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IBK기업은행 인도네시아법인의 주가가 최근 한 달 새 두 배 넘게 뛰었다. 기업은행 인니법인뿐만 아니라 부쿠(Buku)2 등급 은행 대부분이 급등세를 보였다. 현지 금융당국이 자본 규제 강화를 계획대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거듭 강조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증시에서 기업은행 인니법인 IBK인도네시아은행의 주가는 주당 555.00루피아(약 44원)으로 전거래일보다 24.4% 상승했다. 특히 2월 들어 현재까지 160%나 급등했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을 포함해 대부분의 부쿠2 등급 은행 주가가 크게 올랐다. 카타르국립은행(QNB) 인도네시아는 전거래일 대비 34.6% 급등한 210.00루피아(약 17원)에 장을 마쳤다. 이 은행 역시 지난 한 달 새 두 배 넘게 치솟았다. 이외에 가네샤은행(34.0%), 마스피온은행(24.6%), 부미아르타은행(24.9%) 등도 30% 안팎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인도네시아 은행은 자산 규모에 따라 부쿠1~4 등급으로 분류한다. 등급이 높을수록 자산 규모가 크다. 부쿠2 등급은 핵심 자본이 1조 루피아(약 790억원) 이상, 5조 루피아(약 3940억원) 미만이다. IBK인
[더구루=홍성환 기자] 베트남 정부가 한국수출입은행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활용해 베트남 푸토성 도안훙 지역 교량을 신축한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교통부는 도안훙 교량 신축 사업에 대한 투자를 승인했다. 건설비용은 694억동(약 34억원)이다. 베트남 정부와 수출입은행이 체결한 EDCF 차관 공여 계약에서 재원을 충당한다. 푸토성 차이강 인근 지역인 도안흥과 치담을 연결하는 다리로 총길이 12m, 왕복 2차선으로 건설된다. 푸토성 인민위원회는 조만간 부지 정리 작업을 실시하고 공사를 맡을 건설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올해 4분기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EDCF는 우리나라가 1987년부터 개발도상국의 산업발전과 경제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운용하고 있는 장기 저리의 차관 제공 기금이다. 베트남은 최대 EDCF 지원국으로 2019년 말 기준 66개 사업에 3조353억원을 승인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이 인도 기술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 성장 잠재력이 충분한 사업 초기 단계의 기업을 발굴하고 성장 단계별 지원을 제공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아쉬스 데이브 미래에셋벤처투자 인도법인 최고경영자(CEO)는 중국 IT전문 인터넷매체 '크리에이셔(KrASIA)'와 인터뷰에서 "최근 조성한 벤처펀드를 통해 핀테크, 전자상거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분야의 스타트업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데이브 CEO는 또 "기업의 성장 단계에 맞춰 지속해서 투자에 나설 예정"이라며 "앞으로 2년간 10여건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래에셋벤처투자 인도법인은 올해 초 사업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3500만 달러(약 390억원) 규모 벤처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향후 펀드 규모를 최대 7500만 달러(약 810억원)까지 확대할 수 있다. 이 펀드는 미래에셋벤처투자 인도법인이 독립적으로 운용한다. <본보 2021년 1월 5일자 참고 : [단독] 미래에셋, 인도 스타트업에 배팅…380억 투자펀드 조성> 데이브 CEO는 최근 인도에서 벤처캐피털(VC)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것과…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도네시아 정부가 인도네시아 자산관리공사(PT Perusahaan Pengelola Aset)의 자본 확충을 위해 KB부코핀은행 등 정부 보유 주식 일부를 현물출자했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는 부코핀은행과 인도삿(PT Indosat), 람풍공단(PT Kawasan Industri Lampung), 속핀(PT Socfin) 등의 주식을 인도네시아 자산관리공사에 양도했다. 이는 공사의 자본을 확대해 사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 부코핀은행은 "정부의 주식 양도가 경영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공사에 양도한 부코핀은행 주식은 시리즈A 주식 473만6255주, 시리즈B 주식 10억3423만2376주다. 