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반도체 A주 상장 기업 39개 중 30개가 올해 상반기 흑자를 낼 전망이다. 미국 수출 통제의 반사이익을 얻은 중국 반도체 장비 회사들은 순이익이 크게 늘었다. 반면 집적회로(IC) 설계·패키징 기업들은 울상이다. 가전·모바일 수요 침체로 부진한 성적표를 거뒀다. 6일 증권일보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A주 상장 반도체 기업 39개 중 30개가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8개 기업은 실적 전망치가 상향됐다. 호실적을 내는 기업은 대부분 반도체 장비 회사다. AMEC은 상반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109.5%~120.2% 급증한 9억8000만 위안(약 1700억원)~10억3000만 위안(약 1860억원)으로 추정된다. 식각(에칭) 장비 주문이 늘었다. 완예기업(万业企业)도 상반기 순이익이 316% 뛰어 약 1억1800만 위안(약 210억원)에 달한다고 예측했다. 장비 업체들이 좋은 성적표를 낸 배경은 미국의 수출 규제에 있다. 미국은 작년 10월 △18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이하 D램 △128단 이상 낸드 플래시 △14나노 이하 로직 칩을 생산하는 중국 기업에 반도체 장비 수출을 사실상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자동차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주도적이며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송호성 기아 사장은 최근 중국 현지 기자 간담회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장기간 판매 부진에 따른 현지 철수설이 고개를 들기 전 사전 예방 차원에서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들어 일본 미쓰비시와 마쯔다 등 현지 진출한 수입 브랜드 다수가 판매 부진을 이유로 잇따라 철수를 결정하면서 기아 등 다른 아시아 브랜드의 행보에 관심이 높아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송 사장은 "현지 판매 부진에도 지속해서 신차를 출시하는 것은 물론 기술에 대한 투자도 아끼지 않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현지 신에너지차(NEV) 시장 투자 계획도 전했다. 그는 "오는 2027년까지 현지 시장에 6개 전기차 모델을 출시할 것"이라며 "오는 2030년에는 전기차 판매 비중이 전체 신차 판매의 40%(약 18만 대)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지난 5년 동안 전기차 출시를 미뤄 현지 NEV 시장 개발 기회를 놓쳤지만 이를 상쇄하게 위해 매년 새로운 모델을 선보일 것"이라고 귀띔했다. 실제 기아는 이달에만 전기차 2개를 중국 시장에 출시한다. 현재 브랜드 전용
[더구루=길소연 기자] 스마트 전기차(EV) 배터리 충전기 시장이 오는 2030년까지 31.8%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보일 전망이다. 6일 시장조사기관 인피니티 비즈니스 인사이트(Infinity Business Insights)가 발간한 '2023-2030 글로벌 및 지역 스마트 EV 배터리 충전기 산업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스마트 EV 배터리 충전기 시장은 2023년부터 2030년까지 CAGR은 31.8%, 매출은 15억 2000만 달러(약 1조9700억원)에 달한다. 스마트 EV 배터리 충전기는 EV의 충전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도록 설계된 고급 지능형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말한다. 배터리 충전기 시장 주요 키플레이어로는 △글로벌 자동차부품업체 '델파이 오토모티브(Delphi Automotive)' △독일 로베르트보슈(Robert Bosch GmbH) △미국 테슬라(Tesla) △다국적 기업 피코사 인터내셔널 (Ficosa International) △클로어 오토모티브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 △LG전자 등이 꼽힌다. 시장의 주요 업체들은 충전기 효율과 전력 출력을 높이며 원활한 차량 간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시청각 양식을 지배하고 있는 숏클립 시장이 소비문화의 변화도 주도하고 있다. 전통적인 전자상거래 기업들의 점유율이 떨어지는 가운데 숏클립을 앞세운 틱톡 등이 소비문화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6일 코트라 난징무역관의 '숏클립이 뜬다, 영상 보고 쇼핑하는 중국의 신 소비문화'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쇼핑 문화는 '숏클립'으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올해 3월 발표된 중국 인터넷 시청각 발전 연구 보고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 수는 10억6700만명이다. 