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때아닌 K푸드 바람이 거세다. 농심 메가마트와 한국 및 아시안 식품을 판매하는 슈퍼마켓 체인 H마트가 속속 실리콘밸리에 출점하며 K푸드가 현지 소비자 입맛 공략에 나섰다. 한류 콘텐츠 인기에 힘 입어 식품 한류의 역사를 새로 쓴 라면, 만두 등의 가치가 더 진화할것으로 전망된다. 농심그룹의 유통전문업체 메가마트는 지난달 23일 현지시간 실리콘밸리 근처 프리몬트(Fremont)에 새 매장이 오픈했다. 애틀란타와 써니베일에 이어 오픈한 메가마트 미국 3호점이다. 2만7000㎡ 규모로 조성됐다. 프리몬트 지역 인구 가운데 60%가량을 아시안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메가마트는 아시안 델리 카운터를 운영하며 불고기, 스시, 국수 등도 판매한다. <본보 2022년 9월 26일 참고 '농심 3남 신동익' 미국 사업 잰걸음…메가마트 3호점 닻 올렸다> 메가마트 미국 현지법인은 2010년 미국에 첫 발을 내딛었다. 10년 여간 현지 사업 노하우가 쌓이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해외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 시장에서 농심과의 시너지도 기대된다. 영화 기생충 효과에 짜파게티, 간판 제품 신라면
[더구루=한아름 기자] 유통업계 오너 3세들이 국내를 넘어 속속 글로벌 무대에 등장하며 데뷔전을 마쳤다. 롯데와 농심, 아모레퍼시픽 등 3세들이 해외 경영 수업에 나서거나 직접 사업을 진두지휘하는 모습이 글로벌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업계에선 이들 3세 경영 보폭도 한층 넓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 신유열 롯데케미칼 일본지사 상무는 지난 8월 신 회장과 함께 베트남을 찾았다. 그 동안 세간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던터라 눈길을 끌었다. 신 상무는 아버지 신 회장의 지근거리에서 수행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당시 그는 베트남 '권력 서열 2위'인 응우옌쑤언푹 국가 주석을 예방한 자리에 함께 참석했다. 이후 베트남 경제중심인 호찌민에서 판반마이 인민위원장과 베트남 내 외국인투자(FDI) 실무를 총괄하는 기획투자부(MPI) 및 공산당 정치국 핵심 관계자를 만날 때도 동행했다. 현지 사업 확장을 위해 반드시 친분을 쌓아 둬야 하는 베트남 주요 인사들과 사실상 첫 교류를 시작한 것으로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신 회장이 베트남 사업 전반에 대해 논의하는 중요한 자리에 신 상무와 함께 하며 돈독한 부자(父子) 관계를 보여줬다.베트남 주요 정부 인사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배터리 회사들이 지난 1년 동안 최대 500GWh에 달하는 해외 공장 건설을 발표한 것으로 확인됐다. 탄탄한 내수를 토대로 폭풍 성장한 중국 기업들이 유럽을 중심으로 글로벌 영토를 확장하며 국내 기업과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3일 코트라 베이징무역관과 창장증권연구소에 따르면 중국 주요 배터리 업체들이 지난 1년간 계획한 해외 배터리 공장의 생산능력은 총 400~500GWh에 달한다. CATL은 지난 8월 헝가리 데브레첸에 연간 생산능력 100GWh에 달하는 유럽 최대 배터리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공장 부지만 221만㎡, 총투자액은 73억4000만 유로(약 10조원)다. CATL은 연내 착공해 2028년께 완공한다는 목표다. SVOLT도 독일 자를란트에 배터리 팩·모듈 생산시설을 건립했다. 연내 팩 생산에 돌입하고 내년부터 모듈 양산에 착수할 예정이다. 테슬라 기가팩토리가 있는 브란덴부르크에 신공장 건설도 추진하고 있다. 궈시안은 연내 독일 괴팅겐 공장을 가동할 계획이다. 연간 5GWh의 생산라인을 먼저 돌리고 궁극적으로 생산량을 20GWh까지 확대한다. 아울러 중국 허페이·미국·베트남 생산시설에 장비를 깔아 연간 60GW
