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모바일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유라클은 20일 이마트의 '모바일 스마트 오피스'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을 통해 이마트는 모바일 표준 개발 환경을 재구축하고, 품질·발주·재고·물류 관리와 같은 다양한 업무를 서로 다른 플랫폼과 연계해 모바일로 수행할 수 있게 됐다. 유라클은 모바일 표준 플랫폼 '모피어스'를 기반으로 모바일 스마트 오피스 앱을 AWS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에 DevOps 환경으로 구축했다. 이를 통해 앱의 개발, 운영, 배포의 효율성을 높였다. 또한 클라우드 환경의 자원 및 시스템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했다. 더불어 재설치가 필요 없는 앱 리소스 업데이트를 통해 화면과 기능 개선을 적용할 수 있도록 했고, 필요 시 강제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개발해 버전 관리가 용이하도록 설계했다. 운영과 개발뿐만 아니라 사용자 측면에서도 개선이 이뤄졌다. 유라클은 PC버전의 이마트 ERP 시스템과 모바일 스마트 오피스 앱의 UI·UX를 공유하고 데이터를 연동함으로써 업무의 연속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이 사업을 통해 이마트는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또는 태블릿으로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효율적
[더구루=한아름 기자]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이 인도네시아에서 화제다. 인도네시아 먹방 유튜버가 불닭볶음면 챌리지 먹방으로 단숨에 유명세에 올랐다. 불닭볶음면이 동남아에서 인지도가 높다는 평가가 나온다. 20일 인도네시아 매체 데틱핫(Detikhot)은 구독자 475만명을 거느린 먹방 유튜버 파리다 누르한(Farida Nurhan)을 집중 조명했다. 그는 싱가포르와 홍콩 등에서 부동산 중개인 등으로 일하다가 지난 2017년부터 먹방 유튜버로 활동했다. 활동 초반에는 큰 인기를 끌지 못했으나 붉닭볶음면 먹방이 잭팟을 터뜨리며 단숨에 구독자 475만명을 거느린 대형 유튜버로 성장했다. 유튜버 활동 5년 만에 누적 조회수 12억6165만회를 기록했다. 그는 "삼양식품 불닭볶음면 챌린지로 구독자와 조회수가 급격히 늘었다"며 "이제는 집도 있고 차도 있다. 내 아이 역시 좋은 학교를 다닌다"고 기뻐했다.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의 인기를 실감케 하는 대목이다. 지난달에는 현지 인기 배우 아만다 마노프(Amanda Manopo)가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의 매운맛에 도전했다. [본보 2023년 6월 20일 참고 :삼양식품, '인니 국민 여배우' 불닭 챌린지 '好好'…팔로워 1527만
[더구루=홍성일 기자] 스웨덴의 전기차 업체 폴스타가 중국 IT기업 메이주와 자동차용 운영체제(OS) 개발을 위해 합작사(JV)를 설립했다. 미구과 중국의 패권 다툼 영향이 점차 산업계 전반으로 확대되는 모양새다. 폴스타는 19일(현지시간) 지리자동차 자회사 메이주와 자동차용 운영체제 구축을 위한 합작사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합작사의 사명 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새로운 합작사는 메이주가 51%, 폴스타가 49% 지분을 소유한다. 폴스타는 합작사에 약 130여명의 직원을 파견한다. 폴스타가 메이주와 합작사를 설립, 자동차용 운영체제 개발에 나선 것은 미국과 중국 간 패권 경쟁 속 구글 안드로이드 오토의 중국 내 사용이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폴스타는 구글 안드로이드 오토가 중국 내 사용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현지화된 운영체계의 필요성을 절감한 것으로 보인다. 폴스타는 합작 투자 발표와 함께 중국 외에서 판매되는 모델에는 구글 안드로이드 오토가 적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폴스타와 메이주의 합작사에서는 지리자동차와 메이주, 이카엑스가 공동으로 개발한 플라이미 오토의 기능을 강화한다. 폴스타는 이미 지난 4
[더구루=김형수 기자] 빙그레가 대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여름을 맞아 현지 차(茶) 전문 브랜드와 콜라보 프로모션을 펼치며 현지 소비자 유치에 힘을 쏟는다는 전략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빙그레는 대만 차 전문 브랜드 춘양차사(春陽茶事)와 손잡고 오는 21일까지 이벤트를 개최한다. 춘양차사는 대만 타이베이, 지룽, 신베이, 타오위엔, 타이중, 타이난, 가오슝 등 대만 전역에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홍콩,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는 물론 미국, 프랑스, 호주 등에도 진출해 사업을 펼치고 있다. 대만에 위치한 춘양차사 매장을 방문해 △춘양우롱차(春陽烏龍) △사계청차(四季青茶) △춘양홍차(春陽紅茶) △췌옥녹차(萃玉綠茶) 라지 사이즈를 주문한 고객에게 빙그레 메로나를 증정한다. 