이 중 94.8%인 10억1200만명이 숏클립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전년대비 7800만명이 증가한 수치다. 숏클립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중국인들의 여가 수단이자 온라인 쇼핑의 보편적 수단으로 자리잡았다. 중국의 숏클립 플랫폼은 틱톡과 콰이쇼우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틱톡의 일일 활성 유저수(DAU)는 약 4억2100만명이며 콰이쇼우의 DAU는 3억4700만명이다. 이들은 숏클립 트래픽을 활용해 유저들을 전자상거래 유저로 전환시키는 '숏클립 전자상거래' 부문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숏클립 전자상거래는 유저들이 숏클립을 소비하다가 관련된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공지능(AI)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 간 패권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6일 코트라 미국 워싱턴무역관의 'AI 규제가 불러올 미·중 기술 경쟁의 새로운 국면' 보고서에 따르면 챗GPT 등장으로 대규모 언어 모델(LLM) 기반 생성형 AI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으며 미·중 간 AI 경쟁력 분석이 쏟아지고 있다. 작년 11월 공개된 오픈AI의 챗GPT와 구글 바드, 최근에는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까지 챗봇 기술에 뛰어들면서 막대한 투자가 미국 실리콘밸리로 몰리고 있다. 중국의 생성형 AI 기술은 미국에 아직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의 대표적인 테크기업 바이두·바이트댄스·텐센트 등이 챗GPT와 경쟁할 기술을 선보이거나 개발을 예고했지만 아직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중국은 AI 이미지 인식과 같은 보안 기술 영역에서 두각을 보인다. 중국 내 14억명 인구가 쉴 새 없이 생성하는 데이터와 상대적으로 느슨한 개인정보 규제가 이 분야에서 중국의 경쟁력을 키웠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영국 금융 컨설팅사 프레킨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AI 관련 투자는 미국이 266억 달러로 40억 달러에 그친 중국을 압도한다. 다만 격차가 점
[더구루=홍성환 기자] 아랍에미리트(UAE)가 공공 안전 강화를 위한 인프라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6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수하일 빈 모하메드 알 마즈루이 아랍에미리트 에너지인프라부 장관은 이달 초 국가 인프라 개발 프로그램 '살라마365(Salamah365)'를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그는 "살라마365를 통해 아랍에미리트가 국제적으로 선도적인 공공 안전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교통 사고 다발 장소 특정 △지역 맞춤형 보행자 횡단보도 모델 구현 △댐 및 계곡 모니터링을 통한 홍수 사전 경고 등 혁신적인 솔루션과 상호적 경고 시스템을 도입해 공공 안전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UAE 에너지부가 국내 모든 기반시설과 도로, 댐에서 안전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연방·지방 정부, 민간 이해관계자와 협력할 것"이라며 "시범 단계에서 16개의 댐과 9개의 계곡을 모니터링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하산 모하메드 알 만수리 에너지인프라부 차관도 "스마트 스쿨 모델을 구현해 도로 이용자와 학생의 안전을 보장할 것"이라며 "아울러 최첨단 인프라와 교통 안전 부문에서 성공적인 모델을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 뷰티 셀럽 호르에 구티에레즈(Jorge Gutierrez)가 설화수 자음생 라인에 대해 안티에이징 효과가 뛰어나다고 극찬했다. 호르에 구티에레즈의 예명은 '트렌디가이D(Trendiguyd)로, 지난달 31일 기준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 5만2000명을 보유하고 있다. 2021년 세포라 홍보대사 '세포라스쿼드'로 활동하며 명성을 얻었다. 구티에레즈는 6일 설화수 순행 클렌징폼과 자음생 세럼, 크림에 대해 '건강한 피부를 만드는 화장품'이라고 평가했다. 자신의 애정템으로 자음생 세럼을 꼽았다. 그는 "자음생 세럼을 사용하면 피부 깊은 곳부터 건강함이 차오르는 듯하다"며 "수분과 탄력, 주름 등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뷰티 셀럽이 설화수 제품에 대해 호평을 쏟아내면서 현지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 반응 역시 뜨겁다. 온라인상에서는 "바르는 즉시 피부에 스며들어 건조함을 개선한다", "한 번 발랐음에도 주름이 옅어졌다. 이것은 기적" 등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설화수가 현지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함에 따라 아모레퍼시픽의 전망이 맑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 사업 부진을 딛고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
