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칠레와 사우디아라비아가 구리·리튬 공동 투자 협상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번 협상은 칠레엔 '오일머니' 사우디의 막대한 자본을 통한 광물 개발 기회를, 사우디엔 안정적인 원자재 공급망 확보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 될 전망이다. 칠레 국영 광산 기업 코델코(Codelco)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코델코와 사우디가 구리 부문 공동 투자 관련 초기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상은 지난해 7월 양국 간 광물 회동 이후 후속 조치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칠레를 방문한 반다르 빈 이브라힘 알코라예프 사우디 산업광물자원부 장관은 "사우디는 칠레에서 리튬을 수입해 국내에서 가공한 후 배터리를 제조·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본보 2024년 7월 30일 참고 '오일머니' 사우디, 코델코와 칠레 리튬 개발 논의> 따라서 이번 협력은 사우디가 자국 내 가공을 위해 칠레산 리튬을 수입하려는 계획과 맞물려 리튬 분야로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막시모 파체코 코델코 회장은 칠레 연례 미래 광물 포럼에서 로이터와의 인터뷰를 통해 "우리는 공동 투자 기회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코델코와 사우디 간 논의는
[더구루=진유진 기자] 호주 최대 철광석 수출 허브인 포트 헤드랜드(Port Hedland) 항구가 사이클론 발생 위협으로 폐쇄됐다. 이번 사이클론으로 인해 철광석 공급 차질 우려가 커지면서 가격 상승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서호주 필바라 연안에 위치한 포트 헤들랜드항은 지난 18일(현지시간) 열대성 저기압 발달로 폐쇄 조치됐다. 운영사인 필바라 항만청은 이미 많은 비가 쏟아진 필바라 연안에서 두 개의 열대 저기압이 사이클론으로 합쳐질 가능성이 커지자 모든 벌크선에 항구를 떠나도록 명령했다. 현재 필수 인력만 현장에 남아있는 상태다. 호주 기상청은 지난 18일 사이클론 경보를 발표하며, 19일까지 사이클론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사이클론은 포트 헤들랜드항뿐만 아니라 제2 철광석 수출항이 위치한 댐피어 지역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우드사이드 에너지 그룹이 운영하는 대규모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가 있는 카라타 마을에도 경고가 내려졌다. 호주는 전 세계 철광석 공급의 60%를 차지하며, 이 중 90%가 필바라 연안 항구들을 통해 한국과 중국 등에 수출된다. 포트 헤들랜드항은 세계 최대 광산 기업인 BHP 그룹과 리오
[더구루=진유진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제2의 스페이스X'로 불리는 민간 우주기업 스토크스페이스(Stoke Space)에 투자했습니다. 스토크스페이스는 2억6000만 달러(약 3800억원) 규모 시리즈C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16일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빌 게이츠, '제2의 스페이스X' 스토크스페이스 투자
[더구루=진유진 기자] 아르헨티나가 글로벌 리튬 시장에서 새로운 공급망 파트너로 주목받고 있다. 아르헨티나는 자국 내 풍부한 자원과 경제 개방 정책을 앞세워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19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아르헨티나는 남미 '리튬 삼각지대' 중심으로, 살타(Salta)와 후후이(Jujuy), 카타마르카(Catamarca) 지역에 풍부한 리튬 염호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50개 이상의 리튬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포스코를 비롯한 한국 기업들도 리튬 확보를 위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최근 아르헨티나 살타 지역에 수산화리튬 생산 공장을 가동하며 한국 기업의 리튬 확보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 등 주요 배터리 기업들은 아르헨티나와의 협력 가능성을 검토 중이다. 한국은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료인 수산화리튬의 약 8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미중 갈등 심화와 중국의 자원 무기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아르헨티나는 한국 기업에 매력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
[더구루=진유진 기자]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엑시노스' 차세대 제품 생산을 대만 TSMC에 맡기려던 시도가 무산됐습니다. 16일 IT 팁스터 '주칸로스레베'에 따르면 그는 전날 엑스(X)에 "TSMC가 거래를 거부했다"며 "TSMC가 만든 엑시노스는 없을 것"이라고 올렸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TSMC, 삼성 엑시노스 칩 생산 제안 거절...기술 유출 우려도 영향