[더구루=길소연 기자] 해상 풍력 산업의 급속한 확장으로 항만 용량이 부족하자 유럽 항구가 힘을 합쳤다. 해상 풍력 산업의 급속한 확장으로 항만 시설이 필요하자 항구 협력으로 시설을 늘린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북유럽의 해상 풍력과 관련된 6개 주요 항구는 파트너십을 맺고, 해상 풍력 목표를 달성한다. 6개 항구는 △덴마크의 에스비에르 항구(Esbjerg Port) △벨기에 오스텐드 항구(Port Oostende) △네덜란드 흐로닝언 항구(Groningen Seaports) △독일 니더작센 항구(Niedersachsen Port) △프랑스 낭트 생트 나제르 항구(Nantes-Saint Nazaire Port) △영국 험버(Humber) 등이다. 이들은 동맹을 구축해 매년 두 번 만나 통찰력과 지식을 논의하고 공유한다. 올해는 연말 에스비에르 항에서 열릴 예정이다. 유럽 항구들은 해상 풍력 발전 속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해상 풍력 발전 단지를 최초로 개발한 북유럽 국가들은 현재 산업의 새로운 성장 단계를 계획하고 있다. 실제 독일, 덴마크, 벨기에, 네덜란드는 2030년까지 최소 65GW의 해상 풍력을 제공하는 통합 목표를 정의했다. 데니
[더구루=정등용 기자] AI(인공지능) 로봇 바리스타를 운영 중인 아틀리(Artly)가 800만 달러(약 114억 원)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아틀리는 기술 투자 확대와 함께 신규 매장 오픈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아틀리는 최근 800만 달러 규모의 프리A 투자 라운드를 마감했다고 2일 발표했다. 아틀리는 로봇 공학과 컴퓨터 비전, 딥 러닝 기술을 마스터 바리스타 기술과 결합해 커피를 만들고 있다. 바리스타 대회 대상 출신인 조 양이 로봇 바리스타에 자신의 기술을 입력하면 로봇 바리스타가 이를 빠르게 모방해 배우는 방식이다. 각각의 로봇 바리스타는 딥 러닝 기반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사용해 커피의 품질을 모니터링 하고 제조 단계마다 필요한 업무를 수행한다. 이 과정은 커피 제조 시간을 절약해줄 뿐만 아니라 일관된 커피 품질을 보장한다. 아틀리는 지난 2021년 5월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에 첫 매장을 열었다. 이후 캘리포니아 베이 지역에 3개의 매장을 추가했다. 최근에는 시애틀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에 신규 매장을 오픈하기도 했다. 아틀리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미국 내 다른 지역에 새로운 매장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사전 답사
[더구루=홍성일 기자] 웹3 TCG(트레이딩 카드 게임)을 개발하는 임모탈게임(Immortal Game)이 추가 자금조달에 성공하며 글로벌 사업 확대에 나선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임모탈게임은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1200만 달러(약 170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펀딩에는 카시우스, 그린필드 원, 스파클 벤처스, 35V, 블록월, 크라켄 벤처스, 스파이스 캐피탈 등이 참여했다. 임모탈게임은 올 3월 완료한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350만 달러를 조달한 바 있다. 이번 펀딩까지 합치면 올해에만 1550만 달러(약 222억원)을 조달하게 됐다. 임모탈게임은 2021년 3월 설립된 회사로 웹3 체스 플랫폼과 게임을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임모탈게임은 수백년된 체스라는 게임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지속가능성을 키워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임모탈게임은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가지고 제품 개발을 가속하고 인도,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사업을 확장한다. 