[더구루=한아름 기자] 대웅제약과 휴젤, 메디톡스가 K-보툴리눔톡신이 태국 시장을 놓고 3파전을 펼친다. 메디톡스가 6년간 이어온 대웅제약과의 법정 공방에서 승기를 잡으면서 현지 수출을 재개한 데 따른 것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과 휴젤, 메디톡스가 차기 태국 보툴리눔톡신 시장 왕좌를 놓고 치열한 각축전을 벌인다. 메디톡스 보툴리눔톡신 메디톡신(수출명 뉴로녹스)가 태국 수출길에 다시 올랐기 때문이다. 메디톡스는 지난 2008년 삼사 중 가장 먼저 태국 보툴리눔톡신 시장에 진출했으나 대웅제약과의 법정 공방으로 2020년 수출길이 막혔다. 대웅제약과 휴젤은 메디톡스가 빠진 태국 보툴리눔톡신 시장을 장악했다. 태국 보툴리눔톡신 시장에서 자취를 감췄던 메디톡스가 3년 만에 모습을 드러낸 만큼, 삼사가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대웅제약과 휴젤, 메디톡스는 태국 보툴리눔톡신 시장에서 승기를 잡기 위해 치열한 신경전을 치룰 예정이다. 특히 태국은 뷰티 트렌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동남아 대표 뷰티 강국인 만큼, 시장 선두를 차지하는 것은 상징성이 매우 크다는 게 이들 입장이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태국 보툴리눔톡신 시장 규모는 500억원에 달한다. 대웅제약
[더구루=한아름 기자] '한국 스킨케어'가 일본 화장품 시장을 삼켰다. 한국이 스킨케어 화장품 부문에서 뷰티 강국 프랑스와 격차를 벌리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랑콤, 샤넬과 같은 고급 브랜드를 넘어섰다. 6일 국제 수출입 통계기관 GTA(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올해 일본의 한국 스킨케어 수입 규모는 1억5935만달러(약 2083억원)로 1억1803만달러(1543억원)의 프랑스를 앞섰다.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일본의 한국 스킨케어 수입 규모는 1억4209만달러(1858억원), 1억3992만달러(1829억원)다. 같은 기간 프랑스는 1억3021만달러(1702억원), 1억2358만달러(1615억원)다. 한국 스킨케어의 일본 수출규모는 2년새 12% 늘어났지만 프랑스는 9% 줄어들었다. 현재 일본 뷰티 시장에서 K-뷰티의 입지는 탄탄하다. 현지 최대 뷰티 리뷰 플랫폼인 아토코스메(@cosme)는 K-뷰티 카테고리를 따로 만들어 운영 중이다. 아토코스메가 선정한 K-뷰티 상위권에는 한국 스킨케어 제품이 다수 랭크인돼 있다. 아모레퍼시픽 이니스프리 레티놀 시카 흔적 앰플의 경우, 톱 5위 안에 들었다. 한국 스킨케어가 일본인에게 인기를 끄는 비결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미국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텍사스 휴스턴에 2호점과 3호점을 연달아 조성한다. 오는 2030년 북미 1000호점 달성이라는 목표 실현을 위해 힘을 쏟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올해 하반기 휴스턴 서쪽 웨스트체이스(Westchase)과 블래록(Blalock) 지역에 각각 새 매장을 오픈한다. 이들 점포가 문을 열면 휴스턴에 위치한 파리바게뜨 매장은 기존 케이티(Katy)점과 더불어 3개로 늘어나게 된다. 파리바게뜨 웨스트체이스점은 쇼핑몰 웨스트온웨스트(West on West)에 입점한다. 8360㎡ 규모의 웨스트온웨스트에는 파리바게뜨 이외에도 한국 식당 젠(Gen), 일본 면요리 레스토랑 츠지타(Tsuita), 대만 버블티 전문점 디앨리(The Allet) 등과 슈퍼마켓, 백화점 등이 들어선다. 파리바게뜨 블래록점은 백화점, 대형마트, 스포츠용품점, 영화관 등이 들어선 번화가에 조성될 예정이다. 인근에는 교회, 중학교, 고등학교 등도 있다. 신규점 두 곳 모구 유동 인구가 풍부해 집객 효과가 뛰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파리바게뜨가 미국 내 영토 확장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지난 6월에는 미
[더구루=김형수 기자] 도미노피자가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신제품 출시로 수익성 향상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국내에서도 선보일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도미노피자는 미국에서 신메뉴 페페로니 치즈브레드를 론칭한다. 페페로니 치즈브레드 출시로 치즈브레드 메뉴는 △베이컨&할리피뇨 △시금치&페타 △치즈 등에 더해 4종으로 확대된다. 