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글로벌 3대 명차 브랜드 벤틀리가 럭셔리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벤테이가' 출시 10주년을 기념한 스페셜 에디션 모델을 선보였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베틀리는 최근 벤테이가 아틀리에 에디션(Bentayga Atelier Edition)을 공개했다. 벤테이가 아틀리에 에디션은 벤틀리가 직접 설정한 컨피규레이터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특별한 모델이다. 다섯 가지 고유 컬러가 제공되며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해 새틴과 크롬을 아낌 없이 사용했다. 측면부에는 차별화를 위한 아틀리에 에디션 배지가 부착됐다. 10 스포크 디자인을 적용한 22인치 휠에는 벤틀리 셀프 레벨링 센터 캡이 장착됐다. 실내는 외관에 맞춘 색상으로 조합됐다. 고급스러운 브러시드 알루미늄과 우드 트림, 최고급 가죽과 투톤 마감까지 선택할 수 있다. 파워트레인은 V8 4.0리터 엔진과 V6 3.0리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두 가지로 제공된다. W12 엔진은 제공되지 않는다. 판매 가격은 발표하지 않았다. 다만 일반 벤테이가보다 더 높은 프리미엄이 붙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일반 벤테이가의 경우 옵션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2억 원 후반에서 3억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판 테슬라'로 불리는 전기차 제조업체 패러데이퓨처(Faraday Future)가 저가형 인공지능(AI) 전기차 시제품의 테스트에 돌입했다. [유료기사코드] 패러데이퓨처는 지난달 21일(현지시간) 저가형 AI 전기차 모델인 FX6의 첫 시제품 2대를 중국에서 미국으로 선적했다. 패러데이퓨처는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본사에서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자율주행 검증 △파워트레인·성능 최적화 △지능형 캐빈 △사용자 경험 등을 포함해 광범위한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패러데이퓨처는 작년 9월 저가형 AI 전기차 브랜드 '패러데이X'를 공개했다. 패러데이X 브랜드로 FX5와 FX6 등 두 개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예상 가격은 각각 2만~3만 달러, 3만~5만 달러 범위에서 책정한다. 이르면 올해 말 양산한다. 패러데이퓨처는 AI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달 10일 티커심볼(Ticker Symbol, 증권을 나타내는 기호나 문자)을 'FFIE'에서 'FFAI'로 변경한다. 이어 17일에는 AI 관련 행사를 개최한다. 패러데이퓨처는 지난 2014년 중국의 일론 머스크로 불렸던 자웨이팅이 설립한 전기
[더구루=홍성환 기자] 산업용 가스기업 에어리퀴드와 프랑스 에너지기업 토탈에너지스가, 네덜란드 그린수소 사업에 1조5000억원 이상을 투자한다. 양사는 네덜란드 로테르담 마스블락테와 제일란트주(州)에 그린수소 플랜트 2기를 건설할 예정이다. 투자액은 10억 유로(약 1조5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는 토탈에너지스와 RWE가 공동 개발한 오란제윈드 해상풍력단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프로젝트다. 마스블락테와 제일란트에 각각 200㎿·250㎿ 전해조를 설치해 연간 총 4만5000t의 그린수소를 생산하게 된다. 마스블락테 플랜트는 2027년 말, 제일란트 플랜트는 2029년 가동이 목표다. 이 사업을 통해 연간 최대 4만5000t의 탄소배출을 감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린수소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 에너지에서 생산된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 수소다. 수소와 산소만 생산되기 때문에 오염 물질이 전혀 배출되지 않으며, 전기 에너지를 수소로 변환해 손쉽게 저장하므로 생산량이 고르지 않은 재생 에너지의 단점도 보완할 수 있다. 빈센트 스토콰르트 토탈에너지스 재생가능 에너지 수석부사장은 "네덜란드 해상풍력 프로젝트에서 생산한 전기를 두 전해조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폴란드 해군이 무인기 도입 사업 입찰을 취소했다. 주문 예산과 입찰 업체와의 가격 차이를 좁히지 못한 탓이다. 폴란드 해군은 최근 무인기 도입 사업 입찰을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사업 입찰에는 오스트리아 방산 기업 'Schiebel Elektronische Geräte'이 제안서를 제출했다. 입찰 가격은 약 3억9400만 즈워티(약 1440억원)로 제시됐으며, 계약 체결일로부터 15개월 이내에 주문을 완료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폴란드 해군의 주문 예산이 4200만 즈워티(약 150억원)에 그치면서 입찰도 최종 무산됐다. 폴란드 해군의 무인기 도입 사업은 폴란드 군대의 기술 현대화의 일환으로 추진돼왔다. 여기에는 위성 정찰 작전 프로그램이 포함됐으며, 무인 항공기 도입도 핵심 사업 중 하나였다. 폴란드 해군이 도입하려던 무인 항공기는 최대 이륙 중량이 200kg에 이르는 ‘캠콥터 S-100(Camcopter S-100)’ 모델로, 전자 광학 센서와 합성 개구면 레이더(SAR) 기술이 탑재돼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해상 및 해안선의 적군 정찰과 육상 감시, 해상에서의 조난자 수색 등 다양한 환경에서 주야간 감시가 가능하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투싼이 스페인 중고차 시장에서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매물 등록 기준, 평균 한 달이면 새 주인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현지 중고차 시장에서 가장 짧은 기간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투싼은 지난달 지난달 스페인 중고차 시장 판매 1위 모델로 꼽혔다. 평균 회전 기간은 30일로 집계됐다. 특히 8년 전 출시된 구모델이 인기다. 평균 1만~1만2000유로 저렴한 가격이 매력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투싼의 인기 덕에 스페인 중고차 시장도 활력을 띄고 있다. 