임모탈게임 관계자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게임의 블록체인 채택은 변곡점에 도달해있다"며 "체스는 블록체인 기술의 이점을 활용해 새로운 유저를 확보하고 그 유산을 보존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지속가능한 비트코인 채굴을 전문으로 하는 미국의 채굴업체 '아스펜크릭 디지털 코퍼레이션(Aspen Creek Digital Corporation, 이하 ACDC)'이 추가 자금 조달에 성공하며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낸다. 2일 업계에 따르면 ACDC는 최근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800만 달러(약 115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펀딩은 갤럭시 디지털과 폴리체인 캐피탈이 공동으로 주도했으며 CMT 디지털, 룩소르 테크놀로지스, 마나 벤처스, 개인젤스, 쿠퍼 리버 에너지 파트너스 등이 참여했다. ACDC는 지속가능한 암호화폐 채굴을 목표로 신재생에너지 저장, 운영 솔루션을 연구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10MW 용량의 태양광 발전소를 콜로라도 서부에 구축, 운영을 시작했다. 올 가을에는 87MW 태양광 발전소를 가동한다. 이후에는 200MW 태양광 발전소의 가동도 시작할 예정이다. ACDC는 태양광외에도 풍력 등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 발전을 통해 2025년까지 전력 공급량을 3GW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ACDC 관계자는 "채굴업체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력망에 새로운 재생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운영될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더구루=한아름 기자] 도미노피자가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 힘 쏟는다. 미국 환경 단체 웨스트락(WestRock)과 협력해 재활용 캠페인 인식 개선 캠페인을 진행한다. 2일 도미노피자에 따르면 친환경 에코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웨스트락과 함께 소비자 환경보전 문화 확산 캠페인을 진행한다. 웨스트락은 도미노피자 박스에 QR코드를 새겨 재활용 관련 정보를 전달한다. 이 QR코드를 휴대전화로 인식하면 연간 폐기물 발생량과 각종 환경·사회적 문제, 생활 폐기물 처리법 등 다양한 정보를 자세히 알 수 있다. 도미노피자는 웨스트락과 협력해 소비자에게 재활용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환경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단 입장이다. 도미노피자는 피자박스를 재활용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 2020년 에코프렌들리 박스 개발에 성공했다. 매년 약 30억 개 이상의 피자 박스가 생산되는데, 피자 박스를 만드는 데에만 약 60만 톤 이상의 골판지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기존에는 피자 기름이 골판지를 오염시켜 재활용할 수 없었지만,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재활용이 가능하게끔 개발되고 있다. 에코프렌들리 박스는 박스 외부 이미지를 인쇄할 때 콩기름 잉크를
[더구루=한아름 기자]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이 스웨덴 무연담배 기업 스웨디시 매치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잡음이 일고 있다. 스웨디시 매치 지분을 보유한 헤지펀드가 인수를 반대했기 때문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PMI는 스웨디시 매치를 약 160억 달러(약 17조 2068억원) 규모에 인수한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스웨디시 매치의 일부 주주가 반대 의사를 밝히면서 차질이 생겼다. 스웨디시 매치 지분 1%를 보유한 헤지펀드 브론테캐피털은 공모 가격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했기 때문이다. 스웨덴 법에 따르면 기업 주주의 90%가 인수에 동의해야 거래가 성사된다. PMI는 스웨디시 매치 주당 가격을 106 크로네(약 1만 4000원)에 인수하겠다고 결정한 바 있다. PMI가 스웨디시 매치를 인수하기 위해 협상 중이란 뉴스가 보도되자 스웨디시 매치 주가는 크게 올랐다. 브론테캐피털은 PMI가 제시한 공모 가격이 너무 낮다고 반대했다. 브론테캐피털 창업자인 존 헴튼은 많은 주주들이 공모 가격이 너무 낮아 거래에 반대하고 있으며, 회사가 PMI에 인수되길 원치 않는다는 주주들의 연락을 받았다고 밝혔다. 관련 업계는 스웨디시 매치 주주들이 더 많은 이익을 보기 위해 반
