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신동빈 롯데 회장을 특별 사면했다. 롯데는 국민적 감사 차원에서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고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데 매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12일 법무부는 윤 대통령이 광복절 특별사면을 단행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경제 활성화를 통한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집행유예 기간 중인 신 회장을 특별사면(형선고실효) 및 복권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글로벌 경제위기가 닥친 가운데 국가 경제의 역동성과 활력이 떨어지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우려가 있다며 신동빈 회장 등 주요 경제인을 대상으로 특별사면을 실시한 배경을 설명했다. ◇신동빈 회장 신분 걸림돌 제거 신 회장은 취업제한 대상자가 아니었으나 집행유예 중으로 ‘범법자' 신분이었다. 이번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에 포함됨에 따라 신 회장에게 붙어있던 ‘범법자’ 꼬리표가 사라진 셈이다. 롯데가 해외 M&A 등을 사업을 펼치는 데 있어 걸림돌이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 유죄판결을 받았다는 이유로 신동빈 일본롯데홀딩스 회장의 이사 해임을 거듭 요구했던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의 주장도 힘이 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신 회장이 한국와 일본 롯데의 ‘원톱’으로서의 지위
[더구루=오소영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특별 복권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이 부회장에 대한 윤 대통령의 '광복절 특별사면' 결정을 발표하며 경제 위기 극복에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이 부회장은 경영 활동에 걸림돌이었던 '미등기 임원'의 꼬리표를 떼고 당장 삼성 경영에 복귀할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대한민국 경제 회생을 위한 공격적인 투자와 '투명 윤리경영'에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 안팎 "삼성의 광복절" 재계는 이 부회장의 특별사면에 환영의 뜻을 표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광복절 특사를 통해 주요 기업인의 사면·복권이 이뤄진 것을 환영한다"며 "이번에 사면된 분들이 경제위기를 타개하고 국가의 미래 번영을 이어가기 위해 기업인으로서 역할과 책임을 다해 줄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글로벌 경제 복합 위기와 주요국들의 패권 경쟁 격화로 인한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기업인들이 경영일선에 복귀해 국민경제에 헌신할 수 있는 기회를 준 대통령의 특별사면 결정을 적극 환영한다"라고 밝혔다. 재계는 그동안 이 부회장의 사면을 여러 차례 촉구해왔다.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은 작년 4월 “삼성전자에서 글로벌
[더구루=홍성일 기자] 엑스박스의 대표 1인칭 슈팅게임 '헤일로 인피니트'를 개발에 참여한 아트디렉터가 텐센트 산하 스튜디오로 합류하며 눈길을 끌고 있다. 니콜라스 부비에는 9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텐센트의 자회사 티미 스튜디오 그룹 산하 스튜디오인 '팀 카이주'에 합류했다고 밝혔다. 니콜라스 부비에는 팀 카이주의 수석 아트 디렉터를 맡았다. 니콜라스 부비에는 프랑스 국적으로 지난달 343 인터스트리를 퇴사하기 전까지 14년간 근무하며 헤일로 5 가디언즈, 헤일로 인피니트 개발에 참여했다. 343 인터스트리 합류 전에는 ld 소프트웨어 등에서 근무했었다. 니콜라스 부비에 수석 아트 디렉터는 팀 카이주가 개발하고 있는 AAA급 IP 개발을 이끌게 된다. 팀 카이주는 현재 AAA급 1인칭 슈팅 게임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니콜라스 부비에는 "전 세계 게이머들을 위한 완전히 새로운 IP를 만들고자 하는 창의적인 팀에 합류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팀 카이주는 텐센트의 북미게임 시장 공략을 담당하고 있는 티미 스튜디오 산하 게임 스튜디오다. 지난해 헤일로4 수석 디자이너 스캇 워너, 배틀필드4 수석 디렉터 로시 자고르체바가 함께 설립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인텔이 압도적인 연구개발(R&D) 역량을 앞세워 취득한 특허권을 활용해 수익성 제고에 나선다. 