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태광실업이 베트남 남부지역 닥락성에서 신발공장을 추가로 짓고 현지 생산거점을 확대한다. 이미 베트남 규제 당국의 허가를 받으면서 착공 시기만 남긴 상태다. 4일 베트남 닥락성 관보에 따르면 태광실업의 베트남 법인 태광비나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베트남 닥락성 산업단지 관리위원회로부터 신발 공장 투자에 대한 투자허가서를 받았다. 태광비나는 닥락성 부온마투옷시 호아푸 산업단지 4만875㎡(1만2360평) 부지에 신발 공장을 짓는다. 총투자액은 약 4860억동(약 253억원)으로 약 5000명의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 태광실업은 지난 1994년 동나이성에 제1공장을 지으며 베트남에 첫발을 디뎠다. 이어 2009년 목바이, 2016년 껀터공장을 설립하고 생산능력을 키웠다. 하루 23만 켤레를 생산, 글로벌 브랜드 나이키 신발 부문에서 태광실업 비중은 기존 12%에서 15%로 확대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 세 공장에서 거두는 매출은 1조2100억원으로 추산된다. 태광실업은 이번 투자로 현지 생산량을 늘리고 고객사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나이키는 유럽과 미국 등 주요 국가에서 백신 접종이 빨라지고 중국 불매운동이 수그러들며
[더구루=오소영 기자] 태광실업의 베트남 자회사 태광비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떠난 직원들을 복귀시키고 추가 채용에 나선다. '위드 코로나' 시행을 앞두고 봉쇄령이 완화되면서 공장 정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라오동 등 베트남 매체에 따르면 태광비나는 직원들을 복귀시키고 공장 가동에 매진하고 있다. 태광비나 노조는 직원 400여 명이 회사로 돌아왔다고 추산했다. 현재 전체 직원의 70% 이상(약 2만2000명)이 복귀한 것으로 알려졌다. 채용도 추진한다. 2000~3000명을 뽑을 계획이다. 태광비나 노조는 직원들의 빠른 복귀를 위한 특별 허가와 백신 접종 지원을 촉구했다. 현지 노조위원장인 딘시푹(Đinh Sỹ Phúc)은 "해당 문제를 동나이성 인민위원회와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트남은 지난 7월 말부터 코로나19 확산을 막고자 전면 봉쇄령을 내리고 국내외 이동을 제한해왔다. 이로 인해 회사 출근이 어려웠었는데 최근 들어 완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수도 하노이시는 지난달 직장인의 이동을 조건부로 허용하기로 했다. 베트남은 8월 일일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명을 넘어서며 정점에 달했다. 지난달부터 수그러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기업 고션(Gotion)의 미국 미시간주 배터리 공장 건설 프로젝트가 결국 무산됐다. 미·중 패권 경쟁으로 인한 정치적 문제가 미국 내 배터리 생산 인프라 확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가 참여하는 미국 육군의 자주포 현대화 사업(Self-Propelled Howitzer-Modernization, SPH-M)의 추가 입찰 문서가 유출됐다. 지난 9월 말 발행한 자주포 정보요청서(RFI)를 뒷받침하는 문서로 미 육군이 원하는 차세대 자주포 요구사항이 담겼다. 현지생산 의무화와 미국산 탄약 발사 조항이 추가되면서 한화와 글로벌 경쟁사들의 수주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