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오위즈의 신작 액션 RPG(역할수행게임) 'P의 거짓'이 게임스컴 어워드 2022의 후보에 올라 수상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게임스컴은 22일(현지시간) '게임스컴 어워드 2022'의 최종후보작들을 공개했다. 네오위즈의 P의 거짓은 플레이스테이션 기대작(모스트 원티드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게임), 최고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 최고의 롤플레잉 게임 등 3부문의 최종 후보로 선정됐다. 게임스컴 어워드 2022 후보작은 글로벌 게임 저널리스트와 제작자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선택했으며 총 19개 부문에 대해서 시상한다. 심사는 심사위원단과 게임스컴 참가 팬들의 투표로 진행되며 결과 발표는 27일(현지시간) 게임스컴 스튜디오에서 진행된다. 네오위즈는 P의 거짓을 앞세워 단독 부스를 설치하는 등 게임스컴 2022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 네오위즈는 최초로 P의 거짓을 플레이할 수 있는 데모를 공개했다. 데모버전은 2개 스테이지를 포함해 두 시간 이상의 플레이타임을 제공하는 데모버전을 직접 플레이 할 수 있다. P의 거짓은 네오위즈 산하 라운드8 스튜디오에서 개발하고 있는 소울라이크 싱글 플레이 액션 RPG다. 소울라이크 게임은 '다크소울'의 등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제약업체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일본 제약회사 다이이찌산쿄(第一三共)와 손잡고 개발한 폐암 치료제 엔허투(Enhertu·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가 미국에서 환자에게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적응증 확대에 따라 해당 의약품의 사용 범위가 넓어지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23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따르면 엔허투를 절제가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을 지니고 있으며 종양이 활성 HER2 변이를 가진 비소세포성 페암(NSCLC)을 앓는 성인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승인했다. 이전에 전신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가 투여 대상이다. 이번 결정은 객관적 반응률(OR), 반응지속기간(DoR) 등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뤄진 신속심사(Accelerated Approval) 과정을 거쳐 내려졌다. 해당 적응증에 대한 지속승인 여부는 확증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임상적 이점에 대한 설명 및 검증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FDA는 임상 2상 결과를 신속 심사의 근거로 삼았다. 중간 효능 분석 결과를 보면 엔허투의 객관적 반응률(ORR)은 57.7%로 나타났다. 완전 반응(CR)을 보인 비율은 1.9%, 부분 반응(PR)을 보인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러시아 생산 공백을 카자흐스탄 공장에서 만회하는 '플랜B'에 차질이 생겼다. 부품 수급 문제로 인기 모델 2종에 대한 생산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23일 현대차 카자흐스탄 현지 협력사 아스타나모터스(KMC Astana Motors)에 따르면 현대트랜스카자흐스탄(Hyundai Trans Kazakhstan, HTK) 공장에서 생산되던 소형 세단 액센트와 해외 전략 모델 크레타 생산이 잠정 중단됐다. 이들 모델 생산에 필요한 주요 부품이 모두 소진됐다는 설명이다. 현대차는 이들 모델 생산 재개를 위해 부품 공급망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새로운 공급 루트를 찾기로 한 것. 그동안 현대차는 러시아 대신 중국을 경유하는 루트를 토대로 HTK에 부품을 공급해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에 따라 우회 전략을 펼쳤었다. 부족한 부품과 그 정도를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HTK 관계자는 "현재 다른 나라로부터 긴급 할당량을 조달받는 방안을 찾고 있다"며 "새로운 공급망을 토대로 조만간 추가 공급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부품 공급 정상화 시기는 미지수다. 장기화될 경우 현대차 플랜B 차질이 불가피하다. 플랜B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