같은 달 신차가 아닌 중고차를 선택한 운전자가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전히잰다. 특히 투싼의 이 같은 인기는 현지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 제고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현지 시장 판매량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는 올해 전년 대비 5% 성장한 6만8000대, 점유율은 0.1%포인트 늘어난 6.5%를 예상하고 있다. 이는 스페인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3%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반영한 수치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 현지 전기차 판매 라인업 확대를 위한 작업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미 보급형 전기차 모델 인스터(국내명 캐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파나소닉과 중국 샤오미, 오포(OPPO)가 벌인 특허 분쟁이 마무리됐다. 이번 소송으로 표준필수특허(SEP) 보유 기업들의 다중 관할권 소송(Multi-Jurisdiction Actions) 전략이 관심을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파나소닉은 올해 1월 오포, 샤오미와 정식 라이선싱 계약을 체결하고, 전 세계에서 진행되던 지식재산권(IP) 관련 분쟁을 마무리 하기로 했다. 파나소닉은 오포와는 교차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으며, 샤오미와도 향후 협력 관계를 강화해 가기로 했다. 파나소닉은 지난 2023년 8월 무선통신 분야 SEP를 침해했다며 샤오미와 오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파나소닉은 한 국가 법원에만 소송을 제기하지 않고 독일, 영국, 유럽특허법원(UPC), 중국 내 법원에 동시에 소송을 제기했다. 파나소닉은 법적 조치에 대해 "WCDMA, LTE 특허 관련 협상에서 샤오미, 오포와 합의에 도달하지 못해 진행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SEP는 스마트폰과 같은 기술 제품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특허를 말한다. SEP 보유자들은 특허 이용을 원하는 자들과 공정하고(fair), 합리적이며(reasonable),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화학기업 '우베(UBE)'가 미국 루이지애나 리튬이온배터리 핵심 원료 공장 건설을 위한 첫 삽을 떴다. 완공 후 현지 생산이 본격화되면 미국 배터리 공급망 안정성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일 우베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달 제퍼슨 패리시 내 코너스톤 에너지 파크에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생산공장을 착공했다. 작년 2월 투자를 공식 발표한지 약 1년 만이다. 우베는 5억 달러를 투자해 DMC·EMC 공장을 짓는다. 작년 11월 제퍼슨 패리시 카운티로부터 건설에 필요한 승인을 모두 확보했다. 올해 착공해 오는 2026년 11월 가동한다는 목표다. 연간 10만 톤(t)의 DMC와 4만t의 EMC를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다. 건설 과정에서 400명, 운영 단계에서 50~60명의 신규 고용 창출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완공되면 우베의 공장은 미국 내 최초이자 유일한 DMC·EMC 생산시설이 된다. 생산이 안정화되고 현지 배터리 기업들에 공급이 가시화되면 중국 소재 기업에 대한 의존도를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MC와 EMC는 리튬이온배터리 전해액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저장지리홀딩그룹(Zhejiang Geely Holding Group) 산하 브랜드 볼보가 상하이 엔지니어링 팀의 주도로 개발한 첫 번째 글로벌 모델이 관심과 우려의 시선을 동시에 받고 있다. 미래차 플랫폼을 탑재한 스마트카라는 점은 기대감을 키우고 있는 반면 중국산이라는 점과 생성형 AI 딥시크(DeepSeek) R1 탑재 예고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볼보는 오는 5일 차세대 플래그십 전기 세단 'ES90'을 공개할 예정이다. ES90은 볼보 미래차 플랫폼 '슈퍼셋 테크 스택'을 기반으로 한 브랜드 최초 순수 전기 세단이다.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개념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듀얼 엔비디아 드라이브 AGX 오린 반도체를 을 탑재해 기존 대비 8배 향상된 인공지능(AI) 컴퓨팅 성능을 제공하며, 무선 업데이트(OTA)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SPA2 플랫폼을 기반으로 EX90에 이어 두 번째로 슈퍼셋 테크 스택을 적용한 모델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단일 시스템으로 통합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만으로도 차량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올해 미국 배터리 생산능력이 420GWh를 돌파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공장만 6곳이 가동을 앞뒀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원책을 대폭 축소하려 하고 있어 투자 열기가 식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1일 영국 시장조사기관 벤치마크 미네랄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미국은 올해 10개의 배터리 공장이 가동될 전망이다. 10개 공장에는 △LG에너지솔루션 단독공장(애리조나) △LG에너지솔루션·혼다 합작공장(오하이오) △SK온·포드의 합작공장 2곳(켄터키와 테네시) △SK온·현대자동차 합작공장(조지아) △삼성SDI·스텔란티스 합작공장(인디애나) △파나소닉 공장(켄터키) △토요타 공장(노스캐롤라이나) △엔비전AESC 공장(켄터키) △아워넥스트에너지(ONE) 공장(미시간)이 포함된다. 