 IP(지식재산권)를 보유하고 있다. 히로캐피탈은 향후 스카이바운드의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스카이바운드 관계자는 "우리의 비전에 대한 히로의 신뢰는 기존 프랜차이즈의 발전과 새로운 콘텐츠의 발전을 가속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히로캐피탈 관계자도 "스토리텔링보다 강한 것은 없다"며 "스카이바운드의 제작자, 큐레이터에 투자할 수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미국에서 주식 거래 서비스를 출시했다. FTX는 향후 모든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슈퍼앱으로 성장해나간다는 목표다. FTX의 미국 자회사인 FTX US는 19일(현지시간) 주식 거래 플랫폼인 'FTX 스톡스(FTX Stocks)'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해다 플랫폼은 미국 내 유저들을 대상으로 서비스하는 미국 증시 거래 서비스다. FTX US는 FTX 스토스 출시에 맞춰 참여를 원한 유저들 중 일부를 추첨해 비공개 베타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FTX 스톡스는 기존 FTX 암호화폐 거래앱에 통합된 형태로 일반 주식은 물론 ETF 등도 거래할 수 있다. FTX는 투명한 거래와 공정한 가격 책정을 보장하기 위해 모든 주문을 나스닥을 통해 거래한다. FTX는 무엇보다 주식 거래 수수료를 받지 않고 서비스하며 최근 로빈후드 등에서 문제가 된 투자자 주식 주문 정보 판매(payment for order flow, PFOF)도 도입하지 않아 거래자들은 사실상 무료로 주식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FTX US는 USDC와 같은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통해 자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