[더구루=최영희 기자] KB자산운용은 해외부동산펀드 누적 약정액이 3조원을 돌파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 2018년 이현승 대표가 부임한 후 해외부동산본부를 신설한지 4년만에 거둔 성과다. 설립 첫 해인 2017년 말 약정액은 5600억원이었으나 2019년 1조원, 2021년 2조원을 넘어섰고, 올해 7월 3조원을 돌파했다. 코로나19여파로 해외실사가 어려운 상황에서 달성한 성과다. 올해 주요성과를 살펴보면, 1,500억원 규모의 미국 임대주택 펀드를 시작으로 벨기에 오피스 부동산 펀드(1300억원), 영국 선순위 부동산 펀드(600억원) 등 경기 민감도가 낮고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상품위주로 약정액을 늘렸다. 특히 5월에 설정한 ‘KB 프라이빗솔루션 일반사모부동산 펀드’는 기관투자자 대상이 아닌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첫 펀드로 고객층을 개인투자자까지 넓혔다는데 의미가 있다. KB자산운용 해외부동산운용본부 홍성필 본부장은 “최근 증시에 변동성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실물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며, “투자자들이 개인연금, 퇴직연금에서 폭넓게 해외부동산펀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리테일 상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
[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1위 글로벌 에스테틱 의료기기 기업 루트로닉이 근육통 완화를 위한 병원용 의료기기 ‘아큐커브(accucurv)’를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아큐커브는 고강도의 자기장을 발생시켜 전자석의 자계를 신체 환부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근육통 완화를 유도한다. 강도 조절이 가능해 환자의 개개인에 맞는 세밀한 시술이 가능하며, 비침습 방식으로 옷을 입은 채로 시술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환자 편의도가 높다. 루트로닉 관계자는 “정식 출시를 진행하며 루트로닉이 해외를 중심으로 판매 중인 의료기기 ‘아큐핏(accufit)’과의 브랜드 라인 통일성을 강조하고자 ‘아큐커브’로 명명했다”며 “루트로닉의 빠른 매출 성장세에 아큐커브가 추가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국내외 의사들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제품 알리기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오는 28일 열리는 대한비만미용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아큐커브를 공개할 예정이며, 9월 개최되는 유럽피부과학회(EADV) 연례학술대회에서도 제품 전시를 준비하고 있다. 루트로닉은 1997년 설립된 미용 의료기기 기업으로 전 세계 80여 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17
[더구루=한아름 기자] 쿠팡에 미국 월가 큰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전년과 비교해 영업적자 규모를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이는 기염을 토했기 때문이다. 12.75달러에 6월을 마감했던 쿠팡의 주가는 22일 기준 17.06달러에 마감했다. 해외 투자 업계는 쿠팡의 목표가를 21.99달러로 제시했다. 주가 상승 기대감이 쏠리는 이유다. 23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2분기 동안 투자 포트폴리오에 쿠팡 지분을 늘렸다. 헤지펀드를 비롯한 기관 투자자들의 쿠팡 지분율은 73.49%에 달한다. 이글베이 어드바이저스 LLC(Eagle Bay Advisors LLC)는 2분기 동안 2만6000달러의 규모의 쿠팡 지분을 확보했다. 아달타 캐피털 매니지먼트 LLC(Adalta Capital Management LLC)도 쿠팡 지분을 10% 추가했다. 이 기간 동안 사들인 쿠팡 주식은 8147주로, 현재 113만9000달러(약 15억3000만원) 상당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센티바 캐피털 LP(Centiva Capital LP)는 쿠팡 주식을 2만776주를 매입했다. 현재 75만8000달러(약 10억1800만원) 상당의 쿠팡 주식을 확보했다. 캐슬뷰 파트너
[더구루=오소영 기자] '아프리카 최대 원유 생산국'인 리비아가 하루 평균 원유 생산량을 121만 배럴로 확대했다. 미국에 이어 리비아도 증산을 추진하며 유가 안정화에 속도를 낸다. 리비아 국가석유공사(NOC)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원유 생산량이 하루 평균 121만 배럴에 달했다"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일평균 생산량(약 120만 배럴)과 맞먹는 규모다. 리비아는 정전 불안과 항구 폐쇄로 올해 원유 생산량이 급감했었다. 지난 5월 샤라라와 엘필 유전은 총리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로 셧다운됐다. 이어 6월 리비아 최대 원유 수출 항구인 에스 시데르와 세 번째로 큰 라스 라누프도 멈췄다. 2위 규모의 하리가 항도 조업 중단 압박을 받으며 일일 원유 생산량은 한때 10만 배럴까지 떨어졌다. 