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새로운 스마트폰 상표 등록을 하며 9월 공개될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지난 2일 특허청 'V60S'라는 상표를 등록했다. V50에 이은 새로운 V시리즈를 개발하고 잇는 셈이다. 이번에 출원된 상표의 카테고리는 '스마트폰, 휴대전화' 등을 분류하는 '클래스 9'로 해당 특허가 스마트폰 상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상표 등록 결과로 다음달 6일부터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국제가전박람회(IFA) 2019에서 공개될 새로운 듀얼 스크린 스마트폰의 이름이 어떻게 될지 궁금증이 더해질 것으로 보인다. LG전자가 IFA 2019에서 새로운 듀얼스크린 스마트폰을 공개한다고 했을 때만 하더라도 관련업계에서는 V60 ThinQ가 나올 것으로 예상했었다. 그런 가운데 LG전자가 지난 2일 자사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브랜드인 'G'시리즈의 새로운 모델명으로 'G8x'를 등록한 것이 알려지며 9월에 나올 스마트폰이 'G8x'가 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기 시작했다. 하지만 같은 날 'V60S'가 같이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다음달 공개될 스마트폰의 이름이 어떻게 결정될지에 대한 관심이 더 커질
8월 7일(현지시간) 삼성전자의 올 하반기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 노트10이 공개됐다. 이번에 공개된 갤럭시 노트10은 6.3인치 일반모델과 6.8인치 플러스모델이 나뉘어지며 갤럭시 노트 시리즈 최초로 모델 다변화가 진행됐다. 또한 카메라홀이 중앙상단으로 이동했으며 후면카메라는 기존의 가로배치를 버리고 세로배치로 디자인적인 면을 강화했다. S펜의 필압 등은 말할 것도 없고 디바이스에 펜을 접촉하지 않고도 컨트롤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됐다.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협업도 눈에 띈다. 이제 윈도우OS와 갤럭시 노트10은 쉽게 연동이 가능하게 탈바꿈했다. 하지만 이 외에도 깨알같이 숨겨진 디테일들이 있었다. ◇스피커와 마이크 우선 상단에 새로운 스피커가 추가됐다는 것이다. 갤럭시 노트10의 상단을 보면 유심 슬롯 옆에 새로운 구멍이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부분은 공개 이전 렌더링 공개 당시에 생각보다 많은 관심을 받았다. 해당 구멍이 리모콘 기능이 있는 IR블래스터가 아니냐는 의견부터 음성 확대 기능이 있는 3개의 줌마이크 중 하나일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하지만 해당 부분은 스피커였다. 갤럭시 노트10을 테스트해본 사람들은 스마트
사진 소스링크 :https://nl.letsgodigital.org/smartphones/samsung-galaxy-s11-telefoon/ 삼성전자의 올 하반기 플래그십 모델인 갤럭시 노트10이 공개됐다. 지금까지 공개된 내용대로 일반 모델과 플러스 모델 두 종류가 출시됐고 카메라홀도 중앙 상단으로 이동했다. 이제 갤럭시 노트10이 등장하며 후속 모델에 대한 관심을 갤럭시 S11로 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나 갤럭시 S11은 완전히 발전된 형태로 등장할 것이라는 소문이 전해지며 관심도는 갤럭시 노트10을 넘어 갤럭시 S11로 향하고 있다. 갤럭시 S11의 공개 날짜는 2020년 2월 말이 될 것이 유력하다. 무엇보다도 2020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가 2월 마지막 주에 진행되는 것으로 전해졌기 때문이다. 갤럭시 S10도 2019 MWC에서 공개됐었다. 갤럭시 S11의 코드네임은 '피카소'다 20세기 최고의 화가로 평가받는 파블로 피카소는 '끊임없는 화풍의 변화'로 유명했으며 다양한 화풍을 그림에 담으려 했기 때문에 코드네임에 따라 갤럭시 S11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카메라에 상당한 업그레이드가 진행된다. 갤럭시