[더구루=진유진 기자] 건설업계가 국내 부동산 경기 침체와 주택사업 부진 등을 극복하기 위해 해외·비주택 시장 개척에 나섰다. 정부는 올해 해외건설 수주 목표를 500억 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11년 만에 대규모 실적 반등을 기대하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건설사들은 국내 주택사업에선 선별 수주 전략, 해외와 비주택 사업에선 공격적인 시장 확대 전략을 펼치며 불황 극복에 나서고 있다. 이는 내수 부진과 환율 급등, 대출 규제 등의 악재 속에서 신동아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된 데 따른 행보로 해석된다. 지난해 국내 건설사의 해외건설 수주 실적은 371억1000만 달러(약 54조원)로, 해외 사업 누적 수주액은 1조 달러(약 1462조원)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해외건설 수주 목표를 지난해보다 35% 증가한 500억 달러(약 73조원)로 설정했다. 지난 2010년 정점을 찍은 후 하락세를 이어온 해외건설 시장 반등을 목표로 한다. 한국수력원자력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체코 원전 사업과 현대건설이 추진 중인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원전 EPC(설계·조달·시공) 프로젝트가 정부의 수주 목표치 상향 배경으로 꼽힌다. 특히
[더구루=진유진 기자] 엔비디아가 대만 디지털 트윈 스타트업 MetAI에 첫 번째 투자를 단행하며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윈 기술 혁신에 나섰습니다. 엔비디아는 15일(현지시간) MetAI의 400만 달러(약 58억원) 규모 시드 펀딩 라운드에 참여했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엔비디아, 대만 디지털 트윈 스타트업 투자…AI 혁신 가속화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이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를 위해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출범했다. 핵심광물을 둘러싼 미중 무역 긴장이 심화하는 가운데 중국 의존도 축소를 위한 전략적 조치로 풀이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수출입은행(EXIM)은 지난 9일(현지시간) 자국 수입업체의 핵심광물 수급을 원활히 하기 위한 '공급망 회복력 이니셔티브(SCRI)'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이니셔티브는 희토류 등 핵심광물의 해외 생산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SCRI는 미국 내 제조업에 필요한 핵심광물과 희토류 원소의 안정적인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됐다. 특히 희토류를 포함한 핵심광물이 미국 내 제품 생산에 사용되도록 하는 구매계약(Offtake Contract)을 체결한 프로젝트에만 금융 지원이 이뤄진다. 미국은 글로벌 핵심광물 공급망에서 차지하는 중국의 높은 비중을 견제하려는 정책 기조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기업이 소유하거나 중국 기술에 의존하는 프로젝트는 이니셔티브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의 지배력을 축소하고, 자국 중심의 독립적 공급 체계를 구축하려는 미국의 의도가 반영된 조치다. 업계에서는 SCRI 출
[더구루=진유진 기자] 호주-독일 양자 컴퓨팅 스타트업 퀄텀 브릴리언스(Quantum Brilliance)가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상온 양자 기술 선구자로서 글로벌 양자 컴퓨팅 시장에서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퀀텀 브릴리언스는 최근 2000만 달러(약 290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펀딩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이번 라운드에는 △미국 인큐텔(IQT) △일본 인터밸리 벤처스 △호주 딥테크 펀드 메인 시퀀스 △호주 국부 펀드 국가재건기금공사(NRFC) 등이 참여했다. 퀀텀 브릴리언스는 조달한 자금을 △다이아몬드 공장 설립 △양자 센서 기술 프로토타입 공동 개발 △지적 재산 확장 △주요 반도체 파트너와의 협력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기존 양자 컴퓨터는 큐비트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극저온 냉각 장치가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기존 양자 기술과 달리 퀀텀 브릴리언스가 주력하는 다이아몬드 기반 양자 기술은 합성 다이아몬드를 이용해 상온에서 작동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크기가 작고 가벼우며 고가의 냉각 장치가 필요 없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극한 환경에서도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컴퓨터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이 지난해 석탄 수입량에서 10년 내 최대치를 기록하며 세계 석탄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했다. 세계 최대 석탄 소비국인 중국은 인도와의 수입량 격차를 지난 2013년 이후 최대로 확대하며 석탄 가격 하락 억제에도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석탄 수입량은 5억4270만 톤(t)으로, 2위 수입국인 인도의 2억5520만t을 두 배 이상 앞질렀다. 이는 중국이 평균 26%를 차지했던 팬데믹 이전 4년간 좁혀졌던 격차가 다시 확대된 수치다. 중국과 인도의 석탄 수입량 변화는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인도의 유연탄 수입량은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약 3% 감소한 반면, 중국은 같은 기간 13% 증가하며 격차를 더 벌렸다. 인도의 점결탄 수입은 지난해 4.7% 증가했으나, 중국은 제철용 연료 수요 증가로 인해 같은 기간 23% 증가했다. 이는 중국 주요 석탄 생산지인 산시성에서 발생한 광산 사고 등 생산 차질로 인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시장 조사 업체 LSEG의 토비 하살 시장 리서치 책임자는 "중국의 석탄 구매량이 전 세계 수입량의 41%를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국내
