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보경 기자] 한국의 문화가 K-푸드·K-뷰티·K-콘텐츠란 이름을 달고 글로벌 시장에서 그 인기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빙그레 대표 아이스크림 메로나는 지난해 상반기 해외 매출액이 29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CJ ENM 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가 일본 OTT 유넥스트(U-NEXT)가 발표…
[더구루=이진욱 기자] 국내 자전거 인구가 건강 및 취미 등을 이유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체 인구의 22.4%가 자전거를 이용하고 있으며, 매년 5%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건강과 대중교통 대체 목적으로 자전거 이용이 크게 늘어났습…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의 차세대 차량 조립 방식인 '언박스 프로세스(Unboxed Process)' 특허가 공개됐습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는 지난 6일(현지시간) 테슬라가 출원한 '차량 조립을 위한 모듈식 차량 구조'라는 특허를 공개했습니다. 해당 특허는 2023 테…
[더구루=진유진 기자] 지난 7월 체코에서 들려온 원전 낭보에 대한민국이 들썩였습니다. 무려 24조원 규모 체코 신규 원전 건설 사업 수주전에서 '팀코리아 컨소시엄(한국수력원자력·대우건설·두산에너빌리티)'이 '프랑스전력공사(EDF) 컨소시엄'을 누르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습니다. '팀코리아…
[더구루=진유진 기자] 최근 한류 열풍을 타고 K-콘텐츠에 나온 K-푸드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K-푸드 인기가 북미와 아시아, 유럽까지 확산하면서 국내 식품·주류 업계는 인지도 제고와 생산 증대에 힘쓰고 있습니다. 올해 추석을 맞아 더구루가 선정한 K-컬쳐 속 K-푸드 톱5는 무엇인지…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글로벌 스타링크 사업 진행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팀 휴즈 스페이스X 수석부사장은 판 민 찐 베트남 총리를 만나 스타링크 서비스 출시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는데요. 이번 베트남 방문으로 제자리 걸음했던 스타링크의 베트남 서비스 출시가 돌파구를…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는 자동차 한번 팔아보겠다고 기아 운전자들에게 뇌물을 주진 않는다(Tesla never has to bribe Kia drivers to buy a Tesla)".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11일(현지시간) SNS를 통해 공개 저격했다. 기아가 테슬라 고객을 대상으로 마…
[더구루=진유진 기자] 삼성전자 보급형 스마트폰 '갤럭시 M05'가 인도 아마존 웹사이트에 등장했습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아마존 웹사이트에 갤럭시 M05 제품이 게재됐습니다. 현재 구매는 불가능한 상태로, 실제 상품이 준비되기 전 미리 가상으로 등록해 자리를 비워두는 ‘플레이스 홀더’인…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대형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블룸에너지(Bloom Energy), 넥스트에러에너지(NextEra Energy) 등을 과소평가된 인공지능(AI) 수혜주로 꼽았습니다. 12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생성형 AI 인프라 확장에 따른 주가 상승 잠재력이 높은 종목을 선정…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대통령 선거가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후보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 대결 구도로 확정되며 '초접전'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권 향방에 대해 전 세계가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이번 대선에서 트럼프가 재집권한다면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축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
[더구루=진유진 기자] 구글이 차세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생산 파트너사로 TSMC를 낙점했습니다. 12일 외신에 따르면 구글은 '픽셀11' 시리즈에 탑재할 AP '텐서 G6' 칩셋을 TSMC 2나노미터(nm) 공정으로 생산할 예정입니다. 텐서 G5에 이어 후속작까지 TSMC와의 동행을 선택…
[더구루=진유진 기자] 애플이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이폰에 탑재될 칩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마이크론, 타타그룹과 '메이드 인 인디아' 반도체 생산을 논의 중입니다. 이들은 시제품 제작과 품질 검증을 거쳐 2026년부터는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이폰에 부품을 공급하게 될 것으로…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