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소형발사체 시장 선두주자 로켓랩이 1700억원 규모의 위성버스를 제작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로켓랩은 24일(현지시간) 저궤도(LEO) 인공위성 업체 글로벌스타의 인공위성을 제공받는다. 글로벌스타가 캐나다 우주 기술 회사 MDA에 위성을 공급한 뒤 MDA가 다시 로켓랩에 전달해 위성버스를 제작한다. 이를 위해 글로벌스타는 캐나다 우주 기술회사 MDA와 3억2700만 달러(약 3938억원) 상당의 위성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는 9개의 위성을 각각 1140만 달러에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됐다. 이후 MDA는 로켓랩과 1억4300만 달러(약 1700억원)의 위성버스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계약에는 추가 위성과 위성 디스펜서, 발사 통합 옵션이 포함된다. 위성버스란 탑재체 페이로드(payload)를 장착하고 구동하기 위한 모든 시스템을 말한다. 위성은 통상적으로 탑재체와 버스(Bus)로 구성됐다. 데이비드 케이건(David Kagan) 글로벌스타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을 통해 " 3년 후 시작되는 새로운 위성 발사 준비하기를 기대한다"며 "오는 2025년 말까지 모든 위성이 발사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과 뉴질랜드를 기반으로 한 민간우주개발 기업 '로켓랩(Rocket Lab USA Inc.)'의 수주잔고가 지난해보다 두 배이상으로 증가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로켓랩은 지난 6월 30일 기준 수준잔고 1억 4140만 달러(약 1656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기간 5990만 달러(약 701억원)보다 136% 증가한 수치다. 상반기 매출도 2950만 달러(약 346억원)을 기록하며 연간 5000만 달러 이상 매출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다. 코로나19 방역 모범국으로 뽑힌 뉴질랜드에 발사장을 운영하고 있는 로켓랩은 전세계적인 범유행 상황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발사를 진행해왔다. 하지만 3분기 델타변이의 확산으로 뉴질랜드 정부가 셧다운 조치를 취하면서 매출에 영향을 받게 된 것이다. 이에 올해 로켓랩의 매출은 최대 1500만 달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로켓랩 관계자는 "3분기 셧다운으로 인한 매출 감소가 있었지만 연간 매출이 최대 5400만 달러 이상이 될 것"이라며 "지속적으로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로켓랩은 2006년 설립된 로켓랩은 일렉
[더구루=홍성일 기자] 100개 이상의 위성을 발사하며 스페이스X 경쟁하고 있는 미국 민간우주기업 '로켓랩'이 우주쓰레기 제거 기술을 테스트하기 위한 위성을 발사한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로켓랩은 지난 16일 핀란드의 우주기업 '오로라 프로펄션 테크놀로지'의 우주 쓰레기 제거 기술 테스트 위성을 발사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위성은 올 4분기 중으로 뉴질랜드 마히아 반도에 위치한 로켓발사장에서 쏘아질 예정이다. 이번 발사에는 로켓랩이 제작한 소형 위성 발사체인 '일렉트론' 로켓이 사용되며 오로라 프로펄션 테크놀로지의 '오로라SAT-1'를 지구 저궤도 상에 올려놓는다. 오로라 프로펄션 테크놀로지는 로켓랩의 신속한 발사와 유연한 발사 옵션, 자체 궤도 안착 기술 등을 높게 평가, 발사체로 선정했다. 오로라SAT-1 위성은 자체 위성 추진 장치와 제동을 위한 플라스마 브레이크 기술 등을 실험할 계획이다. 오로나SAT-1은 수명을 다한 인공위성에 접근해 플라즈마 브레이크 기술 등을 통해 위성에 추력에 저항하는 항력을 발생시켜 궤도에서 벗어나게 만드는 방식으로 우주쓰레기를 청소한다. 피터 벡 로켓랩 최고경영자(CEO)는 "빠른 발사를 원하는 오로라와 같은 차세대
[더구루=홍성일 기자]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의 자회사인 아이디퀀티크(IDQ)가 유럽 통신업체 콜트 테크놀로지 서비스(Colt Technology Services, 이하 콜트)와 양자 보안 서비스 확대를 위해 손잡았다. 콜트는 IDQ의 양자 암호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보안 성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IDQ와 콜트는 최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파트너십에 따라 양사는 기존 광통신망에 대한 양자 보안 솔루션 통합을 모색하기로 했다. 양사는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콜트의 광파 전송망(optical wave network)과 IDQ의 양자 암호화 솔루션을 결합한 새로운 통신 기술을 테스트했다. 해당 시험은 광파 전송망에 양자 키 분배(QKD)와 사전 공유키(PSK), 사후 양자 암호화(PQC) 등 다양한 양자 암호화 기능을 통합, 시연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IDQ는 이번 시험 운영을 통해 QKD 시스템인 '클라비스 XG(Clavis XG)'와 양자 안전키 교환 플랫폼인 '클라리온 KX(Clarion KX)'이 성능을 증명했다고 설명했다. 콜트는 이번 시험 결과를 토대로 자사의 네트워크 전반에 IDQ 양자 암호화
[더구루=홍성일 기자] 스페이스X의 위성통신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와 아마존의 카이퍼(Kuiper)가 인도 위성통신 장비업체와 첫 계약을 체결했다. 스타링크와 카이퍼의 인도 서비스 출시가 초읽기에 돌입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일 인도 경제전문매체 머니컨트롤에 따르면 스타링크와 아마존 카이퍼는 초소형 지구국(Very Small Aperture Terminal, VSAT) 기업과 첫 사업계약을 맺었다. 계약을 체결한 업체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인도 VSAT 업체인 휴즈 커뮤니케이션즈(Hughes Communications), 넬코(Nelco), 인마샛(Inmarsat) 등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VSAT는 지름 0.6m~1.8m 크기의 소형 안테나가 통합된 위성 통신용 지구국으로, 크기가 작고 설치가 간편해 개인도 손쉽게 위성 통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비다. 스타링크와 프로젝트 카이퍼도 소형 안테나로 구성된 별도의 키트를 구매해야하는 만큼, 이번 계약으로 양 서비스는 인도 내 이용자에게 위성 통신 키트를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게 됐다. 업계는 VSAT와의 계약으로 스타링크와 아마존 카이퍼의 인도 서비스 정식 출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