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플래스크 자회사 팬덤코리아가 글로벌 프로듀서, 뮤지션들이 참여한 고(故)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 헌정 프로젝트에 힘을 보탠다. 16일 팬덤코리아는 글로벌 아티스트들이 참여한 마이클 잭슨의 미완성 앨범 프로젝트에서 국내외 유통을 담당한다고 밝혔다. 팬덤코리아의 큐레이션팀인 팬덤스튜디오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순차적으로 라인업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앨범은 마이클 잭슨이 작고 전 마지막으로 작업하던 곡들을 완성하는 프로젝트다. 마이클 잭슨의 친구이자 그라우스 로지 스튜디오(Grouse Lodge Studio)의 소유주인 패디 더닝(Paddy Dunning)이 팬데믹 회복으로 모두가 지쳐있는 시기에 긍정적인 힘을 제공하고자 앨범 발매를 결정했다. 그라우스 로지 스튜디오는 마이클 잭슨을 비롯해 세계적인 록 밴드 알이엠(R.E.M.), 뮤즈(Muse), 스노우 패트롤(Snow Patrol)과 싱어송라이터 시네이드 오코너(Sinead O'Connor) 등 다양한 음악가들의 앨범을 작업한 곳으로 유명하다. 마이클 잭슨도 이곳에서 미완성 곡들을 작업했었다. 팬덤코리아 관계자는 “마이클 잭슨의 미완성 유작 앨범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더구루=최영희 기자] 리튬플러스의 배터리등급 초고순도 수산화리튬 판매가 이어지고 있다. 16일 리튬플러스는 충남 금산군 추부공장에서 생산된 배터리급 초고순도 수산화리튬 1.4t(톤)을 판매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31일 600kg(킬로그램)에 이은 두번째 출하다. 이번 판매 중 1t은 황화리튬(Li2S)을 생산하는 A사로 이뤄졌다. 지난달 31일에 초도품을 판매한 B사에도 추가로 400킬로그램을 공급했다. 1차 품질평가를 통과한 후 2차 품질평가를 위한 용도다. 황화리튬은 전고체 전지(Solid-state Battery)에 필수 재료로 사용된다. 리튬플러스의 배터리등급 초고순도 수산화리튬은 순도가 99.995%에 달한다. 초도품 품질을 분석한 업체는 세계 최고 수준(world top class)이라고 평가했다는 설명이다. 회사 관계자는 “초도품을 제공받은 업체들의 품질분석이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며 양산 공정 테스트 물량에 대한 문의가 늘어나고 있다”며 “양산공정 테스트 이후에는 장기 대량 주문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현재 리튬플러스에 대한 국내 양극재 및 전해질 업체로부터 제품에 대한 견적요청이 늘어나는 상황이다. 해외 업체들에서도 우수한 품질의
[더구루=최영희 기자] KBI그룹의 전선소재 및 자동차용 전장 부품 제조 전문회사 KBI메탈이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매출 7100억원을 기록 전년동기 대비 4%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당기순이익은 22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1987년 설립 이후 최대 매출 실적을 달성해 2021년부터 KBI그룹내 최대 매출을 기록하는 계열사로 등극한 KBI메탈은 종속기업과 관계기업의 실적개선으로 올해도 당기순이익의 흑자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KBI메탈이 64%의 지분을 갖고 있는 종속기업 KBI코스모링크 비나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비약적으로 상승하고 45%의 지분을 갖고 있는 관계기업 KBI코스모링크의 흑자전환에 따른 지분법 손익 개선효과는 KBI메탈의 흑자전환에 큰 역할을 했다. 또한 2020년 영국금속거래소(LME)에서 구리 현물 가격이 t당 평균 6168달러였으나 2021년 9314달러로 치솟고 2022년 8814달러로 내렸으나 최근 세계 최대 구리 소비국인 중국이 경제활동 재개와 미국 금리인상의 속도 조절 및 달러 약세로 인해 지난 11일 구리가격은 9000달러를 돌파하며 당분간 오름세를 이어갈 전망이어서 올해 KBI메탈 매출액의 기록
[더구루=최영희 기자] 대동그룹의 모회사인 미래농업 리딩기업 대동이 2022년 연결 실적(잠정 집계)으로 매출은 1조4637억원, 영업이익은 849억원을 올려 2년 연속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16일 밝혔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각각 24%, 122% 신장했다. 대동은 20년부터 스마트 농기계&팜&모빌리티 3대 미래사업을 기반으로 ‘애그테크(Agtech)&모빌리티 플랫폼 그룹’으로 혁신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과 로드맵을 수립 시행해가고 있다. 관련해 지난해 불확실한 경제상황에서 ▲DT를 통한 조직 체질 개선과 경영효율성 제고 ▲상품성 및 라인업 강화를 통한 브랜드 가치 향상 ▲공급망 다변화와 환율 연동제를 통한 원재료비 절감 등의 중장기 전략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여기에 농기계 수출 증가와 환율 효과 등으로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보고 있다. 대동은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라 올해 중장기 전략 기조를 유지하면서 핵심 사업인 스마트 농기계의 질적·양적 성장을 통한 수익과 매출 극대화를 추진한다. 기술&제품 개발 부문과 생산 부문을 프로덕트(Product) 생산개발부문으로 조직을 리빌딩해 상품&기술 개발,
