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K-방산'의 수출 대상국으로 부상한 인도 시장에 발을 들입니다. 현지 최대 방산 전시회에 참가해 LIG넥스원의 로봇 자회사인 고스트로보틱스의 로봇개 '비전60'을 선보입니다. 고스트로보틱스는 9일(현지시간) 오는 11일부터 나흘간 개최되는 'INDO 디펜스(INDO DEFENCE EXPO & FORUM)' 내 포스코인터내셔널 부스에서 '비전60'을 전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포스코인터, 美 고스트로보틱스 손잡고 글로벌 방산시장 진출 추진
[더구루=김은비 기자]테슬라가 전기픽업 '사이버트럭'의 판매 확대를 위해 미국에서 '역대급' 할인 정책을 꺼내 들었습니다. 결국 테슬라가 기존과 다른 판촉 전략까지 꺼내들면서 사이버트럭이 상업적으로 실패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테슬라, 힘 못쓰는 사이버트럭 '역대급 할인'으로 후방지원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가 중국 대형 모터쇼에서 첫 자체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일렉시오(ELEXIO)’를 처음으로 선보이며 '사전 흥행몰이'에 나섰다. 공식 출시 전 실물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오는 하반기 공식 출시된다. 11일 현대차와 베이징자동차그룹(BAIC) 합작사 베이징현대에 따르면 지난 7일부터 오는 15일까지 중국 충칭 국제박람센터에서 열리는 '2025 제27회 충칭국제모터쇼'에서 일렉시오를 공개했다. 일렉시오는 베이징현대가 중국 현지에서 개발한 첫 순수 전기 SUV로, 한국과 글로벌 시장에는 출시되지 않는 중국 전용 모델이다. 5년간의 개발 기간을 거쳤다.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제작된 일렉시오는 중국 소비자 취향에 맞춘 독특한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1회 충전 시 중국 CLTC 기준 700km 이상 주행할 수 있으며, 27분만에 30%에서 70%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이번 박람회에서 베이징현대는 일렉시오 공개와 더불어 파격 프로모션을 전면에 내세웠다. △최대 5만 위안(약 900만 원) 현금 할인 △2년 무이자 금융 △1년 자동차 보험 무상 제공 등이다. 베이징현대가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 차세대 전동화 목적기반모빌리티(PBV) ‘PV5’가 현대차그룹과 포티투닷(42dot)이 공동 개발한 차량 통합 관제 솔루션 ‘플레오스 플릿(Pleos Fleet)’을 최초로 탑재한다. 기아는 이를 통해 글로벌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시장 공략에 본격 드라이브를 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자회사 포티투닷과 공동 개발한 차량 통합 관제 플랫폼 ‘플레오스 플릿’을 PV5에 최초로 적용한다. 플레오스 플릿은 별도 단말기 설치 없이 차량 텔레매틱스 기반으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기술이다. 차량 위치, 상태, 운전 습관, 주행 이력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다수 차량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플레오스 플릿은 물류, 운송, 렌터카, 차량 공유, 관공서 운영차량 등 B2B 수요를 겨냥해 설계된 PV5와 결합해 강력한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PV5는 올해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출시, 기아는 이를 기점으로 플레오스 플릿의 본격 상용화를 추진한다. 플레오스 플릿은 앞서 포티투닷의 자율주행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아이픽(i-Pick)’과 현대차그룹의 카헤일링 플랫폼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유럽법인 신임 수장이 10년 내 유럽 자동차 시장 판매 ‘톱5’ 진입을 목표로 내걸었다. 현재 유럽연합(EU) 내 판매 9위에 머물고 있는 현대차는 르노·토요타·BMW 등 상위 브랜드를 따라잡고 유럽 시장 주도권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자비에 마르티네(Xavier Martinet) 현대차 유럽법인장은 “우리는 대부분 로컬 브랜드들과 경쟁하고 있다”며 “토요타처럼 유럽에서 강세를 보이는 일본 브랜드도 있지만, 이들과의 격차를 좁혀 유럽 주요 플레이어가 되겠다”고 밝혔다. 특히 자비에 법인장은 현재 유럽 내 상위권 브랜드로 자리잡은 르노와 BMW, 토요타를 주요 추격 대상으로 꼽았다. 현대차는 올들어 4월까지 유럽에서 13만7865대를 판매, 브랜드 판매 순위 9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14만6878대) 대비 6.1% 하락한 수준으로, 점유율은 3.8%다. 5위인 스코다(22만5044대)와의 격차는 8만7179대에 이른다. 1~4월 누적 기준 유럽시장 판매 1위는 폭스바겐으로, 41만584대를 판매했다. 시장점유율은 11.4%를 기록했다. 2, 3위는 토요타와 BMW가 차지했다. 각각 28만7521대