한편, 부코핀은행의 주가는 지난 1일(현지시간) 주당 585루피아(약 46원)다. 지난해 7월 국민은행이 최대 주주에 오른 이후 200% 넘게 상승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으로 전 세계 부동산 경기가 위축된 가운데 '코리안 머니'가 미국 상업용 부동산(CRE) 시장에서 두 번째 큰 손으로 부상했다. 특히 국민연금과 하나금융투자가 대형 거래를 연이어 성사시키며 주요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2일 부동산 정보회사 리얼캐피탈애널리틱스(Real Capital Analytics)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자본의 미국 상업용 부동산 투자 규모는 52억4300만 달러(약 5조8670억원)로 전년 대비 88% 증가했다. 캐나다(123억6200만 달러·약 13조8330억원)에 이어 2위로 2019년 4위에서 두 계단 상승했다. 국민연금과 하나금융투자의 투자가 두드러졌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미국 부동산 상업용 부동산에 24억 달러(약 2조6810억원)를 투자했다. 단일 기관 가운데 캐나다 브룩필드자산운용(36억 달러·약 4조260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액수다. 국민연금은 미국 사모펀드 스톡브리지캐피탈과 창고형 물류시설 23곳을 20억 달러(약 2조2360억원)에 인수했고, 뉴욕 맨해튼 '원 메디슨' 개발 프로젝트에도 지분 투자했다. 하나금융투자가 5위였다. 지난해 12월 미국 시애틀…
[더구루=길소연 기자] 쿠팡의 뉴욕증시 상장 공모가격이 주당 27달러~30달러 선에서 결정됐다. 공모 희망가 상단을 기준으로 한 자금 조달액은 최대 36억 달러(약 3조9852억원) 규모로 이렇게 되면 쿠팡의 기업가치는 510억 달러(약 57조원)에 평가될 전망이다. 쿠팡이 1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IPO 자료에 따르면 총 1억2000만주의 보통주를 주당 27~30달러의 공모가로 발행해 최대 36억 달러(약 3조9852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 쿠팡이 IPO에 성공하게 되면 기업가치는 최대 510억 달러(약 57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쿠팡이 2018년 사모 투자를 받을 때의 기업가치 평가액(90억 달러)을 크게 뛰어넘는 수준이다. 쿠팡은 뉴욕증권거래소에 쿠팡의 모기업 본사인 쿠팡엘엘씨(CPNG)으로 거래될 계획이다. 쿠팡의 상장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증권거래소 상장 아시아 기업 가운데 4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하게 된다. 아시아 기업 중 가장 큰 규모는 2014년 250억 달러(약 28조원)를 조달한 중국 알리바바그룹이다. 특히 쿠팡의 미 증시 IPO에 성공할 경우 손정의(孫正義·손 마사요시) 회장이 이끄는 일본…
[더구루=홍성환 기자] 부산항만공사(BPA)가 올해 8300억원의 공사채 발행 목표를 세웠다. 조달한 자금을 BPA판 뉴딜사업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극복 등에 투입할 계획이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부산항만공사는 지난 1월 열린 이사회에서 이러한 내용의 '2021년 공사채 발항계획'을 의결했다. 부산항만공사는 올해 사업계획과 예산이 원활하게 집행 할 수 있도록 부족 자금을 공사채 발행을 통해 조달한다는 방침이다. 부산항만공사는 올해 △코로나19 위기 극복 △스마트 해운항만물류시스템 구축 △BPA판 뉴딜사업 등에 중점을 두고 예산안을 편성했다. 중장기 사업계획에 따라 부산항 신항 서 컨테이너부두 개발사업, 신항 남 컨테이너 배후단지 조성 사업, 부산항 북항재개발 사업에 우선적으로 사업비를 투입할 계획이다. 스마트 해운물류시스템 구축(디지털 뉴딜), 친환경 안전항만 구현(그린 뉴딜) 등을 추진한다. 또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선사, 운영사, 터미널입주사 등 부산항 이용 고객과 고통 분담을 위해 임대료와 사용료를 감면하고, 국적선사와 화주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를 한시적으로 시행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화재가 지분 투자한 베트남 손해보험사 피지코(Petrolimex Insurance Corporation)가 자동차보험 전자증서 발급 서비스를 도입했다. 베트남 정부가 올해 초 관련 법을 개정하면서 업계에서 가장 먼저 전자보험증서 발행 시스템을 구축했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피지코는 1일(현지시간) 온라인 자동차 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전자보험증서 발급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는 디지털 금융 강화 정책의 일환으로, 앞서 피지코는 지난해 온라인 자동차보험 상품을 선보인 바 있다. 