리비아는 지난달 석유 수출을 재개하고 생산량 회복에 나섰다. NOC는 지난달 23일 "생산량이 하루 86만 배럴을 기록했다"라며 "2주 안에 120만 배럴까지 증산하겠다"고 자신했었다. 리비아가 증산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세계 원유 수급에 숨통이 트일지 주목된다. 미국은 지난 3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중단했다. 유럽연합(EU)도 올해 12월 5일까지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의 모바일 메신저 라인이 일본 수사기관에 1만 건 이상의 개인 정보를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더구루 취재 결과 라인은 지난 5년간 범죄수사를 지원하기 위해 1만1000건의 유저 개인정보를 경찰, 기타 사건 처리 기관에 제공했다. 이런 사실은 라인이 공개한 투명성 보고서를 통해 공개됐다. 라인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연도별로 제공한 자료 건수는 2017년 1909건, 2018년 2186건, 2019년 2269건, 2020년 2246건, 2021년 2393건으로 매년 증가세를 보여왔다. 수사기관에 제공된 개인정보에는 전화번호를 비롯해 이메일 주소, 대화 대상, 날짜와 시간과 같은 통신기록, 컴퓨터·휴대전화 IP 주소 등이 포함됐다. 가장 많이 정보를 제공한 범죄에는 사기, 협박, 횡령 등이 있었으며 아동피해 범죄 수사에도 많은 정보가 제공됐다. 라인은 이외에도 사건 처리에 관한 참고 사항을 제공하기 위해 5년간 416건의 정보를 제공했고 자살 방지 등 생명 보호를 위해 필요한 경우 별로도 법적 절차없이도 정보를 제공하기도 했다. 라인은 현재 일본에서 9000만 명의 유저를 확보하고 있는 국민 메신저로 최근에는 개인정보가 유출
[더구루=최영희 기자] 삼성증권은 올해 세계최초로 오픈한 미국주식 주간거래가 론칭 140영업일만인 지난 19일 누적 거래금액 2조원을 돌파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누적거래금액 1조원을 돌파한지 3개월(84영업일)만에 이뤄낸 것으로 올 들어 글로벌 주식시장이 지속적으로 침체되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의미있는 성과로 평가된다. 글로벌 금리상승과 주식시장의 변동성 확대로 투자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에서도 미국주식 주간거래와 같은 고객 관점의 편의성 혁신을 제공할 경우 주식투자 고객의 만족도 제고가 가능하다는 뜻으로 풀이되기 때문이다. 미국주식 주간거래와 관련해 특히 의미있는 부분은 최근 3개월 동안 월평균 100만달러이상 거래한 이른바 헤비트레이더 서학개미의 숫자가 서비스 오픈 초기 3개월 대비 2배이상 증가했다는 점이다. 이들 미국주식 주간거래 월평균 100만달러 이상 서학개미 투자자 중 31.4%는 국내주식도 월평균 10억이상 거래하는 동서학 복합 헤비트레이더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야간거래에 대한 부담감으로 미국주식투자에 소극적이던 국내주식 헤비트레이더들이 국내주식과 같은 시간대에 편리하게 투자할 수 있는 미국주식 주간거래의 장점 덕분에 미국주식도 활발하
[더구루=길소연 기자]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제주항공과 에어부산, 에어서울이 필리핀 운항 재개에 맞춰 필리핀 도니어 테크놀로지(Dornier Technology)에 항공기 유지 보수, 점검을 맡겼다. 필리핀 클락 국제공항에서 기체 정비, 기지 정비 등을 하는 유지보수 업체를 통해 여객 운송 증대에 대비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도니어 테크놀로지는 제주항공,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 필리핀으로 운항을 재개한 LCC 3곳으로부터 라인 유지보수 계약을 수주했다. 이번 계약은 국내 LCC가 운영하는 A320과 B737과 같은 단거리 협동체 항공기를 사용해 필리핀을 운항하고 있는 의미하며, 도니어 테크놀로지를 통해 필리핀에서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도니어 테크놀로지는 필리핀 최대 독립 항공기 정비(MRO) 조직으로 외국 항공사에게 인기가 있다. 여러 국내외 항공사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 도니어 테크놀로지는 비용 절감을 달성했으며 절감 효과를 고객에게 전가할 수 있어 매우 가격 경쟁력 있는 라인 유지보수를 서비스한다. 또 도니어 테크놀로지는 다양한 종류의 항공기를 운항하는 항공사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깊이와 폭넓은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월드타워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 6위에 이름을 올렸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있는 부르즈 할리파가 선두를 달리는 가운데 아시아에 자리한 빌딩들이 상위권을 휩쓸었다. 23일 미국 정보제공 사이트 하우스터프웍스(Howstuffworks)에 따르면 123층, 555m 규모의 롯데월드타워는 세계 마천루 순위에서 6위를 차지했다. 국내에서는 가장 높은 건물로 꼽혔다. 하우스터프웍스는 롯데월드타워가 실내 테마파크, 영화관, 야외 공원, 민속박물관 등을 지니고 있어 방문객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곳이라고 전했다. 