미국 특허관리전문회사(NPE)에 특허 5000여 건을 넘겼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IP밸류매니지먼트(IPValue Management, 이하 IP밸류)는 지난 8일(현지시간) 인텔과 라이선스 계약을 확장하고 5000개의 주요 특허 포트폴리오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인텔이 양도한 특허의 최종 소유권은 IP밸류가 신설한 자회사 타호 리서치(Tahoe Research)가 갖는다. 특허 포트폴리오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컴퓨팅 시스템, 스토리지 장치, 연결·통신 칩, 패키징 기술, 반도체 아키텍처·설계 등에 이르기까지 반도체 제조와 기타 기술에 관한 폭넓은 기술이 포함됐다. IP밸류는 이번 거래를 통해 타호 리서치가 구축한 특허를 활용해 세계 각국에 라이선스할 계획이다. 향후에도 인텔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로부터 특허권을 확보해 포트폴리오를 강화한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2001년 설립된 IP밸류는 지적 재산권을 사들인 뒤 이를 활용해 라이선스 계약을 맺거나 각종 소송을 제기해 수익을 창출한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BBQ가 미국에서 사업을 빠른 속도로 확대하는 가운데 콜로라도 주지사가 BBQ 매장을 찾았다. 콜로라도 내 추가 매장 오픈과 본사 이전 등 BBQ에 러브콜을 보냈다. 미국 지역 정치인들이 BBQ에 긍정적 태도를 보인 만큼 향후 미국 내 인지도 제고와 사업확대에 속도가 붙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2일 미국 콜로라도주 한인매체 콜로라도 타임즈(Colorado Times)에 따르면 제라드 폴리스(Jared Polis) 콜로라도주 주지사가 지난 8일 현지 시간 덴버 시내에 자리한 BBQ 매장을 방문했다. 이날 제라드 폴리스 주지사는 BBQ가 콜로라도주 곳곳에 매장을 열며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높이 평가했다. BBQ 대표 치킨 메뉴와 베스트셀러로 꼽히는 김치볶음밥을 시식한 뒤에는 "매우 맛있다(Very Good)"고 칭찬했다. BBQ 매장을 찾은 미국 콜로라도 지자체장은 제라드 폴리스 주지사가 처음이 아니다. 지난 5월 오로라(Aurora)에 BBQ 콜로라도 1호점이 문을 열었을 때는 마이크 코프만(Mike Coffman) 오로라시 시장이 점포를 찾았다. 제라드 폴리스 주지사는 "현재 본사가 뉴저지에 있다고 들었는
[더구루=한아름 기자] LG생활건강 미국 자회사 더 에이본 컴퍼니(The Avon Company)가 주최한 컨벤션 행사가 대성황을 이뤘다. 북미 시장에서 LG생활건강의 브랜드력이 강화됐다는 평가다. 12일 더 에이본 컴퍼니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의 산 안토니오에서 열린 컨벤션 2022 행사에 6000명이 넘는 인파가 몰렸다. 이들은 컨벤션 행사를 기념하고 뷰티·헬스 산업의 비전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 미래 성장 전략에 대해 전문가들과 토론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번 컨벤션 행사가 성황리에 마무리되면서 LG생활건강의 북미 사업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LG생활건강은 더 에이본 컴퍼니 플랫폼을 통해 빌리프 제품 등을 판매하고 있어서다. 또한 이번 컨벤션 행사로 더 에이본 컴퍼니의 사업 회원이 늘어날 것이란 예상이다. 사업 회원이 늘어나면 비즈니스 역량이 강화된다. LG생활건강은 2019년 더 에이본 컴퍼니를 인수하면서 북미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해왔다. 올해 2월엔 더 에이본 컴퍼니를 클라우드 플랫폼을 리뉴얼하면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앞장섰다. 브랜드 인지도도 올렸다. 지난해 CBS TV쇼에 에이본 제품을 등장시키고 라이브 커머스 사업을 강화하면서
[더구루=홍성환 기자] 쿠팡이 올해 흑자 전환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증권가의 눈높이도 올라가는 모습이다. 일본계 투자은행 미즈호는 12일 쿠팡의 목표 주가를 기존 18달러에서 22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중립(Neutral)'을 유지했다. 미즈호는 "쿠팡의 2분기 매출은 50억4000만 달러(약 6조5800억원)로 시장 예상치인 50억6000만 달러(약 6조6000억원)을 밑돌았지만, 제품 개발 투자를 조절하면서 핵심 제품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노력으로 예상보다 나은 상각전 영업이익(EBITDA)을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 결과 올해 EBITDA 추정치가 -4억 달러(약 5200억원)에서 플러스(+)로 의미 있게 개선했다"며 "기존보다 나은 전망으로 오는 2025년 EBITDA 추정치를 25억 달러(약 3조2600억원)로 기존 대비 10% 상향 조정했다"고 전했다. 쿠팡은 올해 2분기 매출이 50억3782만 달러(약 6조57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7% 증가했다. 영업손실은 6714만 달러(약 88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7% 줄었다. 분기 영업손실이 1000억원 이하로 줄어든 것은 작년 3월 미국 뉴욕증시 상
