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라인게임즈 모바일 역할수행게임(RPG)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의 대만 서비스 사전등록이 진행된다. 대만 퍼블리싱을 담당한 VNG게임즈는 개발자들의 게임 소개 영상을 올리는 등 홍보에 나서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VNG게임즈는 14일(현지시간)부터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의 사전 등록을 개시했다. 21일에는 게임 프로듀서들이 게임 콘셉트를 설명하는 영상을 게재하기도 했다.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는 인기 시뮬레이션역할수행게임(SRPG)이었던 창세기전의 모바일 버전이다. 창세기전 시리즈의 전통을 이어나가면서 모바일 플랫폼에 최적화된 요소를 추가해 개발됐다. 라인게임즈의 자회사인 미어캣게임즈가 개발했으며 국내 퍼블리싱은 라인게임즈가 담당하고 있다.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은 워체스 형태의 전투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이용자는 지형, 날씨 변화 등까지 고려해 전략적 전투를 펼칠 수 있다. 프로듀서 설명 영상에서 남기룡 디렉터는 "창세기전 모바일은 SRPG 장르로 캐릭터가 다양하고 상성이 존재해 전투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며 "방대한 스토리가 있는 만큼 차근차근 즐기며 감동적인 스토리를 감상할 수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의 10억 달러(약 1조4380억원)가 넘는 추가 투자를 유치한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의 다리오 아모데이(Dario Amodei) 최고경영자(CEO)가 조만간 AI가 인간 지능을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AI의 발전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도 전했다. [유료기사코드]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지난 21일(현지시간) 공개된 월스트리트 저널과의 인터뷰에서 "AI 모델이 2~3년 내에 거의 모든 면에서 인간의 능력을 능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정확히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2027년이 될지 모르겠다. 그보다 길어질 수도 있다"며 "AI 시스템이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인간보다 더 나은 능력을 갖추게 되면 그보다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여동생인 대니엘라 아모데이(Daniela Amodei) 및 5명의 오픈AI 출신 직원들과 함께 2021년 앤트로픽을 설립했다. 앤트로픽은 대화형 AI 모델 중 처음으로 멘사 IQ 테스트에서 IQ 100을 넘은 클로드 3를 개발하는 등 오픈AI의 경
[더구루=홍성환 기자] '유럽판 오픈AI'로 불리는 프랑스 생성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미스트랄AI(Mistral AI)가 기업공개(IPO) 청사진을 공개했다. [유료기사코드] 아르튀르 멘슈 미스트랄AI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21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에 참석해 진행한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에서 "회사 매각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며 IPO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업계 안팎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스트랄AI를 인수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다. 앞서 마이크로소프트는 작년 2월 미스트랄AI에 1500만 유로(약 220억원)를 투자하며 소수 지분을 확보한 바 있다. 멘슈는 또 "싱가포르에 사무실을 열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진출할 계획"이라며 "아울러 유럽과 미국에서도 입지를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스트랄AI는 지난 2023년 5월 구글 딥마인드 출신 아르튀르 멘슈가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AI 연구원 출신과 함께 설립한 생성형 AI 스타트업이다. 오픈 AI에 대한 유럽 대항마로 자리매김하며 현재 62억 달러(약 8조8900억원)의 기업 가치를 평가받았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텔의 차세대 중앙처리장치(CPU) '노바 레이크(Nova Lake)'가 순조롭게 개발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인텔은 노바 레이크를 앞세워 데스크톱 개인용컴퓨터(PC) CPU 시장 주요 지위를 되찾아 온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무역 데이터 플랫폼 NBD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9일(현지시간) 노바 레이크 I3 테스트 칩이 인도로 배송됐다.파트너사에 테스트용으로 보낸 것으로 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NBD 데이터 화물 설명에는 '(FOC ITEM)MICROPROCESSOR Nova Lake NVL GBC Test Chip I3 CPU(FOR R&D PURPOSE)(FOC ITEM)MICROPROCESSOR Nova Lake NVL GBC Test Chip I3 CPU'라고 적혀있다. FOC(Free Of Charge) ITEM은 '무료 제품'이라는 뜻이며 'MICROPROCESSOR(마이크로프로세서)', 'Test Chip(테스트 칩)'이라고 품목이 명시됐다. 