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 인도법인이 마케팅 총 책임자를 '토요타 출신'으로 새롭게 선임했다. 토요타에 밀리며 '만년 6위'에 머무르던 기아는 새로운 전동화 전략과 마케팅 조직 재정비를 통해 '톱5'로 올라선다는 계획이다. 15일 기아 인도법인에 따르면 아툴 수드(Atul Sood)를 신임 영업·마케팅 총괄(SVP)에 공식 임명했다. 수드 총괄은 30년 가까운 자동차 경험을 지닌 업계 베테랑이다. 1998년 힌두스탄모터스에서 커리어를 시작한 그는, 이후 14년 넘게 토요타의 인도 합작법인인 토요타 키를로스카 모터스에서 영업·서비스·하이브리드 전략 등을 총괄하며 부사장까지 역임했다. 지난 2010~2016년에는 토요타 아시아태평양본부에서 동남아 시장의 제품·딜러·가격 전략을 맡으며 글로벌 감각도 뽐냈다. 이번 수장 교체는 최근 판매 부진을 겪고 있는 기아가 실적 회복에 속도를 내고, 향후 2년간 순차적으로 출시될 신차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기아는 지난달 인도 자동차 시장에서 2만616대를 판매, 토요타에 밀리며 6위에 머무르고 있다. 같은 기간 토요타는 2만6453대를 판매했다. 기아는 현재 인도 전략형 전기 다목적차량(MPV) ‘카렌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제네시스가 중국 사업에 대해 대대적인 수술에 나선다. 현지 거점을 상하이에서 베이징으로 옮기고 현지 수장 교체도 단행한다. 중장기적으로 현지 생산과 전동화 모델 확대에 나선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제네시스모터차이나(GMC)는 중국 본사를 상하이에서 베이징으로 이전한다. 현지 경영진도 교체한다. 지난해 8월 취임한 주지앙 제네시스 중국법인장은 지난달 말 사임했으며, 현지인 채용 절차가 진행중이다. 중국 법인장 교체는 최근 3년 동안 4차례 진행되는 셈이다. 제네시스는 중장기적으로 베이징현대 유휴 생산능력을 활용한 현지 생산 체제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내년 하이브리드 SUV GV80 생산을 시작으로 현지에서 전동화 모델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제네시스 중국 사업에 수술대에 오른 배경은 판매 부진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기준 제네시스 중국 내 누적 적자는 30억 위안(약 5700억 원)에 달한다. 지난 2021년 중국시장에 재진출한 제네시스는 그해 367대를 판매한데 이어 2022년과 2023년 각각 1457대와 1558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판매량은 1328대에 그쳤다. 제네시스 지난 4년 누적 판매고는 메르세데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토요타를 제치고 상반기 이스라엘 자동차 시장에서 정상에 올랐다. 기아는 주춤했으나 3위를 수성했다. 14일 이스라엘 수입자동차협회(Israel Vehicle Importers Association)에 따르면 현대차는 상반기 이스라엘에서 2만63대를 판매, 브랜드 판매 순위 1위에 올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6.2% 증가한 수치다. 점유율은 12.6%를 기록했다. 기아는 1만3543대(점유율 8.5%)를 판매, 3위를 수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16.3% 감소한 수치다. 토요타는 1만9980대(점유율 12.5%)를 판매, 2위로 밀렸다. 현대차와 토요타간 점유율 격차는 0.1% 포인트(83대)에 불과했다. 기아에 이어 스코다가 1만1955대(7.5%)를 판매, 4위를 기록했다. 이어 △체리(1만925대·6.8%) △체리 서브 브랜드 재쿠(Jaecoo·8459대·5.3%) △BYD(5577대·3.5%) △MG(5343대·3.3%) △닛산(4890대·3.1%) △세아트(4448대·2.8%) 등이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현대차 성적은 코나와 엘란트라가 견인했다. 코나는 상반기 7624대 판매, 베스트셀링카 2위를 차지했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전기차 아이오닉 5가 북극해를 향한 장거리 주행 도전에 성공했다. 업계는 이번 프로젝트가 전기차 주행 한계를 넘어서는 사례로 입증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13일 현대차 캐나다법인에 따르면 현대차 아이오닉 5 오너 패트릭 나도(Patrick Nadeau)는 직접 2025년형 아이오닉 5로 캐나다 마컴 본사에서 출발해 북극해에 위치한 턱토야크턱까지 도달한 뒤 무사히 복귀했다. 이번 주행은 지난 4월 24일 시작돼 약 두 달간 진행됐으며, 총 주행거리는 1만9743km에 달했다. 주행 중 평균 에너지 소비량은 18.9kWh/100km였고, 총 87회의 충전이 이뤄졌다. 평균 충전 시간은 42분이었으며, 총 충전 비용은 1403 캐나다달러(약 150만 원) 수준이었다. 동일 구간을 일반 SUV(10L/100km 기준)로 주행할 경우 연료비만 약 300만 원 이상 소요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면 경제성도 입증됐다는 평가다. 특히 아이오닉 5는 이 여정 동안 별도의 개조 없이 순정 상태로 운행했다는 점에서 더욱 높이 평가받고 있다. 차량에는 촬영 장비, 캠핑용품, 식량 등 약 400파운드(약 181kg)의 장비가 실렸다. 패트릭 나도는 화