LG전자가 삼성전자와 같이 펀치홀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스마트폰을 개발하고 있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특허청(KIPO)은 지난 3월 21일 LG전자의 펀치홀 스마트폰에 대한 디자인 특허를 공개했다. 해당 특허는 지난해 4월 20일 출원된 것이다. LG전자는 해당 디자인은 "카메라가 위치하는 상부의 타원형 모양부분에 투명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공간의 빈틈없이 꽉 찬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특허에 첨부된 그림 속 스마트폰은 펀치홀을 중앙 상단에 뚫었으며 베젤 부분이 기존 V50 등에 비해 현저히 얇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갤럭시 노트10이 싱글 카메라인 것에 비해 LG전자의 특허는 2개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면 화면부 중앙 상단에 펀치홀을 뚫은 스마트폰은 한국시간으로 8일 오전에 공개될 갤럭시 노트10가 있고 중국의 샤오미도 출시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 노키아 등도 중앙 펀치홀은 아니지만 펀치홀 디자인을 선택했는데 LG전자는 노치와 전통적인 스마트폰 디자인을 만들어왔다. 이번 특허를 통해 LG전자도 펀치홀 스마트폰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 것이다. 관련업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리얼미가 세계최초로 6400만화소 카메라를 장착한 스마트폰을 공개한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리얼미는 지난 2일(현지시간) 자사의 트위터를 통해 오는 8일 인도 뉴델리에서 6400만화소 카메라 장착된 새로운 스마트폰을 공개할 것이라고 전했다. 해당 스마트폰에는 6400만 화소 카메라뿐 아니라 망원 렌즈, 초광각 렌즈, ToF 카메라까지 총 4개의 카메라를 장착할 것으로 알려졌다. 새로운 리얼미 스마트폰에 장착될 6400만화소 카메라센서는 지난 5월 9일 삼성전자가 공개한 '아이소셀 브라이트 GW1'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소셀 브라이트 GW1은 0.8㎛(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초소형 픽셀을 적용해 작은 칩 크기로도 고화소를 구현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리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베젤을 줄이고 풀스크린을 구현하는데 꼭 필요한 것으로 기술로 평가받았다. 이에 카메라 기능이 핵심 마케팅 포인트인 중국 업체들이 적용에 경쟁적으로 나섰다. 리얼미 뿐 아니라 샤오미도 해당 센서를 탑재하기 위해 개발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알린 바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에는 갤럭시 노트10에 장착될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지만 아닌 것으
2009년 4월 27일,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의 역사의 시작점으로 기록된 날이다. 이날 삼성전자는 갤럭시 A로 명명된 'GT-I7500' 모델을 공개하고 6월 29일부터 판매에 돌입했다. 그로부터 10년이 흘렀다. 갤럭시 브랜드는 이제 삼성전자의 모바일 생태계를 아우르는 이름으로 자리잡았고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이끌어가는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안드로이드 진영에 대표주자로 자리를 잡은 것이다. 이에 삼성전자는 갤럭시 10년을 돌아보며 10가지의 하이라이트를 선정했다. 1. AMOLED 디스플레이 2010년 6월 삼성전자는 갤럭시 S 시리즈의 첫 모델을 공개했다. 갤럭시 S의 출시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 대한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바로 AM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최초의 스마트폰이었기 때문이다. 아이폰이 OLED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것이 아이폰 X에 이르러서 이니 삼성전자가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얼마나 앞서나갔는지, 트렌드를 이끌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현재의 스마트폰 시장에서 OLED 디스플레이는 명실상부 메인스트림으로 떠올랐다. 2. S펜 2011년 10월 공개된 삼성전자의 대화면 플래그십 스마트
오는 8월 7일(현지시간) 공개를 앞둔 갤럭시 노트10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한국시간으로 이제 공개까지 5일이 남은 것이다. 이번에도 그 관심을 증명하는 다양한 정보들이 출시 전부터 쏟아져 나왔다. 공개 5일을 앞둔 시점에서 지금까지 유출된 정보에 대해서 총정리해 봤다. 1. 카메라 갤럭시 S10이 공개되고 일주일여가 지난 2월 27일 관련업계에서는 갤럭시 노트10에도 쿼드카메라가 적용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갤럭시 S10 5G모델에도 망원, 광각, 초광각, 3D ToF 등 4가지 카메라가 장착됐기 때문에 갤럭시 노트10에도 충분히 적용될 뻔한 내용이었다. 하지만 카메라에 있어서 가장 큰 변화는 카메라의 갯수가 아니였다. 삼성전자가 기존의 후면 카메라 배치를 가로에서 새로로 바꿀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진 것이다. 실제로 최근에 공개되고 있는 렌더링이미지나 예상 이미지들을 보면 하나같이 후면 카메라가 새로로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면카메라도 카메라 홀을 최소화하기 위해 갤럭시 S10이 우측 상단에 두개의 카메라를 선택했던 것과는 달리 전면 상단 중앙에 싱글 카메라만을 설치했다. 이는 전면 풀스크린 스마트폰 시대로 넘
