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CAMX 파워'(이하 CAMX)가 호주 EV메탈그룹과 배터리 소재 사업에 협력한다. EV메탈그룹이 CAMX의 기술을 토대로 양극재를 개발해온 영국 존슨매티로부터 소재 사업을 인수하면서 파트너사가 교체됐다. [유료기사코드] CAMX는 26일(현지시간) "양극재 라이선스를 EV메탈그룹으로 이전하겠다는 존슨매티의 결정을 지지한다"라고 밝혔다. 존슨매티는 앞서 CAMX와 양극재 관련 특허인 GEMX®, CAM-7®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두 특허를 활용해 고급 양극재 eLNO®를 개발해왔다. eLNO®는 니켈 함량이 높아 배터리의 에너지밀도를 향상시키고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양극재 기술이다. eLNO®를 앞세워 배터리 소재 시장에 진출한 존슨매티는 작년 11월 경쟁 심화와 수익성 악화로 철수를 결정했다. 최근 EV메탈그룹과 매각 계약을 체결했다. 5000만 파운드(약 790억원)와 소수 지분을 받고 사업을 넘기기로 했다. 영국 배터리 테크놀로지 센터와 파일럿 공장, 독일 연구 센터를 포함한 배터리 소재 관련 자산과 특허가 매각 대상에 포함됐다. CAMX는 매각을 확정하며 원천 기술을 가진 CAMX와 인수자인 EV메탈그룹이 협력을
[더구루=정예린 기자] CAMX파워가 미국 우주군(USSF)의 혁신 연구 프로그램 파트너사에 선정됐다. 인공위성 개발에 필요한 배터리를 공급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CAMX는 최근 우주군과 170만 달러(약 20억원) 규모의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향후 18개월 내 우주군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제품을 개발 및 제작해 공급한다. CAMX가 납품하는 배터리셀은 지름 18mm, 높이 65mm의 원통형 18650 배터리다. 높은 에너지 밀도와 긴 수명이 특징이다. 우주군은 CAMX로부터 배터리를 공급받아 차세대 인공위성을 개발한다. 안전성이 담보돼야 하는 만큼 사용되는 배터리는 반복되는 0V 방전과 각종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장애 등 극한의 상태를 견뎌야 한다. CAMX는 우주군의 까다로운 조건에 부합해 최종 수주를 따냈다. 이번 계약은 우주군의 혁신 연구 프로그램 일환이다. 3단계에 걸쳐 진행되는 프로젝트로 CAMX는 1단계에 이어 2단계 수주에도 성공했다. 추가 연구개발을 거쳐 3단계에서 실제 상업화도 가능하다. 2단계 계약을 따낸 기업은 CAMX를 포함해 총 19곳이다. CAMX는 리튬이온배터리의 하이니켈 양극활물질 제조 기술 관련 플
[더구루=홍성환 기자] 민간 우주기업 로켓랩(Rocket Lab)이 미국 우주군(USSF)의 국가 안보 우주 사업에 참여한다. [유료기사코드] 로켓랩은 "미 우주군의 국가안보우주발사(NSSL) 3단계 1차 프로그램 사업자로 새롭게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NSSL은 미국 국방부를 비롯해 미국 정부의 우주에 대한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민간 상업용 발사 시장의 성장, 발사체의 재사용 가능성을 포함해 보다 저렴하고 안정적인 우주 발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총사업비는 56억 달러(약 8조2500억원)로 추산된다.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스페이스X와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설립한 블루오리진, 록히드마틴과 보잉의 합작투자 법인인 유나이티드런치얼라이언스(ULA) 등이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로켓랩은 현재 개발 중인 중형로켓 '뉴트론(Neutron)'을 이 프로그램에 투입한다. 뉴트론은 스페이스X 팰컨9와 직접 경쟁하게 될 중형 발사체다. 약 40m 길이의 재사용 가능한 중형 발사체로 8톤(t)의 무게를 궤도에 올릴 수 있다. 지난 2006년 창업한 로켓랩은 2017년부터 상업 발사를 해온 소형 우주 발사체 업계 강자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건조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의 중고 매물 가격이 최대 15%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과의 무역에서 중국산이 기피될 가능성을 염두해 중국 조선소가 선박 가격 할인으로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인 클락슨(Clarkson)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선사 항만 기항수수료 부과로 중국산 중고 VLCC의 가격이 최대 15%까지 저렴해질 전망이다. 클락슨은 "중국 조선소에서의 VLCC 건조비가 한국보다 최대 15% 낮아질 것"이라며 "통상적으로 중국산 선박은 한국산에 비해 할인된 가격에 거래됐지만 이보다 더 저렴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중국산 선박은 한국산에 비해 10% 할인된 가격에 거래됐다. LNG 운반선의 평균 가격은 한국이 중국 대비 약 20~30%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중국산 선박이 품질, 설계, 연비 등에서의 성능 차이를 보인데다 원자재와 인건비 등이 저렴해 가격이 낮게 책정됐다. 업계에서는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로 중국산 VLCC에 대한 가격할인은 12~15%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미국 항구에 들어오는 중국 해운사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