[더구루=한아름 기자] MSD의 당뇨병 치료제 자누비아·자누메트에서 니트로사민 불순물 'NTTP'(니트로소-STG-19)이 검출됐다. 특정 NTTP는 발암물질로 분류된다. 다만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자누비아·자누메트 복용을 중단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 자누비아·자누메트는 국내 많은 당뇨병 환자들도 복용 중이다. 국내에선 한국MSD가 보건당국과 긴밀히 논의 중이다. [유료기사코드] 12일 FDA에 따르면 MSD의 당뇨병 치료제 자누비아·자누메트에서 잠재적인 발암물질이 함유돼 있다고 밝혔다. NTTP는 니트로사민 계열의 유기화합물로, 식수·육류·채소 등 식품에 낮은 농도로 상존한다. 특정 NTTP는 실험실 테스트를 기반으로 발암물질로 분류된다. 니트로사민은 화학 반응으로 발생하며 의약품 제조 과정에서 생성되기도 한다. FDA는 자누비아·자누메트에서 NTTP가 발견됐다고 해서 복용을 중단하면 안 된다고 덧붙였다. 당뇨병 환자가 갑자기 당뇨병 치료제를 중단하면 위험이 더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FDA는 하루 37ng(나노그램)에서 최대 246.7ng의 NTTP를 함유한 자누비아·자누메트 유통을 당분간 허용하기로 했다. 자누비아·자누메트 특정 샘플에서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보건당국이 담배에 함유된 니코틴 함량 감소 조치에 칼을 빼들었다. 담배 중독성을 나타내지 않을 수준으로 줄이도록 하는 방안을 저울질하고 있다. 의학계에서는 니코틴 함량을 95% 감소시키면 흡연 인구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유료기사코드] 12일 미국 지역매체 스펙트럼 뉴스1(Spectrum News1)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흡연자 담배에 들어있는 니코틴을 중독을 일으키지 않는 낮은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심혈관 및 호흡기 질환 위험을 낮추고 젊은 사람들이 담배를 피우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만 FDA는 구체적인 니코틴 수치를 특정하지는 않았다. 의학계에서는 담배의 니코틴 함량을 0.4mg까지 줄여야 효과적일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지난 2018년 피츠퍼그대학교 암 연구소(University of Pittsburgh Cancer Institute) 연구진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니코틴 함량 0.4mg의 담배를 피운 피험자 집단의 중독성이 가장 효과적으로 감소하나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그룹에서 중독의 징후가 적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6주 동안 이뤄진 실험이
[더구루=정등용 기자] KB국민카드 인도네시아 법인이 상반기 호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망 확대와 IT 인프라 개선 등 전반적인 디지털화 작업이 효과를 냈다는 분석이다. KB국민카드 인도네시아 법인인 KB파이낸시아 멀티파이낸스(KB Finansia Multi Finance)는 11일(현지시간) 실적 보고서를 통해 상반기 매출 9530억 루피아(약 843억 원), 순이익 733억 루피아(약 65억 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8058억 루피아(약 713억 원) 대비 18.27% 증가한 수준이다. 순이익은 전년 동기 577억 루피아(약 51억 원) 대비 27.07% 늘어났다. 자산은 상반기 말 기준 6조6100억 루피아(약 5850억 원)로 전년 동기보다 4조9300억 루피아(약 4363억 원)보다 34.16% 증가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2조7900억 루피아(약 2469억 원)였던 신규 자금 조달이 3조7000억 루피아(약 3275억 원)로 32.45%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위기섭 KB파이낸시아 멀티파이낸스 재무 이사는 “자금 비용 절감과 종합적인 리스크 관리릍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이뤘다”면서 “KB국민카드 자회
[더구루=홍성일 기자] 카카오가 개발한 레이어1 퍼블릭 블록체인 '클레이튼'이 글로벌 암호화폐 금융서비스 기업 '매트릭스포트(Matrixport)'와 손잡고 NFT(대체불가토큰) 생태계 확장에 나섰다. 매트릭스포트는 8일(현지시간) NFT 보관솔루션인 '칵투스 커스토디(Cactus Custody)'를 클레이튼에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매트릭스포트는 칵투스 커스토디를 통해 클레이튼 기반 NFT 저장 솔루션을 제공해 세계 최초의 기관급 보관업체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칵투스 커스토디가 적용된 NFT 저장 솔루션은 NFT 보관은 물론 안심거래(에스크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클레이튼 유저는 칵투스 커스토디를 통해 클레이튼 코인은 물론 호환 토큰, 클레이튼 기반 NFT도 관리할 수 있다. 이를통해 동급 최고의 보안, 투명성, 효율적인 기관 등급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클레이튼는 매트릭스포트와 계약을 통해 메타버스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낸다. 클레이튼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클레이트 메타버스의 상호 운용성, 분산화, 원활한 교환 시스템을 구축하는 길을 닦을 수 있게됐다. 클레이튼 파운데이션 관계자는 "칵투스 커스토디가 클레이튼 생태계에 합류한 것을 진심