[더구루=최영희 기자] 헥토 그룹의 마이데이터 기업 헥토이노베이션과 테크핀 기업 헥토파이낸셜이 15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상장 이래 지속된 주주 친화정책을 이어가기 위해 총 97억 원 규모의 현금배당 지급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헥토이노베이션과 헥토파이낸셜의 2022년 기말 배당 규모는 각각 약 54억 원 (주당 420원), 약 42억 원(주당 500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7.7%, 6.4% 상승했다. 두 회사의 배당 기준일은 모두 2022년 12월 31일이며, 배당금은 정기 주주총회의 최종 승인 후 1개월 이내에 지급될 예정이다. 헥토이노베이션과 헥토파이낸셜은 코스닥 상장 이래 주주 친화 정책을 실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현금배당을 실시하고 있다. 헥토이노베이션의 주당 배당금은 ▲340원(2020년) ▲390원(2021년) ▲420원(2022년)으로, 헥토파이낸셜의 배당금은 ▲350원(2020년) ▲470원(2021년) ▲500원(2022년)으로 매년 꾸준히 인상되고 있다. 헥토이노베이션과 헥토파이낸셜은 현금배당 이외에도 매년 자사주 취득 등 다양한 주주 친화적 정책을 펼치고 있다. 헥토이노베이션은 지난해 총 50억 원 규모의 자사주를 취득했으며, 헥토파이낸
[더구루=최영희 기자]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 기반 혁신신약 개발기업 메드팩토는 지난 15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재발성 또는 진행성 골육종 환자 대상 백토서팁 단독요법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재발성, 불응성 또는 진행성 골육종을 앓고 있는 14세 이상 청소년 및 성인환자 54명을 대상으로 한 백토서팁 단독요법에 대한 1/2상이다. 메드팩토는 임상에서 백토서팁 단독요법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평가와 항암 효과 등을 확인하고 중간 분석 결과에 따라 더 큰 환자군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할 계획이다. 메드팩토 관계자는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국내 골육종 환자에게 임상 기회를 제공하자는 취지에서 국내 임상을 진행하게 됐다”면서 “임상에서는 골육종 환자를 대상으로 백토서팁 단독요법에 대한 안전성 등을 확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메드팩토는 지난해 8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골육종 환자 대상 백토서팁 단독요법에 대한 임상 1/2상 승인을 받은 바 있다. 또한 백토서팁 단독요법은 미 FDA로부터 희귀소아질환의약품(Rare Pediatric Disease Designation, RPDD), 신속 심
[더구루=최영희 기자] 이엠앤아이가 인도의 최대 CDMO(위탁개발생산) 기업 락사이와 수산화리튬 공급 사업을 추진한다. 락사이는 글로벌 바이오, 화학, 전자소재 기업을 대상으로 의약품 및 화학공정 연구개발(R&D)을 수행한다. 16일 이엠앤아이에 따르면 최근 인도 락사이와 유수수산화리튬 물품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기간은 2025년 1월까지다. 수산화리튬은 전기차 배터리의 4대 소재 중 하나인 양극재 생산에 사용된다. 전기차 주행거리를 향상시키는 하이니켈 양극재에 수산화리튬이 사용되면서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엠앤아이는 유수수산화리튬을 가공해 배터리 업체에 공급하며 이차전지 소재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할 계획이다. 이엠앤아이 관계자는 "락사이와의 협력은 당사의 이차전지 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라며 "글로벌 파트너들과 다양한 방면으로 협력하며 이차전지 소재 개발 및 제조 시간 단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인도 정부는 인도 북부 잠무∙카슈미르 지역에서 590만톤(t)의 리튬이 매장돼 있다고 발표했다. 추정 매장량은 칠레에 이어 세계 2위 규모다. 이번 발견으로 인도는 육성 중인 전기차 사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인도는