피지코 이외에 BIDV보험, 비엔동보험, 리안 등도 같은 날 자동차보험 전자증서 발행 서비스를 도입했다. 각사 온라인 채널을 통해 전자보험증서를 발급한다. 베트남 정부는 지난 1월 자동차보험 가입자가 기존 보험증서 이외에 전자보험증서도 발급받을 수 있도록 법을 개정했고, 이달부터 본격 시행했다. 최근 베트남에서 자동차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자동차 보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피지코의 자동차 보험은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에도 전년 대비 12.6%나 성장했다. 피지코는 베트남 국영 기업 베트남석유공사가 설립한 손해보험사다. 삼성화재는 지난 20
[더구루=홍성환 기자] DGB금융그룹이 캄보디아 정부와 협력 관계를 강화하며 현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캄보디아 자유무역협정(FTA)이 최종 타결되면서 두 나라 간 투자·교역이 확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시장 선점에 나선 모습이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DGB금융그룹과 주한 캄보디아대사관은 지난 24일 상호 교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김태호 DGB금융지주 회장과 롱 디만체 캄보디아 대사가 이날 협약식에 참석해 MOU에 서명했다. 이번 협약은 한국과 캄보디아 간 FTA 시행을 앞두고 투자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양국 정부는 이달 초 FTA 협상을 마무리하고 공동 서언문에 서명한 바 있다. 양측은 이른 시일 내에 FTA 협정문에 정식 서명을 추진할 예정이다. 디만체 대사는 캄보디아 언론 프놈펜포스트와 인터뷰에서 "한국 주요 금융기관과의 MOU는 두 나라의 교역 확대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한국 투자자들이 캄보디아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DGB금융그룹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DGB대구은행 캄보디아 현지법인의 디지털 시스템 개선에 투자하고, 캄보디아 이주 노동자에 대한 금융 서비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계열사 글로벌X가 중국 혁신 기업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내놨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X는 지난달 '차이나 디스럽션(China Disruption) ETF'를 출시했다. 이 ETF는 주요 유망 분야에서 파괴적 혁신을 이끄는 중국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투자 대상 산업 분야는 △자율·전기차 △기후변화 △클라우드 컴퓨팅 △사이버 보항 △전자상거래 △교육 △핀테크 △5G △사물인터넷 △의료혁신 △인공지능(AI) △소셜미디어 △비디오게임·e스포츠 등이다. 글로벌X는 "중국은 전 세계에서 파괴적 혁신을 이끄는 시장으로 부상했다"며 "5세대 이동통신(5G), 전자상거래, 게임 등의 분야에서 중국 기업은 첨단 기술을 앞세워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의료와 청정 에너지 분야에서도 영향력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X는 2008년 설립된 미국 ETF 전문 운용사로,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지난 2018년 인수했다. 테마형·인컴형 등의 차별화한 상품을 공급하며 주목을 받았다. 현재 70개 이상의 상품을 운용하고 있다. 지난해 말 현재 운용자산(AUM)은 200억 달러(약 22조5000억원)에 이른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부동산 전문 자산운용사 삼성SRA자산운용의 스페인 마드리드 대형 쇼핑몰 인수가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영국 부동산 신탁사 인투프로퍼티스는 스페인 마드리드에 있는 쇼핑몰 산아두몰(Xanadu mall) 지분 매각과 관련해 미국 교직원퇴직연금기금(TIAA) 산하 부동산 투자운용사 누빈리얼에스테이트와 협상을 진행 중이다. 앞서 인투프로퍼티스는 지난 2017년 이 쇼핑몰을 5억3000만 유로(약 7230억원)에 인수한 이후 지분 50%를 누빈리얼에스테이트에 매각한 바 있다. 이번 협상이 마무리되면 누빈리얼에스테이트가 지분 100%를 보유하게 된다. 현재 매각 협상가는 2억 유로(약 2730억원) 안팎이다. 인투프로터티스는 영국에서 주요 상위 20개 쇼핑몰 가운데 9개를 보유한 업체다. 지난해 6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유동성 위기로 45억 파운드(약 7조원)에 달하는 부채가 생기면서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이에 경영 정상화 방안의 일환으로 이 쇼핑몰을 내놨다. 삼성SRA자산운용을 비롯해 유로펀드그룹, 노스우드 등이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협상 과정에서 이견을 보이면서 결국 무산됐다. 삼성SRA자
