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종합 콘텐츠 스튜디오 플레이리스트가 142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알토스벤처스와 하나증권 Club1 WM센터가 참여했다. 투자사는 플레이리스트가 가진 우수한 지식재산(IP) 파이프 라인, 제작 역량 및 크리에이터 보유, 누적 구독자 수 1100만 명 이상의 디지털 채널 영향력에 대한 가능성 등을 높게 평가했다. 플레이리스트는 지난해 ‘약한영웅 Class 1’와 국내 최초 쇼츠 드라마 ‘편의점 고인물’ 등을 성공적으로 선보이며 주목을 받은 제작사이다. 원천 IP 기획부터 제작·유통까지 가능한 내재화된 제작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히트작 드라마를 만든 크리에이터가 대거 포진돼 있다. ‘약한영웅 Class 1’, ‘사랑의 불시착’ 등을 제작한 윤현기 플레이리스트 제작1본부장과 ‘이태원 클라쓰’, ‘청춘시대’ 등을 제작한 이미나 플레이리스트 제작2본부장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최근에는 드라마는 물론, 음악과 예능 콘텐츠 영역까지 확장하며 안정된 사업 모델을 인정받았다. 박태원 플레이리스트 대표는 “플레이리스트는 시청자와 플랫폼의 소비 행태 변화에 따라 선제적으로 대응하면서 성장해 왔다. 이번 투자로 독보적인
[더구루=정등용 기자] 알토스벤처스가 투자한 바 있는 RV(레저용 차량) 렌털 업체 아웃도지(Outdoorsy)가 올해 가장 혁신적인 기업으로 평가 받았다. [유료기사코드] 아웃도지는 지난 2일(현지시간) 패스트 컴퍼니가 발표한 ‘2023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The World’s Most Innovative Companies of 2023)‘ 명단에서 여행·숙박 부문 4위에 올랐다고 6일 밝혔다. 패스트 컴퍼니는 기술, 경영, 경제, 비즈니스, 디자인 등의 분야를 다루는 미국 경제 전문지로 지난 2008년부터 매년 창의적인 사업 모델과 혁신적인 문화를 만든 기업을 선정해 전 세계 50대 혁신 기업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패스트 컴퍼니는 아웃도지를 이번 혁신 기업 명단에 포함한 이유로 ‘롬리(Roamly)’를 꼽았다. 롬리는 아웃도지가 독자 개발한 디지털 보험 브랜드다. 롬리는 자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여행 중이거나 RV를 소유한 사람을 대상으로 디지털 맞춤형 보험 서비스를 제공한다. 롬리는 특히 코로나19 엔데믹(감염병 주기적 유행)으로 여행 수요가 늘어나며 전년 대비 240% 이상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아웃도지는 롬리 보험료가 오는 2024년
[더구루=홍성일 기자] 알토스벤처스가 투자한 글로벌 온라인학습플랫폼 퀴즐렛(Quizlet)이 오픈AI의 챗봇 '챗GPT'를 기반으로 한 AI튜터 '큐챗(Q-Chat)'을 출시했다. 퀴즐렛은 1일(현지시간) 챗GPT API를 기반으로 개발된 완전 적응형 AI 튜터 큐챗을 공개했다. 큐챗은 향후 18세 이상의 미국 내 유저를 대상으로 베타버전이 제공될 예정이다. 큐챗은 오픈AI의 AI모델과 퀴즐렛의 대규모 교육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결합해 학생들에게 가상 튜터 경험을 제공한다. 퀴즐렛의 대규모 교육 콘텐츠 라이브러리에는 수십억 개의 질문과 정답이 포함돼 있다. 큐챗을 사용하는 학생들은 AI와 대화하면서 다양한 퀴즈를 풀고 답하며 지식을 심화할 수 있다. 퀴즐렛은 2020년부터 오픈AI와 협력해 어휘 학습과 테스트를 포함한 다양한 사례에 GPT-3를 활용해왔다. AI를 플랫폼에 적용하는 것은 이보다 앞선 2017년이었다. 퀴즐렛의 이런 AI 기술 사용은 미국 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퀴즐렛 관계자는 "퀴즐렛은 학생 경험을 개인화해 학습 과정을 향상시키는 AI의 잠재력을 오랫동안 인식해 왔다"며 "우리는 오픈AI와 협력해 학생들에게 무엇이든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비움(Livium Limited, 옛 리튬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 엔바이로스트림(Envirostream Australia Pty Ltd)이 희귀 금속의 회수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금속 회수 기술을 보유한 아이온드라이브(Iondrive)에 재활용 원료를 제공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지속가능한 회수 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아이온드라이브에 따르면 엔바이로스트림과 심층공융용매(DES) 상용화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DES는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용해하거나 침전시켜 희귀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아이온드라이브는 DES 공정 테스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폐배터리를 분해해 얻은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에서 95%가 넘는 희귀 금속 회수율을 기록했다. 연말 시운전을 목표로 파일럿 설비도 건설하고 있다. 엔바이로스트림은 이번 텀시트에 따라 파쇄된 태양광 폐패널과 셀, 블랙매스, 희토류 자석, 전자폐기물 등을 수집해 아이온드라이브에 제공한다. 아이온드라이브의 DES 기술·경제성 테스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멕시코 핵심 데이터센터가 전력망 문제로 가스 발전기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멕시코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의 한계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가 지난해 5월 멕시코 케레타로주 콜론에 오픈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멕시코 센트럴(Mexico Central)'은 올해 2월부터 6개월 가량 가스 발전기 7대에 의존해 운영됐다. MS가 멕시코 환경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발전기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하루 12시간동안 가동됐으며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70%를 공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만4000가구가 1년동안 배출한 양과 같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MS는 2024년 5월 오픈 이후부터 올해 1월까지는 어떻게 에너지를 공급했는지, 7월 이후 가스 발전기를 운영할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멕시코 센트럴이 자체 가스 발전기를 동원한 배경에는 전력망의 건설 지연이 있다. 멕시코 센트럴은 중남미 지역의 첫 지역 리전으로, MS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과 교육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