[더구루=최영희 기자] 경동제약이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182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9%가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94억원으로 전년대비 감소했으나 당기순이익은 128억원으로 전년대비 증가했다. 지난해 외형성장은 코로나19 변이 환자 급증 및 재택치료 확대에 따른 호흡기관련 약품 판매 증가가 견인했다. 특히 진해·거담제, 해열진통소염제 등의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 '그날엔'을 중심으로 판매 호조를 보였다. 기존 주력 제품인 순환기와 소화기 전문의약품도 로컬 병·의원 중심의 탄탄한 영업망을 바탕으로 성장을 이어갔다. 다만 영업이익은 원재료비 상승, 각종 비용 증가로 전년대비 감소했다.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비용 증가, 프리미엄 건강기능식품 진출 등 사업다각화를 위한 투자 확대가 주요인이다. 경동제약은 순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주당 400원의 결산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시가배당률은 4.8%로 고배당을 통한 주주환원정책을 지속 추진한다. 풍부한 현금 유동성과 지속적 성장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주주가치를 우선하겠다는 의지이다. 회사 관계자는 "지난해 코로나 재유행에 따른 감기약 등 일반의약품 판매 호조와 전문의약품의 꾸준한 매출
[더구루=최영희 기자] 모바일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유라클이 KB헬스케어의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KB오케어(KB O’CARE)’를 성공적으로 구축했다고 16일 밝혔다. 의료 마이데이터, 비대면 서비스의 증가로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성장하는 가운데 KB손해보험은 업계 최초로 헬스케어 자회사인 ‘KB헬스케어’를 설립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KB오케어’를 선보였다. KB오케어는 건강검진 결과와 설문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이에 맞는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용자의 건강관리 행동 데이터를 모니터링해 변화된 수치를 반영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개인화된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이다. 유라클은 이번 사업에 자사의 10가지 제품을 적용하여 KB오케어 플랫폼을 구축했다. 모피어스로 표준화된 모바일앱 개발 환경을 구현했으며, 사용자 피드백 수집을 위한 ‘모피어스 서베이’, 리워드 프로그램을 위한 ‘모피어스 쿠폰(CPS)’, 다양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모피어스 콘텐츠(CMS)’ 등 유라클의 모바일 솔루션을 통해 빠르고 효율적인 플랫폼 개발이 가능하게 했다. 특히 유라클은 KB 오케어 플랫폼을 구성하는 데이터, 서비스, 커머
[더구루=최영희 기자]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기업 ㈜클래시스가 지난 2022년 매출과 이익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또 한 번의 연간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고 15일 밝혔다. 클래시스의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2년 연간 매출액은 1418억원으로 전년 대비 4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689억원으로 전년 대비 3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률은 48.6%로 고수익을 유지하고 있다.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기존 사옥 매각에 따른 영업외수익이 발생하면서 전년 대비 72% 증가한 754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이익률은 53.2% 수준이다. 높은 매출 성장에 가장 큰 공을 기여한 품목은 신제품 ‘슈링크 유니버스(해외 모델명: ULTRAFORMER MPT)’다. 2022년 1월 200대 판매라는 미용 의료기기 업계 신기록을 세운 데 이어 1년간 누적판매대수가 1100대를 돌파하며 명실상부 국내 최고 리프팅 미용 의료기기 자리에 등극했다. 브라질에서는 슈링크 유니버스의 판매 허가를 기대보다 빠르게 획득하며 약 4개월 만에 누적 판매대수 250대를 돌파할 정도로 빠르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여기에 슈링크 유니버스를 판매 중인 일본,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에서도 긍정적인
[더구루=최영희 기자] 부동산 세금 안내 서비스 앱 여피(여러분의 PB) 운영사 HSJ & Company가 전문가 영입과 기업부설연구소 설립으로 인공지능(AI) 역량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 15일 여피는 포항공과대학교 인공지능대학원 머신러닝랩 김동우 교수를 기타비상무이사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포항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근간이 되는 기계학습 이론과 기계학습의 응용 방법을 연구하는 전문가다. 최소한의 데이터로 최적의 결과를 낼 수 있는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한 효율적인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 그가 포항공과대학교 기계학습 연구실에서 진행한 연구 중 하나는 인공지능에게 비정형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방법론에 관한 연구다. 비정형 데이터는 특정한 양식에 맞춰 질서정연하게 정리돼있는 정형 데이터와 달리 텍스트, 음성, 영상처럼 아무렇게나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뜻한다. 연구실은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내 인공지능이 무질서한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고안했다. 여피는 김 교수의 합류로 인공지능 기술 고도화에 한층 힘을 가할 예정이다. 회사는 지난 13일 기업부설연구소인 여피 핀테크 랩도 설립했다. 지난해 1