러셀 웨이너(Russell Weiner) 도미노피자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컨퍼런스 콜에서 "10여년전 론칭한 치즈 브레드 라인의 신제품 페페로니 치즈 브레드를 8월 말 선보일 예정"이라면서 "치즈 브레드는 도미노피자 메뉴 구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가맹점에 건강한 이익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포트폴리오 확대로 성장성을 이어가겠는 계획이다. 지난 2분기 순수익(Net Income)은 1억938만달러(약 142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72% 늘어났다. 같은 기간 미국 내 매출은 1.7%, 글로벌 매출은 6.9% 증가하며 실적이 우상향했다. 국내 출시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도미노피자는 국내에서 신메뉴 페퍼로니 더블 치즈 엣지 마케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 은행들이 지난해 막대한 경영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부실채권 급증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 은행들의 대출·예금 잔고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세전 이익은 총 265조 동(약 14조5000억 원)에 달했다. 20개 이상 은행이 역대 최대 이익을 기록했다. 그 중 비엣콤은행(Vietcombank), 테크콤은행(Techcombank),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 군대은행(MB), 비엣띤은행(VietinBank), 아그리은행(Agribank) 등 대형은행 7곳은 모두 20조 동(약 1조940억 원)이 넘는 이익을 달성했다. 은행 부문 여신성장률은 평균 14.5%를 기록했다. 비엣콤뱅크(19.3%)와 군대은행(25.4%), VP은행(28.3%), HD은행(25.6%) 등은 평균을 훨씬 웃도는 성장률을 기록했다. 다만 부실채권 급증은 베트남 은행권의 리스크 요인으로 꼽힌다. 베트남 중앙은행(SBV) 통계를 보면 올해 1분기 베트남 은행권의 부실채권 비율은 2.91%를 기록했다. 지난해 연말 2%였던 것에 비해 1%p 가까이 상승한 수치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비엣콤뱅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내년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조비는 1일 "두바이에서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유인 비행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조비는 내년 UAE 두바이에서 첫 에어택시 운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두바이 도로교통청(RTA), 두바이 민간항공청(GAA), UAE 민간항공청(GCAA) 등과 협력 중이다. 이 회사는 6년 간 두바이에서 독점적으로 에어택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한 상태다. 조비는 두바이 국제공항과 인공섬 팜 주메이라, 두바이 마리나, 두바이 다운타운 등 네 곳에 거점을 마련한다. 현재 버티포트(수직이착륙장) 건설 공사가 진행 중이다. 조벤 비버티 조비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UAE는 글로벌 시장 진출에 있어 중요한 발판"이라고 강조했다. 조비는 UAM에 활용되는 전기항공기의 최장 비행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연방항공국(FAA)의 상업 비행용 허가인 G-1 인증을 획득한 UAM 기체 제조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조비가 개발 중인 eVT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의 차세대 원자력 산업에서 가장 큰 고민거리 중 하나였던 '고순도 저농축 우라늄'(High-Assay Low-Enriched Uranium·HALEU) 공급망 구축을 위해 핵심 기업들이 손을 잡았다. [유료기사코드] 1일 원자력국제공학협회(Nuclear Engineering International)에 따르면 오픈AI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샘 알트만이 투자한 미국 원자력 기술 기업 오클로(Oklo)는 SK와 HD현대가 투자한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스타트업 '테라파워'와 동위원소 농축회사 헥시움(Hexium)과 협력해 HALEU 생산을 가속화한다. 오클로와 테라파워, 헥시움 등 3사는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LNL)와 협력해 첨단 레이저 동위원소 분리 기술(AVLIS)을 활용, 미국 내 HALEU 생산 인프라를 구축해 를 상업화 전략을 본격화한다. AVLIS는 기존 원심분리기 기반 방식과 달리 미세 조정된 레이저를 사용해 우라늄 동위원소를 선택적으로 이온화해 더욱 정밀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농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콤팩트한 설계로 우라늄 기체상태(육불화우라늄)로의 화학적 전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