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1위 음식배달 플랫폼 '배달의 민족(배민)'을 운영하는 독일 딜리버리히어로와 일본 편의점업체 세븐일레븐이 미국 차량공유업체 우버가 설립한 자율주행 배송로봇 스타트업에 투자했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배송로봇 스타트업 서버로보틱스(Serve Robotics)는 최근 1300만 달러(약 150억원) 규모 시드 라운드를 마감했다. 딜리버리히어로가 지원하는 DX벤처스와 세븐일레븐의 벤처캐피털(VC) 세븐벤처스, 웨이브메이커파트너스 등이 시드 라운드에 참여했다. [유료기사코드] 전 세계적인 디지털·비대면 경제의 확대로 향후 자사 배달 서비스에 도입하기 위해 선제적인 투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세븐일레븐은 이달 초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자율 배송차량 뉴로와 제휴해 배달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서버로보틱스는 올해 초 우버가 음식배달업체 포스트메이츠의 로봇사업부문인 포스트메이트X를 분사해 설립한 회사다. 앞서 포스트메이츠는 지난 2017년 알리 카샤니가 창업한 록스(Lox)를 인수하며 배송로봇 시장에 진출했다. 2018년 12월 배송로봇 '서브'를 공개했다. 우버는 지난해 7월 포스트메이츠를 26억5000만 달러(약 3조1320억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이 투자한 미국 유전자 분석 스타트업 네뷸라 지노믹스(Nebula Genomics)가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생명공학회사 프로페이즈 랩스(ProPhase Labs)에 매각됐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프로페이스는 최근 설립한 자회사 프로페이즈 프레시젼 메디슨(ProPhase Precision Medicine)을 통해 네뷸라 지노믹스를 1460만 달러(약 170억원)에 인수했다. 프로페이스는 네뷸라 지노믹스가 보유한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자사의 임상 진단 시험 서비스와 통합할 방침이다. 네뷸라 지노믹스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유전자 정보를 관리하는 미국 스타트업이다. 인간 유전자 정보 프로젝트의 대부로 불리는 조지 처치 하버드의대 교수가 공동으로 설립했다. 지난 2018년 무료 유전자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출시해 주목을 받았다. 미래에셋이 이 회사사 투자해 국내에도 알려졌다. 미래에셋은 지난 2018년 이 회사의 430억 달러(약 50조원) 규모 시드 파이낸싱에 참여했다. 프로페이즈 랩스는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생명공학 및 유전자학 회사다. 기존 미국실험실표준인증 연구실(CLIA LAB) 서비스를 활용해 소비자에게 직접 유전자 분석
[더구루=진유진 기자] 독일 음식 배달 플랫폼 업체 딜리버리히어로가 한국 시장 성장세를 발판으로 글로벌 투자 매력을 재입증했다. 한국은 경쟁이 치열하나, 시장 자체가 고속 성장하며 기업 가치에 장기적 동력을 제공하고 있다는 평가다. 단기적 불확실성이 보다는 자회사 배달의민족(이하 배민)이 여전히 핵심 성장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이 투자자 기대를 키우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스위스 투자은행 UBS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딜리버리히어로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제시하고, 목표주가 35유로를 유지했다. 조 바넷-램 UBS 애널리스트는 "단기적인 불확실성 때문에 딜리버리 히어로의 사업 부문별 가치는 여전히 과소평가되고 있다"며 "한국 시장 성장세가 장기적으로 기업 가치에 기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배민이 지난달 한국에서 다시 시장 점유율을 일부 잃은 점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점유율 하락 폭은 전월보다 줄었고, 주요 경쟁자인 쿠팡이츠에 점유율을 빼긴 게 아니라는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UBS는 "한국 음식 배달 시장이 현재 두 자릿수 성장률을 이어가고 있는 점은 장기적 관점에서 유리하다"고 강
[더구루=정등용 기자] 율호가 2대 주주로 있는 미국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 ‘아쿠아 메탈스(Aqua Metals)’가 미국 심해광물 채굴 시장에 뛰어들었다. 아쿠아 메탈스는 ‘아쿠아 리파이닝(Aqua Refining)’ 기술을 활용해 미국의 친환경 광물 공급망 구축에 핵심 역할을 맡겠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아쿠아 메탈스는 16일(현지시간) 심해광물 채굴 기업 ‘임파서블 메탈스(Impossible Metals)’와 미국 핵심광물 공급망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MOU의 주요 내용은 △중국의 통제에서 벗어난 독립된 핵심광물 공급원 개발 △아쿠아 리파이닝을 통한 정제 기술 적용 △핵심광물 채굴부터 고순도 금속 정제에 이르는 솔루션 구축 △글로벌 광물시장 조성과 관련한 미래 기회 모색 등이다. 임파서블 메탈스는 수중 로봇을 활용해 심해광물을 채굴하는 기업이다.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면서 다금속 결절을 선택적으로 채굴하는, 세계 최초 자율 수중 로봇 플랫폼 ‘유레카 컬렉션 시스템(Eureka Collection System)’을 개발하기도 했다. 아쿠아 메탈스는 임파서블 메탈스에 아쿠아리파이닝을 도입해 친환경적인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