또한 'FOR R&D PURPOSE'라는 내용을 통해 연구개발 목적인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노바 레이크는 데스크톱 CPU 애로우 레이크의 후속 버전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스마일게이트 김형남 해외 사업 개발 이사가 미국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기업 업서드 벤처스(Absurd Ventures, 이하 업서드)에 투자한 이유를 밝혔다. 스마일게이트는 업서드 벤처스와 함께 미국 등 서방 시장에서 영역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21일 게임 전문매체 게임비트에 따르면 김 이사는 업서드 벤처스 게임 총괄 그렉 보루드(Greg Borrud)와 함께 진행한 인터뷰에서 "권혁빈 최고비전책임자(CVO)와 댄 하우저 업서드 벤처스 최고경영자(CEO)가 만나 비전을 공유했다"며 "그 비전은 기억에 남는 지식재산권(IP)을 만드는 것이다. 재미있고 기억에 남으면서 세대를 거쳐 전수될 IP"라고 밝혔다. 스마일게이트는 지난달 4일 업서드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하고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스마일게이트는 전략적 투자를 통해 업서드에서 제작할 새로운 IP에 대한 파트너십 기회를 확보했다. 김 이사는 이어 "업서드는 그런 내러티브(Narrative, 서사) 스토리텔링에 대한 엄청난 경험이 있다"며 "스마일게이트는 그런 경험은 없지만 라이브 서비스 운영 경험이 있다. 우리의 관계에서 큰 잠재력과 무한한 가능성을 본다"고 말했다. 김형남 이사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기업 미디어텍이 새로운 플래그십 AP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생태계 스마트폰 AP 시장을 둔 퀄컴과 미디어텍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중국 IT 팁스터 디지털챗스테이션(Digital Chat Station, DCS)에 따르면 미디어텍은 3월 디멘시티 9400 플러스(Dimensity 9400+)를 출시할 예정이다. DCS는 웨이보를 통해 "디멘시티 9400 플러스가 탑재된 스마트폰을 만져봤다"며 "클럭이 3.7기가헤르츠(㎓)를 넘어서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DCS에 따르면 디멘시티 9400 플러스는 지난해 10월 출시된 디멘시티 9400의 오버클럭 모델로 싱글코어 성능이 좋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디멘시티 9400의 클럭은 3.62㎓다. 이전부터 디멘시티 9400 플러스가 출시될 것이라는 전망은 있어왔다. 지난해 5월 미디어텍인 디멘시티 9300에서 클럭을 높이고 인공지능(AI) 연산 성능을 높인 디멘시티 9300 플러스(Dimensity 9300+)를 출시한 바 있기 때문이다. 이에 올해도 2분기에 디멘시티 9400 플러스가 출시될 가능성이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프랑스의 로봇 스타트업 로보테(Robeauté)가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로보테는 확보한 자금을 기반으로 뇌수술용 마이크로 로봇 개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로보테는 시리즈 A 투자 라운드를 통해 2720만 유로(약 407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펀딩은 프루랄, 체리 벤처스, 킨드레드 벤처스가 공동으로 주도했으며 로컬글로브, 씽크헬스, APEX 벤처스가 투자자로 참여했다. 독일 의료기기 업체 브레인랩은 전략적 투자를 진행했다. 2017년 설립된 로보테는 파리에 본사를 두고 있는 마이크로 로봇 개발 스타트업이다. 로보테는 치료 장비가 도달하기 어려운 신체 뇌를 치료하기 위해 '쌀알' 크기의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 2021년부터 임상을 시작했다. 현재 로보테는 동물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로보테의 마이크로 로봇은 뇌를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타깃팅, 분자 전달, 전극 이식, 신경학적 치료 및 환자 데이터 수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로보테는 초기에는 마이크로 로봇을 조직 검사를 위한 샘플 수집에 사용하고, 추후 뇌 속 특정부위에 표적 약물을 전달하거나 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전극 이식 등에 사용한다는 목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 알리바바, 시놉시스가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네트워킹 표준 'NV링크(NVLink)'에 대항마인 'UA링크(Ultra Accelerator Link, UALink)' 컨소시엄 이사회에 진입했다. 엔비디아의 AI 하드웨어 부문 지배력에 대응하는 빅테크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UA링크 컨소시엄 프로모터 그룹에 따르면 애플, 알리바바, 시놉시스가 신규 참여한 UA링크 컨소시엄은 지난해 5월 엔비디아 NV링크 독주체제에 맞서겠다며 AMD, 휴렛패커드 엔터프라이즈, 브로드컴, 시스코, 구글, 인텔,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모여 설립했다. 10월에는 컨소시엄 법인화를 완료했으며 추가 회원 모집도 시작했다. 현재는 65개가 넘는 회사가 참여하고 있다. 엔비디아 NV링크는 2016년 공개된 기술로 다수의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하나의 장치처럼 연결할 수 있는 유선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NV링크를 활용하면 AI칩들 간의 데이터 전송이 빠르게 이뤄지면서 서버 자체가 하나의 AI칩처럼 작동하게된다. 이에 데이터센터 구축의 핵심 기술로 뽑히고 있으며 AMD, 브로드컴 등이 엔비
