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재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의 쩡위췬(曾毓群) 회장이 한국 배터리 소재 회사들과 회동합니다. 쩡 회장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 후 에코프로와 엘앤에프를 만나 배터리 양극재 기술을 살피고 구매 가능성을 검토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中 CATL 회장, 에코프로·엘앤에프 연쇄 회동…韓 공급망 확보 총력
								[더구루=이진욱 기자]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뉴럴링크와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를 결합해, 생각으로 로봇을 조종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뉴럴링크 뇌 칩을 이식받은 환자들이 옵티머스 제어 실험에 참여할 예정이며, 테스트는 옵티머스 V2·V3 모델로 진행됩니다. 뉴럴링크는 현재 프라임(PRIME) 임상 실험 중이며, 척수 손상 환자가 '텔레파시' 칩으로 생각만으로 커서와 로봇 팔을 조작해 음식을 먹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기술이 확장되면 팔뿐 아니라 전신 로봇을 사고로 제어하는 단계로 나아가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뉴럴링크 칩 뇌 이식 환자, 테슬라 옵티머스 연구 참여…로봇·BCI 융합 현실화
								[더구루=진유진 기자] 기아 전동화 목적기반모빌리티(PBV) 'PV5'가 화물을 가득 싣고 700km 가량 주행하며 '기네스 세계 기록' 신기록을 달성했다. 기아 유럽권역본부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PV5 카고 L2H1 71.2kWh 모델'이 '최대 적재량을 싣고 가장 먼 거리를 주행한 전기 경상용차(eLCV)' 부문 기록을 경신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성과는 실용성을 중시하는 글로벌 밴 시장에서 PV5에 관심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기아 PV5, 1회 충전 693km 주행…기네스 세계 기록
								[더구루=진유진 기자] 한화가 미국 무인·자율운행 선박 개발 스타트업 '해벅AI(HAVOC AI)'와 손잡고 자율운항 기술을 함정에 접목합니다. 해벅AI에 따르면 한화와 최근 자율주행 함정 사업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습니다. 한화가 건조하는 함정에 해벅의 자율주행 기술을 결합해 미국 시장을 공략하는 한편, 무인 전투함 새 시대를 열며 미국 방산 시장에서 수주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한화, 美 '해벅AI'와 무인 함정 기술 동맹 구축…미군 자율함대 전략 '타깃'
								[더구루=진유진 기자] 페루 육군이 현대로템의 K2 전차와 차륜형장갑차 K808 '백호' 도입 청사진을 밝혔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페루 육군 군수사령부 총사령관은 지난 23일(현지시간) 페루 라마에서 열린 '국가정책으로서의 방위산업' 포럼에서 지상무기 현대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K2 전차 46대와 K808 백호 99대를 수입하고 각각 104대와 181대를 추가로 현지에서 조립합니다. 페루산 전차·장갑차 기술 확보에 나서면서 현대로템·STX와 긴밀히 협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페루 육군 "현대로템 K2 전차 46대·K808 장갑차 99대 도입" 공식 발표
								[더구루=진유진 기자] 두산에너빌리티가 지난 27일(현지시간) 페르미 아메리카(Fermi America)와 AP1000 원전 4기 주요 기자재 제작을 위한 주단품 준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원전 건설이 본격화되면 두산은 원자로·증기발생기 등 핵심 장비를 공급하게 될 전망입니다. 이어 28일(현지시간)에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웨스팅하우스, 브룩필드자산운용, 카메코는 약 100조원 규모 신규 원전 사업 확대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습니다. 웨스팅하우스의 미국 내 투자 확대가 예고되면서, 핵심 협력사인 현대건설과 두산에너빌리티의 수주 기회도 확대될 것이란 기대가 나오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美, 웨스팅하우스와 '800억 달러' 원전 추진...현대건설·두산에너빌 수주 기대 두산에너빌리티, 美 페르미 아메리카와 '대형원전 4기' 기자재 예비공급 계약