이로써 미국 연간 배터리 생산능력도 전년보다 90% 증가한 421.5GWh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화석연료 회귀 정책을 펼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과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 이번에 가동되는 배터리 공장 10곳은 조 바이든 대통령 시절 건설이 확정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자국 중심의 전기차·배터리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공급한 폴란드형 다연장로켓 ‘호마르-K’가 폴란드군 훈련에 모습을 드러냈다. 적기 납품으로 실전 배치에 속도가 붙으며 운용 능력이 강화돼 호마르-K가 폴란드의 신(新)무기 체계 주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폴란드 국방부에 따르면 산하 국방미디어팀은 최근 제1 마주르스카 포병여단 소속 군인들이 호마르-K를 활용해 실전 훈련을 진행했다. 작년 8월 인도된 호마르-K 4문이 투입됐다. 이번 훈련에서는 폴란드 포병 지휘·사격통제 시스템인 토파즈(TOPAZ)를 활용한 사격 임무를 수행했다. 병사들은 목표 유형과 좌표 정보를 받은 후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을 입력하는 과정을 훈련했다. 실제 발사 없이 로켓 컨테이너 장전과 탈거 과정을 정해진 시간 내 수행하는 훈련을 진행했다. 호마르-K를 운용하는 군인들은 작년 10월 한국을 방문해 이용 방법을 익히고 강도 높은 훈련을 수료했다. 이론과 실기 시험을 통과해 선별된 소수의 인원만 호마르-K를 운용할 자격을 부여받는다. 이들은 한국에서 교육을 받은 후 자체적인 훈련을 거쳐 지휘통제 시스템을 활용한 사격, 로켓 장전 및 해체 작업, 전술
[더구루=정등용 기자] 보잉이 무인항공기 자회사 인시투(Insitu)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핵심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블룸버그는 "보잉이 인시투 매각을 추진하기 위해 고문을 영입하는 등 사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비핵심 자산을 정리하고 상업 및 방위 사업에 집중하려는 보잉의 광범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보잉은 그동안 현금 흐름을 늘리고 부채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잠수함 사업 매각에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제프리스(Jefferies)의 애널리스트들은 "인시투의 기업 가치가 약 5억 달러(약 72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사모펀드 등이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보잉은 지난 2008년 인시투를 인수했다. 이후 인시투는 스캔이글 감시 시스템을 포함한 드론을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납품했다. 인시투는 지난 2021년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에 참가해 대한항공과 전술급 수직이착륙형 무인기 기술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판 '아이언 돔' 개발이 본궤도에 올랐다. 미 우주군이 아이언 돔 개발 사업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포부를 내비치며 내부 팀을 꾸렸다. 기술·비용 등을 분석하고 수주 안에 보고서를 작성해 국방부에 전달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일 스페이스뉴스와 디펜스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브래들리 챈스 솔츠먼 미국 우주군 참모총장(대장)은 지난달 24일(현지시간) 기자간담회에서 "우주군은 아이언 돔 개발에 중심 역할을 할 것"이라며 "통합계획팀(IPT)을 설립했다"고 밝혔다. IPT는 아이언 돔에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 평가하고, 기술적 타당성을 수행한다. 사업비를 추정하고, 보다 발전된 방어 시스템을 위한 설계 요구 사항도 분석한다. 수주 안에 초기 분석을 마무리해 국방부에 공유할 예정이다. IPT의 보고서는 미 우주사령부와 국가정찰국, 미사일 방어국에서 진행 중인 분석과 함께 다음 단계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쓰일 전망이다. 아이언 돔 개발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국방 정책 중 하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미국을 위한 아이언 돔(The Iron Dome for America)'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60일 이내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가 신형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했다. 샤오미는 신형 AR 스마트 글래스를 30만대 이상 출하해 메타 레이벤 스마트 글래스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를 공개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했다.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 당일 매진됐다. 정식 출시가(1199위안, 약 24만원)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 매진 이유라는 분석이다.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는 샤오미에서 자체 개발한 미지아 글래스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은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프레임이 더 얇아져 템플(안경 다리)의 두께가 5밀리미터(mm)에 불과하다. 무게는 27.6g이다.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 1년간 개발한 힌지를 적용했다. 샤오미는 해당 힌지가 1만5000번을 굽혔다 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프레임 옵션은 총 5가지 스타일이 제공되며 압력을 분산시키는 디자인을 적용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적용된 4개 마이크가 장착돼 통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