[더구루=진유진 기자] 다국적 광산 기업 리오 틴토(Rio Tinto)와 스위스 광산 기업 글렌코어(Glencore)가 10년 만에 합병 논의를 재개했다. 이번 거래가 성사될 경우 세계 광산업 판도가 크게 바뀔 것으로 예상되며,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리오 틴토와 글렌코어는 최근 합병을 위한 초기 협상을 진행했다. 이번 거래가 성사된다면 광산업계 사상 최대 규모의 빅딜이 탄생할 전망이다. 다만, 논의가 여전히 진행 중인지는 확실치 않은 상황이다. 리오 틴토는 세계 2위 광산 업체로, 16일 기준 시가총액이 1030억 달러(약 150조원)에 달한다. 글렌코어는 500억 달러(약 73조원) 규모로 평가받고 있다. 양사 간 합병이 성사되면 총 1260억 달러(약 184조원) 규모의 원자재 공룡 기업이 탄생하며 현재 업계 1위인 BHP 그룹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리오 틴토와 글렌코어의 합병은 거대 구리 광산 지분과 세계 최대 원자재 트레이딩 네트워크 확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할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리오 틴토가 10년 넘게 관심을 가져온 칠레 콜라후아시 광산의 지분 확보는 이번 합병 핵심 동력 중 하나다. 글렌코어는 광산업계에
[더구루=진유진 기자] 사우디아라비아가 세계 최대 석유 기업 아람코(Aramco)와 국영 광업 기업 마덴(Ma’aden)의 합작회사(JV)를 설립하며 글로벌 리튬 공급망을 겨냥한 행보를 본격화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전기차(EV)와 전자기기 핵심 원료인 리튬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아람코와 마덴은 최근 "이번 파트너십은 합작회사를 통해 리튬 고농도 매장지에서 자원을 추출하는 동시에 비용 효율적인 직접추출기술(DLE)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상업용 리튬 생산은 2027년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사우디아라비아 '비전 2030'과 맞닿아 있다. 사우디는 비전 2030을 통해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광업 부문을 강화해 국내총생산(GDP) 기여도를 170억 달러(약 24조7660억원)에서 오는 2030년까지 640억 달러(약 93조2350억원)로 늘릴 계획이다. 현재 인산염·구리·금·보크사이트 등 미개발 광물 자원 가치가 2조5000억 달러(약 3640조원)로 추산되는데 이를 적극 개발하겠다는 목표다. 사우디는 이번 아람코-마덴 합작사를 통해 자국 광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며, 글로벌 리튬 공급망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 알리바바, 시놉시스가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네트워킹 표준 'NV링크(NVLink)'에 대항마인 'UA링크(Ultra Accelerator Link, UALink)' 컨소시엄 이사회에 진입했다. 엔비디아의 AI 하드웨어 부문 지배력에 대응하는 빅테크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UA링크 컨소시엄 프로모터 그룹에 따르면 애플, 알리바바, 시놉시스가 신규 참여한 UA링크 컨소시엄은 지난해 5월 엔비디아 NV링크 독주체제에 맞서겠다며 AMD, 휴렛패커드 엔터프라이즈, 브로드컴, 시스코, 구글, 인텔,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모여 설립했다. 10월에는 컨소시엄 법인화를 완료했으며 추가 회원 모집도 시작했다. 현재는 65개가 넘는 회사가 참여하고 있다. 엔비디아 NV링크는 2016년 공개된 기술로 다수의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하나의 장치처럼 연결할 수 있는 유선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NV링크를 활용하면 AI칩들 간의 데이터 전송이 빠르게 이뤄지면서 서버 자체가 하나의 AI칩처럼 작동하게된다. 이에 데이터센터 구축의 핵심 기술로 뽑히고 있으며 AMD, 브로드컴 등이 엔비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정부가 일본 전투기에 사거리 1000km의 공대지 순항미사일(JASSM-ER) 추가 탑재를 허가했다. 일본은 JASSM-ER 확보로 적 지상 기지 공격능력이 향상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DSCA)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일본 항공자위대(JASDF)의 F-15와 F-35A/B 전투기에 장착하기 위해 추가 JASSM-ER 순항 미사일의 대외군사판매(FMS)를 승인했다. 3900만 달러(약 568억원) 규모의 패키지에는 16기의 록히드마틴 AGM-158B/B-2 JASSM-ER 외에 더미 공중 훈련 미사일(DATM)과 전파방해 방지용 위성항법장치(GPS), 탄약, 예비 부품 등 다양한 기타 지원 장비·서비스가 포함된다. 일본은 지난 2023년에도 1억 400만 달러(약 1370억원) 규모의 JASSM-ER 패키지를 구입한 바 있다. 당시 패키지에는 최대 50발의 미사일과 함께 전파방해 방지용 GPS, 훈련용 미사일, 예비 부품, 기술 지원 등이 포함됐었다. DSCA는 "이번에 제안된 판매는 일본 항공자위대 전투기(보잉 F-15J와 록히드마틴 F-35A/B)에 대한 첨단 장거리 공격 시스템을 통해 스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