[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은행이 베트남에서 대규모 경품 행사를 실시한다. 신규 고객을 유치해 고객 기반 확대를 위한 것이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 베트남법인은 내달 1~31일(현지시간) 개인대출 고객을 대상으로 8억동(약 4000만원) 규모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전국 지점 또는 온라인·모바일을 통해 대출을 신청하는 고객 가운데 추첨을 통해 경품을 제공한다. 1등 1명에게 4억동(약 2000만원) 상당의 소형차를 제공한다. 2등 2명에게는 삼성 QLED 스마트TV, 3등 3명에게는 아이폰12 등을 증정한다. 이외에 냉장고, 밥솥, 쇼핑바우처 등을 선물한다. 하나은행이 투자한 베트남 국영 상업은행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도 신규 고객을 대상으로 최대 73억 동(약 3억5600만원) 규모 경품 이벤트를 진행한다. 연말까지 예금 패키지에 가입하는 고객에게 1만~2만동(500~1000원)의 현금 또는 이에 상응하는 선물을 증정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SMIC가 미국으로부터 일부 장비 수입 허가를 받았다. 미국 제재에 대규모 증설 계획까지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반도체 수급난 해결사 역할을 해낼 수 있을 지 주목된다. 3일 미국 반도체업계 전문 연구 기관 '세미컨덕터 리서치 코오퍼레이션(Semiconductor Research Corporation)'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 등 관련 정부 기관은 현지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가 SMIC에 14nm(나노미터) 이상 공정 장비 공급할 수 있도록 라이선스를 승인했다. SMIC는 이전에 14나노 웨이퍼에 사용되는 핵심 장비 승인을 신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었다. SMIC는 "글로벌 산업 체인 파트너사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회사의 생산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회사는) 줄곧 관련 법규에 따라 합법적으로 경영해 왔고, 단기간 내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이번 승인은 상대적으로 기술 수준이 낮은 14나노 공정에 한정됐기 때문에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상무부와 국방부는 지난해 12월 SMIC를 무역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SMIC에 반도체 기술과 장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자동차 스타트업 피스커가 스포츠유틸리티(SUV) 전기차 '오션'의 가격 경쟁력을 승부처로 삼고 현대자동차 '아이오닉5'와 테슬라 '모델Y'에 도전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피스커는 오는 4분기 중형 SUV 전기차 '오션' 생산에 돌입, 내년 본격적인 판매에 나설 예정이다. 피스커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기반으로 한 전기차 스타트업이다. BMW와 애스턴 마틴 등에서 디자이너로 활동한 헨릭 피스커가 창업했다. 지난 2019년 11월 오션의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지난해 10월 마그나 인터내셔널과 생산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아직 자세한 사양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오션의 배터리 용량은 80㎾h으로 1회 충전 시 402~563㎞ 주행이 가능하다. 여기에 주행거리를 늘리는 데 유용한 '솔라루프'의 지원으로 거리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중형 SUV임에도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3열까지 추가하는 등 공간활용도가 높다는 점도 특징이다. 무엇보다 저렴한 판매가가 눈길을 끈다. 오션의 판매가는 3만7499달러(약 4200만 원)부터 시작된다. 동급인 아이오닉5와 모델Y와 비교하면 최고 1800만 원 이상 저렴하다. 아이오닉5의 가격은 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