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헝다오토가 출하한 첫 '헝치5'가 현지 네티즌들의 레이더망에 걸렸다. 헝다그룹의 위기에도 불구하고 헝치5의 생산에 총력을 기울이는 분위기지만 정식 출시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헝다뉴에너지자동차(헝다자동차)와 합작을 통해 전기차를 개발하고 있는 스웨덴 자동차업체 '내셔널일렉트릭비클스웨덴'(NEVS)이 새 둥지를 찾아 떠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NEVS는 미국과 유럽의 벤처 캐피탈 회사 등과 새로운 투자자를 찾기 위한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는 스테판 틸크(Stefan Tilk) NEVS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헝다그룹의 자금난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며 "현재 여러 투자자가 NEVS에 관심을 가지고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협의 대상이 누군지는 따로 밝히지 않았다. 업계는 NEVS의 가치가 최대 10억 달러(한화 약 1조1860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NEVS는 2012년 파산한 사브(Saab)의 자산을 인수하며 설립된 회사다. 헝다그룹이 2019년 계열사인 헝다자동차를 통해 인수했다. 하지만 헝다 사태가 불거지며 지난달 홍콩 증시에서 시가총액 830억 달러(약 98조원)를 날렸다. 최근에는 일부 직원 급여와 납품업체 대금 자체를 지급하지 못했을뿐더러 연구센터 직원들을 위한 무료 점심 급식까지 모두 중단했다. NEVS는 투자 유치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최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헝다그룹(恒大集团) 산하 전기차 업체 헝다오토(恒大汽车)가 헝츠신에너지차연구원(恒大恒驰新能源汽车研究院)의 자본금을 10배로 늘렸다. 전기차 출시 일정을 구체화한 만큼 양산을 현실화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헝다오토는 최근 헝츠신에너지차연구원의 자본금을 1억위안(한화 약 185억원)에서 10억위안(약 1856억원)으로 900% 증액했다. 헝츠신에너지차연구원은 지난 2019년 6월 설립됐다. △기술 수출입 △신에너지 완성차 등 스마트 제품 연구개발·생산 등을 담당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헝다오토는 그동안 △전기차 배터리 열관리 시스템 △고객 맞춤형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 특허 307건을 출원한 바 있다. 이번 자본금 증액과 더불어 류융줘 헝다오토 총재가 직접 전기차 출시 관련 구체적인 일정을 발표하면서 헝다오토의 전기차 양산 현실화에 대한 기대감이 상승하고 있다. 류융줘 헝다오토 총재는 지난 11일 열린 헝다자동차 전략 회의에서 "내년 초 전기차 '헝치5'를 생산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헝다오토는 전기차 개발과 생산을 위해 474억 위안(약 9조원)을 투입했음에도 단 한 대의 전기차도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토요타그룹의 무역상사 토요타통상이 미국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이 유럽연합(EU)으로부터 승인을 확보했다. 주요국의 허가 절차를 잇따라 통과하며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과 자원 순환 체계 구축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DL이앤씨와 두산에너빌리티의 파트너사인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핵연료 제조시설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 8월 건설 착수를 알린 엑스에너지는 그동안 부지정리 작업을 마무리한 후 지상건설에 본격 돌입했다. 엑스에너지의 핵연료 제조시설 건설로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 자국화가 가속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