[더구루=김형수 기자] 피자헛이 유럽에 이어 아시아에서도 대체육을 활용한 비건 피자를 론칭한다. 글로벌 채식 입맛을 잡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국내에서의 비건 피자 또는 채식 옵션 출시 계획은 불투명하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피자헛 싱가포르는 미국 대체육 전문 브랜드 비욘드미트(Beyond Meat)와 손잡고 대체육을 활용한 메뉴를 선보였다. 해당 메뉴는 인기메뉴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치지 7 피자(Cheesy 7 Pizza)의 식물성 버전인 치지 7 비욘드 슈프림(Cheesy 7 Beyond Supreme)다. 피자헛 싱가포르는 치지 7 비욘드 슈프림이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나온 대체육을 활용한 메뉴라고 소개했다. 이달 말까지 한정된 기간 동안 판매한다. 치지 7 비욘드 슈프림에는 비욘드 미트에서 개발한 식물성 이탈리안 소시지 크럼블(Crumble)과 함께 버섯, 양파 등이 토핑으로 올라간다. 여기에 체다, 모짜렐라, 프로볼로네, 몬터레이 잭, 파마산, 에담, 크림치즈 등 7종류의 치즈가 어우러진다. 식물성 이탈리안 소시지 크럼블은 콩과 쌀 같은 식물성 재료를 이용해서 만들어졌다. 피자헛은 보다 지속가능한 음식 선택지를 찾는 사람들을 위해 치지 7 비욘드 슈프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롯데 유럽 자회사인 롯데 베델(Lotte Wedel)이 글로벌 브랜드에서 경력을 쌓은 마케팅 전문가를 영입했다. 소비자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기 위한 역량을 제고하는 한편, 리더십 강화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 베델은 크지슈토프 보가츠(Krzysztof Bogacz)를 신임 마케팅 디렉터로 발탁했다. 향후 롯데 베델 핵심 경영진으로 마케팅 부서와 연구·개발 부서를 이끄는 수장을 맡는다. 크지슈토프 보가츠는 마케팅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로 통한다. 우치 대학교(University of Łódź)에서 금융을, 포즈난 경제대학교(Poznań University of Economics)에서 무역과 마케팅을 공부했다. 그는 광고 대행사 TBWA에서 일한 경력도 갖고 있다. 이후 로레알 케라스티즈(Kerastase) 마케팅 디렉터, 니베아 폴란드 밤비노(Bambino) 마케팅 디렉터 등을 거쳤다. 롯데 베델로 자리를 옮기기 직전에는 에이본(Avon) 뷰티 카테고리 마케팅 디렉터로 3년 가까이 일했다. 크지슈토프 보가츠 신임 마케팅 디렉터는 "베델에서 일하는 것은 마케터로서 제가 지닌 원대한 야망을 실현하는 것"
[더구루=길소연 기자] 홍콩 최대 항공사 캐세이퍼시픽항공이 화물기 기단 쇄신을 위해 보잉과 에어버스를 두고 저울질 중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캐세이퍼시픽은 에어버스와 보잉과 차세대 화물기 구매에 대해 논의 중이다. 캐세이퍼시픽은 최대 6척의 새로운 화물기를 도입할 것으로 에어버스 A350 화물기 또는 보잉 777-8F 제트기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 현재 캐세이퍼시픽은 화물기 갱신을 위해 신규 화물기 도입을 추진 중이다. 캐세이퍼시픽은 현재 두 항공기 유형의 사양과 기능을 평가하고 있으며 몇 척의 새로운 화물기를 주문할지 결정하지 않았다. 다만 두 항공사 중 보잉 777 화물기를 선호하고 있다. 어거스터스 탕(Augustus Tang) 캐세이퍼시픽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을 내고 "화물기 요구 사항을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있다"며 "아무런 결정도 내리지 못했다"고 말했다. 캐세이퍼시픽은 최근 홍콩의 엄격한 코로나19 규정에 따라 어려움을 겪은 후 처음으로 화물기 운항을 최대 용량으로 복구했다. 항공사는 주당 최대 100편의 화물기를 운항할 예정이다. 다만 모든 사람들이 온라인 쇼핑을 하는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화물 배송이 급증했지만 세계 경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