[더구루=김은비 기자] 5월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일본 완성차 브랜드 4사의 희비가 갈렸다. 토요타와 혼다는 판매량이 증가한 반면, 스바루와 마쓰다는 두 자릿수 감소했다. 하이브리드차(HEV) 전략의 차이가 실적의 명암을 가른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일본자동차공업회 등에 따르면 토요타(렉서스 포함)는 지난달 미국 시장에서 24만17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0.9% 증가한 수준이다. 혼다는 13만5432대를 판매, 전년 대비 6.5% 성장했다. 반면 스바루와 마쓰다는 각각 5만2292대, 2만8937대를 판매했다. 양사는 각각 전년 동월 대비 10.4%,18.6% 하락했다. 이같은 실적 차이를 만든 배경에는 하이브리드차 전략의 유무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토요타와 혼다는 하이브리드 중심의 전동화 라인업을 조기에 확장하며 미국 시장 내 수요를 흡수한 반면, 스바루와 마쓰다는 하이브리드 모델 비중이 낮았고 주력 모델 재고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지난 1분기 미국 경량차 시장에서 하이브리드차는 전체 판매의 12%를 차지하며 전기차(8%)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2%)를 제치고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하이브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멕시코 공장에서 중국산 듀얼 계기판을 공급받으며 비용 효율화에 나섰다. 미국 관세 리스크와 생산비용 증가에 대비해 중국 부품사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활용하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전장부품 업체 천우위전자(天宥伟电子)는 현대차그룹 멕시코 공장에 듀얼 스크린 클러스터를 공급하고 있다. 천우위전자는 듀얼 스크린 클러스터를 비롯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전장 부품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기업이다. 현대자동차·기아를 포함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를 고객사로 두고 있으며 멕시코 현지 공장을 통해 북미 완성차 업체(OEM)에 대한 공급을 확대 중이다. 기아는 중국 업체 기술력과 단가 경쟁력을 활용하는 동시에 미국 관세 및 정치적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천우위전자를 공급처로 선정한 것으로 분석된다. 기아는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모든 수입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멕시코 누에보레온주 페스케리아 공장에 대한 투자를 축소하는 한편,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모양새다. 기아가 올해 멕시코 공장에 대해 밝힌 투자 계획 금액은 2621억원으로 전년 대비 26.6% 줄었다. 기아가 전년도 투자금액보다 낮춰 잡은 것은 지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내 배터리 공급망 구축을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일론 머스크 CEO는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지정학적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매우 어렵지만 공급망을 현지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머스크 CEO는 정부 효율성부(DOGE) 장관으로 활동하면서도 테슬라 공급망의 미국 현지화에 대해서 강조해왔습니다. 테슬라는 중국산 배터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 지정학적 불확실성을 해소한다는 목표입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일론 머스크 "공급망 현지화 중요"…테슬라, 지정학 리스크 탈출 '안간힘’
[더구루=김은비 기자] 콜롬비아 해군 대표단이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을 만났습니다. 해군 참모총장인 후안 리까르도 로소 오브레곤 대장(Juan Ricardo Rozo Obregón)은 지난달 28일부터 3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 2025'를 찾았습니다.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부스를 둘러보고 함정 기술을 살폈습니다. 이어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와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시찰했습니다. 페루에 이어 콜롬비아도 한국에 협력을 구애하며 'K-조선'이 중남미 해군 전력 현대화의 핵심 파트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콜롬비아 해군,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전격 방문…군함·잠수함 현대화 사업 논의
[더구루=김은비 기자] 이재명 정부는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세금보단 공급 확대에 주력할 전망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정책 공약집에 따르면, 부동산 정책은 세금 규제를 통한 가격 억제보다 공급 확대에 집중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다만 침체된 지방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세금으로 집값 안 잡을 것" 이재명 정부, 공급 확대 주력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일본 시장에서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5월 판매량이 전년 대비 4배 이상 급증했다.