[더구루=김은비 기자] 슬레이트 오토가 야심차게 내세웠던 ‘2만 달러 미만 전기 픽업트럭’이 사실상 무산됐다. 트럼프 행정부가 통과시킨 새 예산안으로 인해 핵심이었던 연방 세금 공제 혜택이 폐지되면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슬레이트 오토는 최근 공식 홈페이지에서 ‘세금 공제 후 2만 달러 미만’이라는 가격 문구를 삭제하고, “트럭의 시작가는 이제 2만 달러 중반대가 될 것”이라고 수정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Big Beautiful Bill Act, OBBBA)’이 전기차 보조금 항목을 전면 폐지한 데 따른 조치다. 슬레이트 오토는 제프 베이조스가 투자한 전기차 스타트업으로, 전례 없는 ‘초저가 전기 픽업트럭’ 콘셉트로 시장의 관심을 끌었다. 단순한 기능만 제공하는 ‘미니멀 베이스 모델’을 앞세워 가격을 대폭 낮췄다. 기본 사양은 회색 단색 바디에 2인승, 단순한 게이지 클러스터, 플랫베드만을 갖췄고, 창문, 오디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컵홀더 등은 모두 유료 옵션이다. 슬레이트 오토의 이러한 파격적인 전략은 공개 후 단 2주 만에 예약 건수 10만 건을 넘기며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러나 핵심 경쟁력이던 ‘세금 공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가 미국 캘리포니아에 완전 태양광 충전소를 전격 오픈했다. 이 충전소는 미국 전력망과 연결하지 않고도 자급이 가능한 최초의 ‘오프그리드(Off-grid)’ 방식으로,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트 힐스(Lost Hills)에 완전 태양광 기반 전력 충전소 '프로젝트 오아시스(Project Oasis)'를 공식 개장했다. 현재 총 168기의 전기차 충전기 중 현재 84기가 운영 중이다. 프로젝트 오아시스는 테슬라가 최초로 선보이는 전력망에 의존하지 않는 슈퍼차저 메가사이트다. 주차장 전체 캐노피에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돼 있으며 인근에는 11메가와트(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가 별도로 조성돼 있다. 생성된 전력은 총 10기의 대형 리튬이온 배터리인 메가 팩(Megapack)을 통해 총 39MWh 규모로 저장된다. 이는 하루 수백 회 충전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프로젝트 오아시스는 미국 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장의 '모델 케이스'로 평가받고 있다. 공사 시작 후 단 8개월 만에 절반인 84기를 오픈한 것은 업계 기준으로도 매우 빠른 편이라는 평가다. 충전소 인허가 및 구축에는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가 휴머노이드 로봇인 '옵티머스'를 공장에 투입하면 상당한 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판매량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테슬라가 옵티머스 투입으로 반전의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테슬라, 직원 10% 옵티머스 로봇 대체시 25억 달러 절감“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메모리반도체 기업 마이크론(Micron)이 엔비디아(NVIDIA) 지포스 RTX 50시리즈용 GDDR7(GRAPHICS DOUBLE DATA RATE 7) 메모리 공급을 시작했습니다. 마이크론이 엔비디아에 고대역폭메모리(HBM)에 이어 최신 D램을 공급하면서,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 지형도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GDDR7은 그래픽처리장치(GPU)용으로 개발된 D램 메모리를 말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엔비디아, GDDR7 공급업체에 마이크론 추가...삼성전자·SK하이닉스 경쟁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 소형 전기 SUV ‘EV2’가 알프스에서 고지대 주행 테스트 중 포착됐다. EV2 유럽 출시에 대한 가늠자로 업계는 평가하고 있다. 12일 전기차 매체 일렉트릭(Electrek) 등에 따르면 기아 EV2로 추정되는 프로토타입 차량이 최근 알프스 산맥 일대에서 테스트 주행 중인 모습이 포착됐다. 