빙그레는 경품을 내건 SNS 이벤트도 준비했다. 춘양차사의 차 메뉴 가운데 어떤 음료가 빙그레 메로나 아이스크림과 가장 잘 어울린다고 생각하는지를 빙그레 대만 페이스북 계정 내 이벤트 게시물에 댓글로 남기면 이벤트에 참가할 수 있다. 해당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간은 오는 29일 오후 11시59분까지다. 오는 30일 추첨을 통해 뽑힌 6명에게 빙그레 바나나우유 인형을 전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인 스텔란티스(Stellantis)가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 이하 아처) 지분을 확대했다. [유료기사코드] 스텔란티스는 19일(현지시간) 르 부르제 상트르 파크 데 엑스포지시옹(Le Bourget Parc des Expositions)에서 열린 '제54회 파리 에어쇼'에서 아처의 주식 1090만 달러(약 140억원) 규모를 매입했다고 밝혔다. 스텔란티스는 공개시장을 통해 아처 주식을 매입했다. 가격은 주당 2.54달러에서 3.22달러 사이로, 총 1090만 달러를 투자했다. 스텔란티스는 이번 주식 매입으로 아처의 지분을 늘려 지배력을 확대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스텔란티스가 아처와 협력 중인 eVTOL 제조는 순항 중이다. 앞서 스텔란티스는 올 초 아처와 eVTOL 독점 생산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스텔란티스는 아처에 2년 동안 최대 1억5000만 달러(약 1850억원)를 투자를 약속했다. <본보 2023년 1월 5일자 참고 [단독] 스텔란티스, 美 아처 '수직이착륙기' 독점 생산…UAM 시장 출사표> 양사는 현재 조지아주 코빙턴에 위치한 제조시설에서 e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완성차 업체 제너럴 모터스(GM)가 로봇 EV 충전기 특허를 등록했다. 이번 GM의 로봇 충전기 특허 출원으로 지난 3월 로봇 충전기 시제품을 선보인 현대자동차에 견제구를 날리는 모양새다. 20일 미국특허청(USPTO)에 따르면 GM '로봇 충전 장치'에 대한 특허가 공개됐다. 해당 특허는 지난 2021년 11월 30일 제출됐다. 이번에 공개된 GM의 로봇 EV 충전기는 충전소에 들어온 전기 자동차에 자동으로 로봇이 충전 플러그를 연결해 충전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특허 속 자동 충전 로봇은 충전 플러그와 이를 본체와 연결할 수 있는 암으로 구성됐다. GM이 자동 EV 충전 시스템 개발에 속도를 내는 것은 자율주행차 시대에 필수적인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자율주행차 시대가 되면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전하지 않아도 스스로 주행을 하게되는 상황이 많다. 이에 현대차도 지난 3월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ACR)'의 시연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로봇은 전기차가 지정된 장소에 주차하면 충전 플러그를 들어 충전구에 체결해주고 충전이 끝나면 회수하는 방식으로 움직이는 외팔형 로봇이다. 현대차도 해당 시스템이 자율주행차 시대에 중요한 기술로 보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페이저가 새로운 다중 궤도 이동통신(SATCOM) 솔루션 출시를 통해 위성통신 사업 분야 성장을 꾀한다. 위성 통신을 활용한 데이터를 강화하는 한편 이를 활용한 방위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에 나서는 모습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페이저는 단일 패널에서 다중 궤도 액세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위성통신 솔루션을 출시한다. 오는 2024년 여름에 공식 선보일 예정이다. 이 솔루션은 향후 공중·육상·해상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다. 낮은 궤도로 이동 중에도 Ku 대역(12~18GHz) 위성 통신을 제공한다. 평면 패널 디자인이라 기존 안테나보다 작고 가벼우며 모듈식 접근 방식을 사용해 고객에게 유연하고 맞춤형 솔루션을 선사한다. 이를 활용하며 각 군대에서는 저궤도(LEO)와 지구궤도(GEO) 위성에 모두 액세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부대가 이동 중에도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위성 블랙스팟과 충돌을 피하게 한다. 도미닉 필팟(Dominic Philpott) 한화페이저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이 안테나의 공중형 버전이 2025년 하반기에 상업용 항공우주 고객들에게 제공될 것"이라며 "LEO, GEO에서 모두 작동하도록 안테나를