'보급형 5G 라인업'을 채울 첫 스마트폰인 삼성전자 '갤럭시 A90'의 출격이 임박했다. 1일(현지시간) 삼성전자는 갤럭시 A90의 와이파이 인증을 획득했다. 와이파이 얼라이언스는 와이파이를 제공하는 전세계 기업들의 네트워크로 와이파이 기술과 프로그램을 규정하고 품질, 성능, 보안, 기능 표준을 만족시키는 제품들에 대한 인증도 제공한다. 삼성전자와 LG전자, KT 등 국내기업을 포함해 애플, 퀄컴, 보다폰,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글로벌 IT기업들이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갤럭시 A90은 삼성전자의 보급형 라인업인 '갤럭시 A 시리즈'의 최상위 모델로 '하이엔드'급 성능을 갖췄으며 무엇보다 5G 통신망을 지원하게 될 것이라는 소식에 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갤럭시 A 시리즈는 6월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월대비 0.1% 감소한 상황에서 홀로 독주하면 출하량이 40%포인트나 급증했다. 갤럭시 A 시리즈는 6월 한달동안에만 1850만대가 출하돼 화웨이 전체 출하량 1620만대보다 230만대나 더 출하됐다. 갤럭시 S10 등 플래그십 라인업의 판매가 흔들리는 가운데 갤럭시 A 시리즈가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부문을 이끈 것이다.
삼성전자가 고안한'소리나는 태블릿 커버'가베일을 벗었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특허청(USPTO)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삼성전자가 제출한 '스피커가 있는 외장 커버'에 대한 특허를 공개했다. 해당 특허는 지난 2016년 1월 출원한 것으로 한국 특허청에도 지난 2015년 1월 같은 내용으로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특허에는 태블릿에 사용되는 접히는 커버에 여러 개의 스피커를 장착해 소리를 나게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기본적으로 태블릿 커버가 얇기 때문에 필름 스피커 장착된다. 또한 부족한 소리를 채워주기 위해서 진동자, 압전 스피커 등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얇게 배치가능한 전자 부품들을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주 얇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해 소리와 화면이 같이 나오게 만들 수도 있다. 커버에 적용되는 기술은 확장성을 넓어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삼성전자는 특허를 통해 "기본적을 태블릿은 경사진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타이핑을 하든 영상을 보든 할 때 편리하다"며 "필름 스피커가 적용된 외장 커버는 태블릿의 부족한 음량을 채워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갤럭시탭 S6와 갤럭시 워치 액티브2로 알려진 신제품들의 티저영상을 공개해 노트10 공개 전 바람잡기를 시작한다. 30일 삼성전자는 자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신제품 2종의 티저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제품들은 삼성전자의 신형 플래그십 태블릿 갤럭시 탭 S6와 갤럭시워치 액티브2로 보인다. 이미 두 제품에 대한 정보가 상당수 유출되며 갤럭시 노트10 공개를 즈음해 공개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그리고 그에 응하듯이 삼성전자는 신제품 출시를 서두르며 오늘과 8월 5일 두번을 나눠 신제품을 먼저 공개한다. 갤럭시 노트10 공개 이전에 흥행성적을 끌어올리기 위한 바람잡이가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선 갤럭시 탭S6가 오늘 공개되고 8월 5일에는 갤럭시워치 액티브 2가 공개될 예정이다. 지금까지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갤럭시 탭S 6는 10.5인치 AMOLED가 장착될 것으로 예상되며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는 갤럭시 S10에도 적용된 스냅드래곤 855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램은 6GB를 장착하고 스토리지는 기본 모델이 128GB이고 최대 256GB 모델까지 판매될것으로 알려졌다.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 9 파이다. 갤럭시