[더구루=홍성일 기자] 크래프톤의 모바일 배틀로얄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이 7월 글로벌 모바일 게임 매출에서 2위를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모바일 시장조사 기관 센서타워의 7월 글로벌 최고 매출 모바일 게임 보고서에 따르면 크래프톤의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텐센트의 왕자영요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7월 한 달동안 총 1억6430만 달러(약 2140억원) 매출을 기록했다. 전체 매출의 약 69%가 중국에서 발생했으며 그 뒤를 미국이 6.4%로 이었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에 이어서는 원신, 캔디 크러시 사가, 로블록스 등이 차지했다. 7월 글로벌 모바일 게임 매출 1위는 텐센트의 왕자영요가 차지했다. 왕자영요는 2억2580만 달러(약 2945억원) 매출을 올렸다. 전체매출의 94.6%가 중국에서 발생했으며 태국과 대만에서 각각 2%와 1.6%씩 점유했다. 이번 보고서 결과에서 눈에 띄는 것은 출시된 지 7년된 반다이남코의 드래곤볼Z가 7000만 달러(약 910억원) 매출을 올리며 10위에 랭크됐다는 점이다. 센서타워는 드래곤볼Z의 7주년 기념 이벤트가 매출 상승을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센서타워 보고서에 따르면 7월 글로벌 모바일 게임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정부가 IT서비스 기업 HCL그룹과 대만 제조업체 폭스콘(Hon Hai Technology Group)의 합작 반도체 웨이퍼 공장 설립을 허가했다. 새로운 웨이퍼 공장 건설로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과 폭스콘의 탈중국화가 탄력을 받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반도체미션(ISM)은 HCL그룹과 폭스콘의 370억6000만 루피(약 6040억원) 규모 합작 반도체 웨이퍼 공장 건설을 승인했다. 인도 정부의 성명에 따르면 HCL-폭스콘 합작 반도체 웨이퍼 공장은 인도 북부 우타르프라데시 주 주와르 공항 인근에 들어선다. 상업 생산은 2027년부터 시작되며, 월 웨이퍼 2만장,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칩 3600만개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번 승인으로 인도 반도체 산업 생태계 확장에 속도가 붙게 됐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집권 이후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을 펼치며, 아시아 생산 거점이 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특히 전자 제품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체 반도체 역량 확보에 주력해왔다. 또한 미국·중국 간 무역전쟁이 격화되면서 '새우 신세'가 된 폭스콘의 탈중국화 속도로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폭스콘은 트
[더구루=홍성환 기자] 대만 반도체 회사 글로벌웨이퍼스가 미국 최초 300㎜(12인치) 실리콘 웨이퍼 공장의 문을 열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웨이퍼스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에 300㎜ 실리콘 웨이퍼 공장을 준공했다. 글로벌웨이퍼스는 이 공장 건설과 관련해 반도체 및 과학법(칩스법)에 따라 4억600만 달러(약 5700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웨이퍼는 반도체 칩 생산의 기초 토대가 되는 핵심 소재다. 반도체 전공정(Front-End) 전 과정은 웨이퍼 표면 위에서 이뤄지며 웨이퍼 품질이 전체 수율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 웨이퍼는 단순 재료가 아닌 기술과 품질이 집약된 고부가 소재로 평가받는다. 300㎜ 실리콘 웨이퍼는 일본 신에츠화학과 한국 SK실트론, 글로벌웨이퍼스 등 5개 주요 기업이 글로벌 시장 80%를 장악하고 있다. 한편, 미국 텍사스주는 반도체 제조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을 운영하는 비용이 적게 들고, 규제가 엄격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삼성전자도 텍사스에서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