[더구루=최영희 기자] 오피스 소프트웨어(SW) 전문기업 폴라리스오피스가 Al(인공지능) 영상처리 솔루션 전문기업 미네르바소프트와 영상 전문 문서변환 솔루션 시장 공략에 나선다. 15일 폴라리스오피스는 미네르바소프트와 영상 전문 문서변환솔루션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제휴는 미네르바소프트의 매직컨버터(Magic Converter)와 폴라리스오피스의 폴라리스컨버터(Polaris Converter) 간 상호 영업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협약이다. 폴라리스컨버터의 기술력을 활용하여 매직컨버터에 적용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영업 활성화 및 신규 고객 확보를 위해서도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 2005년에 설립된 미네르바소프트는 AI 영상처리 솔루션 및 데이터 정보보호 전문기업이다. 딥러닝 영상 인식 솔루션, 이미지 처리·변환 솔루션, 문서 열람솔루션 등 광학문자인식(OCR)에 특화된 기술력을 지니고 있다. 신분증을 인식할 때 개인정보를 문서로 도출하고 마스킹하고 암호화기능을 하는 등 기존의 이미지를 변환하는 기능을 금융기관에 제공하고 있다. 폴라리스오피스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특히 금융권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기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신왕다(欣旺达·Sunwoda)'가 베트남 공장 증설에 나선다. 현지 생산 역량이 확대되면서 분리막 공급사인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의 수주 물량도 증가할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박장성에 따르면 신왕다는 반 트룽(Vân Trung) 산업단지에 위치한 리튬이온배터리 생산·조립 공장을 증설하기 위해 2250만 달러를 추가 투자한다. 이달 초부터 오는 18일까지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추가 투자를 통해 해당 공장에 대한 신왕다의 투자 자본은 3020만 달러로 늘어나게 됐다. 연간 배터리 생산량을 기존 655만 개 수준에서 1550만 개로 2배 이상 확대하고, 임직원 규모도 250명에서 350명으로 늘린다. 배터리관리유닛(BMU)도 연간 665만 개 생산한다. 이 곳에서 만들어진 배터리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블루투스 이어폰 등 전자·IT 기기에 탑재된다. 신왕다는 박장성을 중심으로 베트남 내 대규모 생산거점을 구축하고 있다. 작년 7월 박장성 옌루(Yên Lư) 산업단지에 3억 달러를 투자해 약 5000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고, 연간 약 10억 달러의 수익을 달성하겠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케이던스(Cadence)'가 영국 '암(Arm)'의 물리 반도체 설계자산(IP) 사업을 품으며 기초 IP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설계자동화(EDA) 툴부터 고급·기초 IP까지 종합 설계 역량을 확보, 시스템온칩(SoC) 설계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케이던스는 16일(현지시간) Arm의 '아티산 파운데이션(Artisan Foundation) IP' 사업 인수를 발표했다. 고객은 케이던스의 솔루션만으로 칩 설계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통합, 제품을 처음부터 끝까지 설계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출 수 있게 됐다. 인수 작업은 오는 3분기 내 마무리될 예정이다. 케이던스는 인수와 동시에 기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아티산 IP 관련 인력도 전원 승계할 예정이다. 인수 대상은 △표준 셀 라이브러리 △메모리 컴파일러 △GPIO(범용 입출력) 등 선도 파운드리의 첨단 공정에 최적화된 핵심 설계자산이다. 3나노미터(nm), 5나노 등 최신 파운드리 공정에 최적화돼 삼성전자, TSMC 등 글로벌 업체를 포함한 주요 제조 생태계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케이던스는 기존에도 인터페이스 IP(PCIe, DDR 등)와 임베디드 보안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