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를 앞세운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9일 일본자동차수입조합(JAIA)에 따르면 현대모빌리티재팬(Hyundai Mobility Japan, HMJ)은 지난달 일본 시장에서 총 94대를 판매했다. 전년 동월(23대) 대비 408.7% 급증한 수준이다. 현대차 1~5월 누적 판매량은 308대로, 점유율은 0.22%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317대) 대비 12.8% 감소했으나 4월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월 41대에 이어 2월과 3월 각각 40대와 51대에 그쳤던 판매량은 지난 4월 84대를 기록하면서 반등했다. 현대차 판매량은 지난 4월 현지에 선보인 인스터가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인스터는 현지 도시형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크기와 가격, 긴 주행거리로 일본 소비자들의 수요를 정확히 겨냥했다는 평가다. 실제로 인스터 출시 가격은 284만9000엔(2600만 원)로, 이는 경쟁 모델인 닛산 리프(408만 엔), BYD 돌핀(363만 엔)보다 저렴한 수준이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신규 광고 캠페인을 내세워 미국 하이브리드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SUV 싼타페 하이브리드와 투싼 하이브리드를 전면에 내세운 신규 광고를 선보였다. 현대차 미국법인(HMA)은 9일(현지시간) 새로운 하이브리드 광고 캠페인 ‘두 세계의 완벽한 조화(Best of Both Worlds)’를 론칭했다고 밝혔다. 싼타페 하이브리드와 투싼 하이브리드가 메인 모델로, 현대차는 '연비와 성능, 디자인과 기술 모두를 포기하지 않아도 된다'는 메시지를 강조했다. 캠페인 영상은 ‘카우보이(Cowboy)’와 ‘모지(Mosey)’ 총 2편으로 각각 49초, 51초 형식으로 제작됐다. 프랑스 파리 출신의 카우보이 ‘장뤽(Jean-Luc)’이 미국 텍사스의 실제 도시인 파리(Paris, Texas)로 이주해 지역 주민들과 어울리는 이야기를 고전 서부극 스타일로 재치 있게 풀어냈다. 장뤽이 하이브리드 차량과 함께 독특한 감성과 카우보이 특유의 매력을 발산, 지역 사회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과정을 유쾌하게 담아냈다. 이 캠페인은 미국프로농구(NBA) 파이널 2차전 중 첫 공개될 예정이다. 현재 유튜브(YouTube)를 중심으로 틱톡(TikTok)과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IE)로부터 '호라이즌' 지식재산권(IP) 표절로 소송을 당한 텐센트가 논란이 된 게임의 핵심 홍보 자료를 조용히 수정·삭제했다. 소송 제기 직후 이뤄진 조치가 향후 재판에서 텐센트에 어떻게 작용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Light of Motiram)'의 스팀 페이지의 주요 이미지와 트레일러, 게임 설명 등을 대거 수정했다. 텐센트가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주요 이미지 등을 수정한 배경에는 SIE와의 소송이 있다. SIE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텐센트의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이 자사의 대표작인 호라이즌 시리즈를 표절했다며 저작권·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고소장에 따르면 SIE는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캐릭터, 기계 생명체 디자인, 아트 스타일, 세계관 등 많은 부분이 호라이즌과 유사하다며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설명했다. SIE는 거대 로봇이 지배하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 붉은 머리의 여성 주인공, 귀에 착용하는 '포커스'와 유사한 장치 등 구체적인 유사점을 증거로 제시했다. 또한 텐센트가 호라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오픈AI의 최신 인공지능(AI) 모델 'GPT-5' 출시를 기점으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 샘 알트만 오픈AI CEO 간의 설전이 벌어졌다. AI패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는 기업 수장 간의 설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CEO는 최근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오픈AI가 MS를 산 채로 잡아먹게 될 것"이라는 경고성 글을 올렸다. 이를 두고 MS가 막대한 투자를 통해 키운 오픈AI에게 결국 주도권을 빼앗길 것이라는 의미가 담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론 머스크의 글은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GPT-5를 도입했다고 발표한 내용을 공유하며 작성됐다. 나델라 CEO는 8일(현지시간) X를 통해 "GPT-5를 MS 365 코파일럿, 깃허브 코파일럿, 애저 AI 등 자사 플랫폼 전반에 탑재했다"며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금까지 가장 유능한 모델을 선보이게 됐다. 놀라운 발전 속도"라고 소개했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일론 머스크의 조롱 섞인 반응에 대해 여유로운 반응을 보였다. 나델라 CEO는 "사람들은 50년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