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다임러그룹(Daimler AG) 자회사 다임러트럭(Daimler Truck)이 프랑크푸르트 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수익성 개선에 초점을 맞춘 활동을 통한 독일 다우존스 지수 'DAX 40' 진입이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5일 다임러그룹 등 업계에 따르면 다임러트럭은 지난 10일(현지시간) 프랑크푸르트 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지난 2월 다임러그룹이 트럭사업부 분할 계획을 발표한지 약 11개월 만이다. 다임러트럭의 기업가치는 230억유로(한화 약 30조6371억원)로 평가됐다. 이는 최대 400억유로(약 53조2820억원)를 예상했던 애널리스트들의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다임러트럭은 앞으로 수익성 개선에만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가장 먼저 배터리 트럭과 연료전지 트럭 부분에서 자사의 전기화 공세를 진행하기 위한 자본을 확보할 방침이다. 현재까지 출발은 좋다. 다임러트럭 주가는 상장 이틀 만에 17.7% 올랐다. 기존 주주에게 신설 법인 주식을 지급한 것이 주효했다. 다임러 주주들은 다임러트럭 신주 65%를 모회사 지분율에 따라 받았다. 나머지 35%는 모회사인 다임러가 가져갔다. 다임러트럭은 내년 1분기께 프랑크푸르트 증권거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다임러가 보유하고 있던 르노 지분 전량을 매각했다. 10여 년간 이어져 온 르노·닛산과의 파트너십에 마침표를 찍은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다임러는 11일(현지시간) 블록딜을 통해 보유하던 르노 보통주 920만주 전부를 기관투자가들에 매각했다고 밝혔다. 이는 르노 지분 3.1%, 의결권 약 5%에 해당한다. 이날 르노 주가(34.30유로)를 감안하면 매각 대금은 3억1600만유로에 달할 전망이다. 다만 블록딜에서는 보통 정규장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가 이뤄진다는 점에서 실제 매각 자금과는 차이가 있다. 다임러는 지난 2010년 르노·닛산과 지분 교환을 통한 전략적 제휴 관계를 맺고 파트너십을 이어왔다. 그러나 올해 초 르노와 닛산이 먼저 재정적 어려움을 이유로 다임러에 대한 지분 1.55%씩을 매각하며 파트너십에 금이 간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었다. 르노가 지난 3월 다임러 주식을 매각한 지 두 달 뒤인 5월 닛산이 다임러 주식 전량을 11억5000만유로에 매각했다. 여기에 다임러가 지난 6월 르노·닛산과 함께 진행하던 트윙고 프로젝트를 포기하며 파트너십 종료가 기정사실로 되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 다임러는 지분 매각과는 상관
[더구루=윤진웅 기자] 메르세데스-벤츠의 모회사 다임러그룹이 세계 4위 자동차 제조사 스텔란티스와 프랑스 석유회사 토탈이 합작한 배터리 기업 '오토모티브 셀'(Automotive Cell Company·ACC)에 합류했다. 전동화 전환 가속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다임러그룹은 최근 ACC에 합류하며 3대 주주로 등극했다. 내년 투자 예정인 약 300만 달러(한화 약 35억원)를 포함해 총 10억 유로(약 1조 3800억원)의 거액을 투자하기로 했다. ACC는 스텔란티스와 토탈이 지난해 9월 설립한 배터리 합작사다. 양사는 오는 2030년까지 50억유로(약 7조원)을 투자해 프랑스와 독일에 연산 규모 24GWh의 기가팩토리를 건설, 연간 총 생산량 48GWh를 확보할 예정이다. 약 100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운영은 ACC가 맡는다. 올라 칼레니우스(Ola Källenius) 다임러 AG 및 메르세데스-벤츠 AG CEO는 "ACC와 함께 유럽에서 배터리 셀과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임러그룹의 이 같은 결정은 지난 7월 이뤄졌다. ACC가 배터리 셀 생산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IE)로부터 '호라이즌' 지식재산권(IP) 표절로 소송을 당한 텐센트가 논란이 된 게임의 핵심 홍보 자료를 조용히 수정·삭제했다. 소송 제기 직후 이뤄진 조치가 향후 재판에서 텐센트에 어떻게 작용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Light of Motiram)'의 스팀 페이지의 주요 이미지와 트레일러, 게임 설명 등을 대거 수정했다. 텐센트가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주요 이미지 등을 수정한 배경에는 SIE와의 소송이 있다. SIE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텐센트의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이 자사의 대표작인 호라이즌 시리즈를 표절했다며 저작권·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고소장에 따르면 SIE는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캐릭터, 기계 생명체 디자인, 아트 스타일, 세계관 등 많은 부분이 호라이즌과 유사하다며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설명했다. SIE는 거대 로봇이 지배하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 붉은 머리의 여성 주인공, 귀에 착용하는 '포커스'와 유사한 장치 등 구체적인 유사점을 증거로 제시했다. 또한 텐센트가 호라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오픈AI의 최신 인공지능(AI) 모델 'GPT-5' 출시를 기점으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 샘 알트만 오픈AI CEO 간의 설전이 벌어졌다. AI패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는 기업 수장 간의 설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CEO는 최근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오픈AI가 MS를 산 채로 잡아먹게 될 것"이라는 경고성 글을 올렸다. 이를 두고 MS가 막대한 투자를 통해 키운 오픈AI에게 결국 주도권을 빼앗길 것이라는 의미가 담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론 머스크의 글은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GPT-5를 도입했다고 발표한 내용을 공유하며 작성됐다. 나델라 CEO는 8일(현지시간) X를 통해 "GPT-5를 MS 365 코파일럿, 깃허브 코파일럿, 애저 AI 등 자사 플랫폼 전반에 탑재했다"며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금까지 가장 유능한 모델을 선보이게 됐다. 놀라운 발전 속도"라고 소개했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일론 머스크의 조롱 섞인 반응에 대해 여유로운 반응을 보였다. 나델라 CEO는 "사람들은 50년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