사진 소스링크 :https://nl.letsgodigital.org/smartphones/samsung-mobiele-telefoons/ 삼성디스플레이가 개발한 특이한 형태의 스마트폰 디자인 특허가 공개됐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6월 11일 특허청(KIPO)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지난해 8월 20일 등록한 확장형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스마트폰에 대한 디자인 특허를 공고했다. 해당 디자인 특허 속 스마트폰은 지금까지 봤던 다양한 폼팩터의 스마트폰들과는 다른 색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스마트폰 폼팩터의 변화를 얘기하며 폴더블, 롤업, 크램쉘, 양면 등등 다양한 형태가 공개됐다. 특히 지난달 공개된 구글의 '책 형태'의 폴더블폰은 그 독특한 형태때문에 큰 관심을 받았다. 이번에 공개된 삼성의 특허는 '부채'라고 표현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해당 장비는 세개의 독립된 디스플레이를 금속막대를 통해 하나로 합쳐놓은 것으로 필요에 따라 부채를 펴듯이 디스플레이 하나하나가 따로 펼쳐지게 된다. 그 각도도 넓어 특허에서 표현된 사진을 보면 마치 선풍기 날개마냥 펼쳐지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관련업계는 해당 특허 속 스마트폰이 독특한 디
사진 소스링크 :https://nl.letsgodigital.org/smartphones/samsung-galaxy-s11-telefoon/ 내년 1분기 공개될 것으로 보이는 갤럭시 S11에 대한 '확인 가능한 4가지 정보'가 공개됐다. 29일(현지시간) 유명 IT트위터리안 빙우주(@UniverseIce)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누군가 갤럭시 S11에 대해서 물었다. 확인할 수 있는 건 4가지다"라며 내용을 소개했다. 첫번째 갤럭시 S11의 코드네임은 '피카소'라는 것이다. 관련업계에서는 20세기 최고의 화가로 평가받는 파블로 피카소는 '끊임없는 화풍의 변화'로 유명했으며 다양한 화풍을 그림에 담으려 했기 때문에 코드네임에 따라 갤럭시 S11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두번째는 카메라에 상당한 업그레이드가 진행된다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5월 '이미지센서 1등'이 되겠다며 초소형 6400만, 4800만 화소 스마트폰 이미지센서를 공개한 바 있다. 해당 센서가 공개되자 갤럭시 노트10에 적용될 것이냐 갤럭시 S11에 적용될 것이냐에 대한 설왕설래가 있었다. 일부에서는 갤럭시 A 시리즈에 우선적으로 적용될 가능성에 더 무게를 뒀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가 신형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했다. 샤오미는 신형 AR 스마트 글래스를 30만대 이상 출하해 메타 레이벤 스마트 글래스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를 공개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했다.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 당일 매진됐다. 정식 출시가(1199위안, 약 24만원)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 매진 이유라는 분석이다.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는 샤오미에서 자체 개발한 미지아 글래스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은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프레임이 더 얇아져 템플(안경 다리)의 두께가 5밀리미터(mm)에 불과하다. 무게는 27.6g이다.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 1년간 개발한 힌지를 적용했다. 샤오미는 해당 힌지가 1만5000번을 굽혔다 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프레임 옵션은 총 5가지 스타일이 제공되며 압력을 분산시키는 디자인을 적용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적용된 4개 마이크가 장착돼 통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