								[더구루=김은비 기자] 국내 방위산업 기업이, 250조원 규모의 유럽연합(EU) 무기 공동구매 프로그램에 참여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실제 성사되면 K방산의 유럽 진출이 대폭 확대될 전망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K방산, 250조 EU 무기 공동구매 프로그램 참여길 열리나.. 루마니아 "韓기업 참여 논의"
								[더구루=김은비 기자] 삼성중공업이 미국 델핀 미드스트림(Delfin Midstream Inc, 이하 델핀)으로부터 4조원 규모의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FLNG)를 사실상 수주했습니다. FLNG 건조에 협력해 미국 멕시코만 해역에서 액화천연가스(LNG)를 생산하는 '델핀 프로젝트'를 지원합니다. 모잠비크와 아르헨티나, 미국 등에서 FLNG 사업 기회를 잡으며 수주 잔고를 두둑이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삼성중공업 '4조 규모' 美 델핀 FLNG 건조 LOA 수령…본계약 서명만 남아
								[더구루=진유진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영국 미사일 제조그룹 MBDA와 KF-21 사업 협력을 확대합니다. MBDA에 따르면 양측은 지난 20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방위산업 전시회 2025(ADEX)'에서 KF-21·스피어(SPEAR) 통합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시제기에 MBDA의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탑재, 성공적으로 시험을 완료하며 공대지 미사일 결합도 추진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KF-21 전투기 '스피어' 순항미사일 무장…KAI·英 MBDA 업무협약 체결
								[더구루=진유진 기자] HD현대중공업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페루 국영 시마 조선소와 잠수함 사업 협약을 체결합니다. 외신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은 다가오는 경주 APEC 정상회의에서 페루 해군과 잠수함 공동 개발·건조에 대한 협정을 체결합니다. 지난 4월 양해각서(MOU)에 따른 후속 절차로, 잠수함 사업 협력을 본격 가동하고 노후 함정 교체를 지원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HD현대중공업, 페루 해군 잠수함 공동생산·개발 APEC서 최종 서명
								[더구루=진유진 기자] 삼성전자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초대형 금융지구 '킹 압둘라 금융지구(KAFD)'의 스마트시티 구축 파트너로 선정됐습니다. KAFD 운영사 'KAFD DMC'에 따르면 삼성전자 사우디아라비아법인과 KAFD DMC는 KAFD 스마트시티 인프라 개발·통합 기술 구현을 위한 전략적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빈 살만 왕세자가 주도하는 '비전 2030' 핵심 프로젝트에 본격 참여하며, 사우디 내 스마트 인프라 시장에서 삼성의 입지가 한층 강화될 전망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삼성전자, 빈 살만 '메가 금융 프로젝트' 스마트시티 구축 파트너 낙점
								[더구루=김은비 기자] 폴란드 국영전력공사(PGE)가 폴란드 민간 발전사 ‘제팍(ZE PAK)’과 공동 설립한 특수목적법인 ‘PPEJ(PGE PAK Energia Jadrowa)’의 제팍 보유 지분을 인수한다. PPEJ가 한국수력원자력과 함께 추진 중이던 퐁트누트 원전 사업 재개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한수원 참여' 폴란드 원전, 지분정리 완료…재개 속도 낸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영국의 반도체 설계(IP) 기업 암(Arm)이 칩렛 아키텍처, 에지 컴퓨팅 플랫폼을 개방하기로 했다. Arm은 개방형 전략을 통해 인공지능(AI) 시장 내 영향력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캐나다가 다국적 완성차업체 스텔란티스의 미국 생산라인 이전에 대해 법적 대응에 착수한다. 스텔란티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비용을 완화하기 위해 미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할 계획인데 캐나다는 이를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캐나다 정부는 경고성 조치로 관세 혜택을 축소하면서 분쟁 해결을 위한 절차를 공식화해 대화의 여지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