매년 약 1300만명이 쇼핑, 식사, 서울 전망 감상 등을 목적으로 이곳을 찾는다고 전했다. 123개층의 외벽을 이루고 있는 4만3000장의 유리창이 나타내는 미적 요소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롯데는 지난 1982년 제2롯데월드사업 추진 및 운영주체로 롯데물산을 설립하며 롯데월드타워 건설의 첫발을 뗐다. 1988년 1월 서울시로부터 사업을 이행하는 데 필요한 부지 8만6000㎡를 매입했다. 이후 사업계획이 연달아 반려되며 시간이 흘러갔다. 본격적인 공사는 2011년에야 시작됐다. 당시 555m 초고층빌딩을 포함하는 롯데월드타워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과 타임폴리오가 생명공학 업체 아벨로스테라퓨틱스(Avelos Therapeutics)에 투자했다. 23일 더구루 취재 결과 아벨로스테라퓨틱스는 시리즈A 자금 조달 라운드를 통해 800만 달러(약 107억 원)를 유치했다. 이번 자금 조달 라운드에는 △미래에셋캐피탈 △미래에셋벤처투자 △타임폴리오자산운용 △SV인베스트먼트(SV Investment) △UTC인베스트먼트(UTC Investment) △쿼드인베스트먼트(Quad Investment Management) 등이 참여했다. 미래에셋과 타임폴리오는 이번 투자를 통해 암 세포를 표적으로 삼는 아벨로스테라퓨틱스의 ‘바이오마커 기반 종양 치료제’ 지원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아벨로스테라퓨틱스는 글로벌 수준의 항암 신약 개발 전문가들이 모인 생명공학 기업이다. 구성원들은 다국적 제약사 등에서 최소 6건 이상의 글로벌 기술이전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아벨로스테라퓨틱스는 항암 신약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데 합성치사(Synthetic Lethality)와 DNA 손상복구(DNA Damage Repair) 및 세포주기(Cell Cycle)를 조절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현재는 한국
[더구루=길소연 기자] 지난 40년간 원자력 발전(원전) 금지 정책을 고수해 온 덴마크가 원자력 금지령을 해제한다. 스페인과 포르투갈 전역에서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은 뒤 탈원전 정책에서 벗어나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등 차세대 원자력 기술로 새로운 에너지 정책 방향을 모색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에너지 전문매체 에너지뉴스(Energynews)에 따르면 덴마크는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로 알려진 소규모 원자로 도입을 허용하는 규제 철폐를 평가하고 있다. SMR이 지닌 잠재적인 이점을 분석해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SMR은 대형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를 축소, 주요 기기들이 하나의 모듈에 들어가 방사능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설비를 말한다. 기존 원전 인프라보다 더 작고 잠재적으로 더 안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라르스 오고르(Lars Aagaard) 덴마크 에너지·기후 장관은 최근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SMR과 같은 원전 신기술이 발전하는 모습을 보고 있다"며 "SMR의 잠재력이 있다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이 기술을 실현하는 것이 덴마크 사회에 어떤 의미를 주는지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라르스 오고르 장관은 공청회를 열고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민간 우주기업 로켓랩(Rocket Lab)이 나사(NASA·미국 우주항공국)의 은하간 매질 탐사선 사업을 수주했다. [유료기사코드] 로켓랩은 19일 나사와 아스페라(Aspera) 탐사선 발사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내년 1분기 소형 발사체 일렉트론에 아스페라 탐사선을 실어 우주로 발사할 예정이다. 아스페라 탐사선은 나사 최초 천체물리학 탐사선으로, 은하간 매질에 존재하는 고온 가스를 조사할 예정이다. 은하간 매질은 은하 내부에 있는 가스와 먼지를 포함한 물질을 말한다. 별의 탄생과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06년 창업한 로켓랩은 2017년부터 상업 발사를 해온 소형 우주 발사체 업계 강자다. 본사는 미국에, 발사대는 뉴질랜드에 있다. 2018년 이후 200여개 위성을 궤도에 배치했다. 로켓랩은 현재 중형 로켓 '뉴트론(Neutron)'을 개발 중이다. 뉴트론은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와 직접 경쟁하게 될 중형 발사체다. 약 40m 길이의 재사용 가능한 중형 발사체로 8톤의 무게를 궤도에 올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