[더구루=한아름 기자] 면역치료제 최강자 애브비가 건선 치료제 '스카이리지'(성분명 리산키주맙)를 제2의 '휴미라'로 육성하기 위해 힘을 싣고 있다. 최근 스카이리지를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하기 위해 임상(COMMAND 유지 요법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유료기사코드] 애브비는 15일(현지시간) 궤양성 대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스카이리치 임상 3상(COMMAND)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임상은 스카이리치 180mg 또는 360mg 피하주사제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한 연구다. 애브비는 임상 52주 차 기준 1차 시험 목표뿐 아니라 2차 시험 목표까지 충족하는 등 성과를 냈다고 밝혔다. 내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로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애브비는 "유지요법으로 치료를 중단한 환자군과 비교해 스카이리치를 지속적으로 투약한 중등도에서 중증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들의 경우 치료 1년 후 훨씬 더 높은 비율이 임상적 관해에 도달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스카이리치 180mg 또는 360mg 피하주사제를 투여받은 환자군에선 치료 52주 차 임상적 관해 도달 비율이 40%, 38%로 보고돼 유도요법 이후 투여를 중단한 대조군
[더구루=김형수 기자] 맥도날드가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브랜드 톱5에 포함됐다. 6위를 차지했던 지난해에 비해 한 계단 올라서며 높은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았다. 진출 35주년을 맞은 한국에서 맥도날드는 매출 1조원의 QSR(Quick Service Restaurant)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글로벌 시장 조사 업체 칸타(Kantar)가 공개한 '브랜드Z(BrandZ)' 리포트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2023 가장 가치있는 브랜드 순위'에서 5위에 올랐다. 맥도날드는 텐센트를 제치며 5위 자리를 차지했다. 칸타가 발표한 올해 맥도날드 브랜드 가치는 1911억900만달러(약 244조9830억원)로 전년에 비해 2.76% 소폭 하락한 반면 지난해 해당 순위에서 5위를 차지했던 중국 IT기업 텐센트 기업가치는 34.11% 대폭 떨어지며 5위 자리가 바뀌었다. 해당 순위에서는 애플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위 자리를 지켰다. 올해 애플 기업가치는 8804억5500만달러(약 1128조9190억원)로 매겨졌다. 이어 구글(5776억8300만달러·약 740조8780억원)이 2위, 마이크로소프트(5018억5600만원·약 643조6300억원)가 3위,
[더구루=김도담 기자] 최근 이엔플러스와 각형 배터리 공급 등 협력 가능성을 타진한 미국 배터리 및 장비·부품 제조·유통 기업 에너시스가 미국 공장 건설에 나선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에너시스가 최근 프랑스 이차전지 기업 베르코어와 미국에 리튬 이온 배터리 공장 건설을 추진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최적의 공장 위치 △공장 건설을 위한 자금조달 △생산시설 운영 방식 등 리튬 이온 배터리 생산을 위한 다양한 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번 협력이 진행되면 에너시스는 고객 각각의 요구에 맞는 배터리 솔루션의 셀 크기를 최적화할 수 있다. 미국 외에 다양한 셀 공급업체에 개별적인 솔루션을 제공해 사업 영토를 크게 넓힐 수 있다. 데이비스 M. 셰퍼(David M. Shaffer) 에너시스 CEO는 "리튬 이온 전극 화학 및 고성능 제품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베르코어는 이상적인 파트너"라며 "(신규 공장은) 리튬 이온 배터리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고효율 현지 제조와 고객의 특별한 제조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시스의 미국 공장 건설이 가시화되면 이엔플러스에도 기회가 될 수 있다.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
[더구루=한아름 기자] 바이오컨텐츠·동물진단 글로벌 선도기업 바이오노트가 일본 반려동물 진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전략적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비즈니스 제휴를 통해 일본 내 시장 점유율을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20일 바이오노트에 따르면 개 갑상선자극 호르몬 진단키트 브이체크 cTSH(Vcheck cTSH)가 일본 농림수산성(MAFF) 인허가 등록을 완료했다. 브이체크 cTSH는 형광면역측정법으로 개 혈청에서 갑상선자극호르몬(TSH) 농도를 정량 측정하는 진단키트다. 2021년 MAFF로부터 인허가받은 브이체크 T4(Vcheck T4)와 함께 사용하면 현지 병원에서 15분내로 빠르고 정확하게 개 갑상선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MAFF는 해외 제품에 대한 인허가를 매우 까다롭게 관리하고 있는 만큼 당사의 제품력을 인정받았다는 게 바이오노트의 평가다. 