이 차량은 위장막을 둘러 전면과 후면을 두껍게 감쌌지만 전체적인 차체 실루엣과 디테일이 일부 드러났다. 포착된 차량은 독일 번호판과 테스트카(Testfahrt) 스티커를 부착했으며, 특히 전면 범퍼부터 C필러까지 이어지는 측면 라인은 기존 EV3 및 EV5와 유사한 기아 전기 SUV 패밀리룩을 유지했다. EV2는 대형 전기 SUV EV9에서 영감을 받은 박스형 디자인과 ‘스타맵(Star Map)’ LED 시그니처를 적용한 소형 전기 SUV다. 전장 4000mm 수준의 소형차로, EV3에 적용된 400볼트 E-GMP를 기반으로 리튬인산철(LFP)과 니켈·망간·코발트(NMC) 배터리를 모두 지원한다. 파워트레인은 전륜 구동 싱글모터로 구성, 도심 주행에 초점을 맞췄다. 판매 가격은 약 2만5000만 유로(4200만 원) 수준으로 책정될 예정이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플로리다 주에 위치한 병원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 장치 이식 수술을 진행했습니다. 뉴럴링크는 임상 환자를 꾸준히 늘려가며,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뉴럴링크, 美 플로리다 병원서 척추 손상 환자 뇌에 칩 이식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이 영국에서 '가장 주행 재미가 넘치는 차(Best Fun Car)'로 뽑혔다. 기아 EV9도 최고의 7인승 자동차로 나란히 선정됐다. 영국 자동차 전문 매체 ‘파커스(Parkers)’은 현대차 아이오닉 5 N을 ‘2025 파커스 신차 어워드’에서 ‘베스트 펀카(Best Fun Car)’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파커스 신차 어워드는 전문 평가단이 운전의 즐거움을 주는 차를 엄선, 시상한다. 아이오닉 5 N은 전기차임에도 내연기관 핫해치를 뛰어넘는 주행 재미를 제공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키스 애덤스 파커스 에디터는 “아이오닉 5 N은 지금껏 본 전기차 기술 중 가장 큰 도약이며, 전통적인 운전 마니아조차 사고 싶어할 유일한 EV”라고 극찬했다. 아이오닉 5 N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 ‘N’의 기술력이 더해진 모델이다. 최고 출력은 650마력(PS, N 그린 부스트 작동 시), 0~100㎞/h 가속 시 제로백은 3.4초에 불과하다. 최고 속도는 259km/h에 이른다. 특히 아이오닉 5 N은 성능 뿐만 아니라 감성 주행 요소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미국 미니밴 시장 지형을 흔들고 있다. 주력 모델인 카니발은 상반기(1~6월) 전년 대비 57% 증가한 판매고를 올리며 미니밴 '톱4'에 올랐다. 카니발은 제품·가격 경쟁력을 내세워 현지 미니밴 '빅3'를 위협하고 있다. 11일 글로벌 자동차 통계사이트 굿카베드카(GoodCarBadCar)에 따르면 기아 카니발은 상반기 미국 시장에서 총 3만3152대가 판매, 미니밴 판매 순위 4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7.0% 수직 상승한 수치다. 점유율은 15.4%로 집계됐다. 1위는 5만7756대(26.9%)를 판매한 크라이슬러 퍼시피카·보이저가 차지했다. 다만 전년 동기 대비 18.5% 하락했다. 이어 도요타 시에나와 혼다 오디세이가 각각 5만2762대(24.6%)와 5만33대(23.4%)를 판매, '톱3'에 이름을 올렸다. 기아 카니발 호실적은 새로운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 자유로운 좌석 구정, 가격 경쟁력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특히 미니밴 단점으로 꼽혔던 불편한 승차감도 대폭 개선되면서 패밀리 고객 인기를 끌고 있다. 여기에 디젤 모델 중심에서 벗어나 정숙한 가솔린과 하이브리드 모델로 라인업을 다양화한 것도 한 몫했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이스라엘 남부 브엘세바(beersheba)에 위치한 연구개발(R&D) 센터를 확장한다. 엔비디아는 해당 센터를 이스라엘 남부 지역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허브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이꽃들 기자] 글로벌 담배 기업 JTI(Japan Tobacco International)가 차세대 궐련형 전자담배 '플룸 오라(Ploom AURA)'를 루마니아에 정식 출시하며 유럽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이를 위해 37억 유로(한화 약 5조 4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가열담배 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