[더구루=홍성일 기자] AMD의 새로운 데스크톱 개인용컴퓨터(PC)용 보급형 중앙처리장치(CPU) 라이젠5 7400F가 중국에서 출시됐다. AMD는 가성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들을 공략, 보급형 PC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AMD는 중국에서 라이젠5 7400F의 판매를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사실은 IT팁스터 메가사이즈GPU(@Zed__Wang)를 통해 알려졌다. 라이젠5 7400의 중국 판매가는 849위안(약 17만원, 115달러)로, 한 단계 상위모델인 라이젠5 7500F이 아마존 등에서 165달러(약 24만원)에 판매되는 것에 비교하면 50달러 가량 저렴하다. AMD는 라이젠5 7400F를 전세계에 올 상반기 중으로 출시할 예정이며 국내에서도 10만원 중후반대에 판매가격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라이젠5 7400F는 젠4(Zen 4) 6코어, 12스레드 CPU와 6메가바이트(MB) L2캐시, 32MB L3 캐시가 장착됐다. AM5 소켓 메인보드, DDR5 메모리를 지원하며, 제품명 끝에 F가 붙은만큼 내장그래픽 카드는 장착되지 않았다. 라이젠5 7400F의 CPU는 TSMC 5나노미터(nm)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의 차세대 게이밍 그래픽카드 'RTX 50' 시리즈 출시가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애드 인 보드(add-in board, AIB) 파트너사들이 유럽 내 판매 가격을 공개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대만 AIB 업체인 기가바이트는 RTX 5080을 유럽에서 1299유로(약 195만원)부터 판매하기로 했다. 이는 엔비디아의 레퍼런스 제품에 책정된 999달러(약 145만원)보다 30% 이상 높은 가격이다. 가장 비싼 제품은 1699유로(약 255만원)이 책정됐다. 엔비디아는 기준이 되는 래퍼런스 그래픽카드를 제외하면 그래픽카드 완제품을 제작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그래픽카드 완제품 생산은 AIB 파트너사에서 담당한다. AIB 파트너사들은 엔비디아에서 그래픽카드의 두뇌가 되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칩셋을 공급받으며, 각 사가 보유한 냉각 기술, 소프트웨어 기술 등을 결합해 그래픽카드 완제품을 제작한다. 또한 같은 GPU를 기반으로 제품을 개발하더라도 적용된 냉각 솔루션, 오버클러킹, 디자인 요소 등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나눠 제품을 판매한다. 기가바이트 외에도 에이수스(ASUS) 등 타 AIB
◇파우누스 글로벌 반려동물 관련 블록체인 재단인 파우누스 글로벌이 발행하는 파우누스 코인(FNS)이 20일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마트'에 상장된다. 파우누스 글로벌은 공식 성명을 통해 글로벌 거래소 비트마트와 협상을 진행, 공식 상장을 허가받았다고 밝혔다. 파우누스 코인은 반려동물 산업에 인공지능(AI) 기술과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을 접목한 스마트 헬스케어 펫테크를 제공하는 파우누스 글로벌의 네이티브 토큰으로, 반려동물 유전자 정보를 제공하는 반려인에게 지급된다. 비트마트는 코인 시가총액 기준 거래소 순위 16위를 차지하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로,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총 1600여 종의 암호화폐 거래를 지원한다. 파우누스 코인이 상장되는 거래소 중 가장 큰 규모의 거래소가 될 예정이다. 파우누스 글로벌 측은 "비트마트가 제공하는 다양한 거래 옵션과 거래소가 갖는 비전에 동의해 비트마트 상장을 진행하게 됐다"며 "비트코인(BTC)이 다시 10만달러를 돌파하고 '암호화폐 붐'이 계속되는 가운데 파우누스 글로벌과 파우누스 코인도 커뮤니티의 지지를 얻기 위한 재단 활동을 펼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부산디지털자산
[더구루=홍성일 기자] 지난해 글로벌 전자상거래 애플리케이션(앱) 시장이 성장세를 이어나갔다. 글로벌 전자상거래 앱 시장 성장에는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테무(TEMU)의 적극적인 시장 확대 전략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8일 모바일 시장조사기관 센서타워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전자상거래 앱 다운로드는 전년대비 5.6% 증가한 65억회를 기록했다. 글로벌 전자상거래 앱 다운로드는 2019년 43억회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글로벌 전자상거래 앱 다운로드 성장세를 이끈 지역은 라틴아메리카, 동남아시아, 일본 등이다. 라틴아메리카의 경우 전년동기 대비 26%가 증가했으며 동남아시아와 일본은 20%가 증가했다. 이들 지역의 전자상거래 앱 다운로드가 늘어난 데에는 테무가 있었다는 분석이다. 테무는 지난해 6월 브라질 등 라틴 아메리카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8월에는 일본에서도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했다. 테무는 2024년 40개국 이상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1위를 기록했다. 테무의 2024년 누적 다운로드 건수만 9억회에 달한다. 테무 외에도 라틴아메리카의 경우 메르카도 리브레(Mercado Libre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