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공정거래위원회가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함심사에 대해 정치적 상황은 배제하고, 최대한 공정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로써 합병 최대 걸림돌로 떠오른 해외 심사에서 일본 공정위에 대한 심사 부담감을 덜게 됐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본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현지…
일본 정부가 해운·조선산업 활성화를 위해 신기술을 활용한 범정부 대응기구를 출범했다. 한국과 중국 조선업 재편 움직임이 보이자 위기감을 느껴 대응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본 국토교통성은'해사산업 장래상 검토회(海事産業将来像検討会)'를 설치하고, 기술 혁신…
일본 1위 조선소인 이마바리 조선이 한국 조선의 저가 수주를 지적하며 저가 과당 경쟁을 우려했다. 중국에 이어 한국의 저가 공세에 밀려 일본 조선업체의 수주가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일본 조선업계는 한국 조선이 정부의 공적 지원을 받아 수주를 하는 통에 수주량은 확대될지라도 경영실적이 악화되는 현…
현대중공업그룹이 유럽 선주를 상대로 대우조선해양과의 기업 합병 설득 작업에 나섰다. 양사가 합병하게 되면 신조선 개발부터 공정 경쟁으로 인해 선주에게 이득이 많다며 여론전을 펼친 것이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그룹의 중형조선소 자회사인 현대미포조선은 최근 유럽 선주에 인도한…
독일과 일본 최대 해운사 간 합병설이 제기됐다. 한동안 뜸했던 글로벌 해운업계의 덩치 키우기 경쟁을 촉발시키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세계 2위 해운사 MSC의 디에고 아폰테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이탈리아선주협회 연례총회에 참석해 "독일 하팍로이드와 일본 오션네트워…
중국 조선업체의 합종연횡이 가속화되고 있다. 규모의 경제로 경쟁력으로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세계 1·2위 조선업체인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합병을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국 3위 조선업체인 중국초상국공업(CMIH)은 중국국제해운컨테이너그룹(CIMC), 중국항공공…
현대중공업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 핵심 절차인 기업결합 신청에 본격 착수한 가운데 중국도 자국 조선소 합병을 확정하는 등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 조선업계가 빅3에서 빅2로 재편해 독주체제로 가속화될 조짐이 보이자 중국도 자국 조선소 구조 재편을 통해 몸집을 키워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의…
삼성전자가 중국에 마지막으로 남겨둔 스마트폰 생산공장을 접기로 결정했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중국 법인은 광둥성 후이저우(惠州)에 있는 스마트폰 공장을 올해까지 폐쇄한다. 앞서 삼성전자는 이달 14일까지 직원들에게 희망퇴직 신청서를 받은 바 있다. 후이저우 공장 직원은 현지 언론…
중국의 메모리업체들이 올해 하반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한다. 미국 정부의 제재를 돌파할 수 있는 틈새가 될지 주목되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D램 제조사인 허페이창신(이노트론)은 지난해 중국 반도체 업체로는 처음으로 8Gb LPDDR4 D램 메모리 생산을 시작했다. 허페이창신은 올해 3분기…
페이스북이 전기 로봇 모터사이클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특허청(USPTO)은 지난달 30일 페이스북이 지난 2017년 출원한 '모터사이클'에 대한 특허를 공개했다. 해당 특허의 제목은 '스스로 균형을 잡는 로봇 모터사이클'로 특허에는 상부구조는 포함되지 않고 하…
유럽연합(EU) 경쟁 당국이 독일 철강회사와 인도 철강회사 간 합병 승인을 불허하면서 국내 조선업계에 긴장감이 감돈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의 최종 합병이 성사되기까지 EU 공정거래 당국의 합병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EU경쟁당국이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 합병에불편한 기색을 드…
대우조선해양이 바다 위를 떠다니며 전기를 생산하는 해상 원전 사업에 뛰어들 전망이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설계사인 토르콘이 대우조선과 부유식 해상 원자력 발전소 건설 관련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부유식 해상 원자력발전소는 미리 조립한 발전설비를 부양 바지에…
[더구루=길소연 기자] 유럽 최대 천연가스 공급업체인 노르웨이 국영 에너지기업 에퀴노르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4척의 건조 사업자를 물색한다. [유료기사코드] 4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에퀴노르는 LNG 운반선 4척의 신조 발주를 검토한다. 최대 4척의 주문서에는 확정 물량 2척에 옵션분 2척이 포함됐다. 선박을 소유하지 않고 모두 임대해 선단을 운영하고 있는 에퀴노르가 신조 발주에 나서는 건 선대 교체와 추가 운송 수요 증가에 따라 톤수를 확대하기 위해서다. 노후 톤수를 대체하고 성장하는 LNG 포트폴리오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에퀴노르는 노르웨이 대륙붕에서 공급선, 대기선, 앵커 취급선, 유조선을 포함해 170척이 넘는 대규모 선단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선박으로 원유, 액화 정유 제품, 액화석유가스(LPG)와 LNG를 전 세계적으로 연간 2300회 이상 해상 운송하고 있으며, 연간 약 1억 톤을 운송하고 있다. 에퀴노르는 차세대 선단 구축을 위해 포괄적인 선단 교체 계획을 추진해왔다. 2020년부터 15척의 신조선이 운항 중인 가운데 2026년까지 9척의 신조선이 에퀴노르 유조선 함대에 투입될 예정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네시아 공군 조종사가 처음으로 한국형 전투기 KF-21 '보라매' 시제기를 직접 조종했다. 시범비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양국 방산 협력의 새 '이정표'를 세웠다. 4일 인도네시아 국방부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경남 사천 소재 제3공군훈련비행단에서 KF-21 시제 4호기의 시범비행이 진행됐다. 조종석 전방에 인니 공군 페렐 리고날드(Ferrel Rigonald) 대령이, 후방석에 KAI 소속 고휘석 수석조종사가 탑승했다. 인니 조종사가 전방석에 앉아 시범비행에 나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총 6대의 시제기는 복좌(2인승) 2기(4·6호기)와 단좌(1인승) 4기(1·2·3·5호기)로 구성된다. 인도네시아 공군 조종사는 지난 2023년 5월 4호기 시험비행에 처음 참여했으나 당시 후방석에 탑승했었다. 이날 KF-21 시제기는 오전 9시 45분께 이륙해 고도 약 2만 피트(약 6096m)까지 오르며 약 1시간 동안 비행했다. 인니 국방부 측은 "인니 공군이 시험 비행 단계에 참여하는 것은 기술 이전과 인적자원 역량 강화에 협력하겠다는 의미일 뿐만 아니라 양국 파트너십의 굳건한 의지를 상징한다"며 "미래 방위 플랫폼 개발에서 인도네시아가 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