바이오노트는 브이체크 cTSH에 이어 신제품을 지속 등록하며 일본 매출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조병기 바이오노트 대표는 “일본 동물진단 제품 시장은 진입장벽이 매우 높지만, 바이오노트의 탄탄한 제품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제품 등록에 성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기아가 유럽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중소형 전기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기아는 오는 2027년까지 주요 세그먼트를 모두 전기차로 커버한다는 목표다. 데이비드 힐버트 기아 유럽 마케팅 총괄은 19일(현지시간) 영국 자동차 전문지 '오토카'와의 인터뷰를 통해 "수년 내 소형 전기차 라인업을 확장할 것"이라며 "모든 주요 세그먼트에 전기차가 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기아는 유럽에서 전기차 생산도 계획하고 있다. 데이비드 힐버트 총괄은 "기아차는 2025년부터 유럽 판매 씨드, 스포티지를 생산하고 있는 슬로바키아 공장에서 중소형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유럽 자동차 시장은 실용성을 중요시해 중소형 A, B, C 세그먼트가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기아는 지난 3월 진행된 2023 기아 차이나 신에너지 전략 컨퍼런스에서 공개한 EV5 콘셉트를 앞세워 C세그먼트 시장을 공략한다. 또한 EV4도 개발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기아가 유럽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 가장 기대하고 있는 제품은 B세그먼트 전기차 모델 'EV3'다. EV3는 지프 어벤저, 푸조 e-2008과 직접적으로 경쟁한다. EV3는 현대차그룹이 개발하고 있는 차세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Meta)와 패션 브랜드 레이벤(Ray Ban)이 새로운 디자인의 스마트 안경을 공개했다. 메타는 실시간 인공지능(AI) 번역 기능을 정식 출시하는 등 스마트 안경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레이벤은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Skyler Shiny Chalky Gray)'라는 스마트 안경을 출시했다. 메타-레이벤은 해당 스마트 안경이 뉴트럴 톤에 포인트 컬러를 더한 캣아이 디자인을 가지고 있어 실내외 어디에서나 착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메타에 따르면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 스마트 안경은 '연한 회색의 안경 프레임'과 변색 기능을 갖춘 '트랜지션 사파이어 렌즈'가 결합됐다. 또한 1200만 화소 광각 카메라와 오픈이어 스피커 2개, 마이크 5개, 완충 시 최대 4시간 사용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됐다. 무게는 50그램(g)이다. 트랜지션 사파이어 렌즈는 실내에서는 투명하게, 실외에서는 검정색으로 변해 사용성을 높였다.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 스마트 안경은 미국과 캐나다, 영국,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핀란드, 노르웨이, 덴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팀이 생체신호로 감정을 확인할 수 있는 '패치'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해당 기술이 원격 의료 분야에서 활용도를 높여갈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피부 온도와 심박수, 혈중 산소 농도와 같은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해, 착용자의 감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티커 형태의 패치를 개발했다. 해당 연구 내용은 미국화학회 동료 심사저널인 '나노레터스(Nano Letters)'를 통해 공개됐다. 패치에는 피부 온도, 심박수, 혈중 산소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탑재됐다. 패치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데이터는 모바일 기기와 클라우드를 통해 의사에게 전달돼,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연구팀은 측정된 데이터만 전송되도록 설계돼 개인정보가 보호된다고 덧붙였다. 패치 개발은 2단계에 걸쳐 진행됐다. 1단계에서는 8명의 실험자를 모집해 △행복 △놀라움 △두려움 △슬픔 △분노 △혐오 등 6가지 감정에서 나타나는 얼굴 표정을 확인했다. 이렇게 확보된 데이터는 인공지능(AI) 모델 학습에 이용됐다. 연구팀은 AI모델이 얼굴 표정만을 보고 96.28%의 정확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