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네오배터리머티리얼즈(이하 네오배터리)가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탄소나노튜브(CNT) 기반 실리콘 음극재 개발에 속도를 낸다.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강화해 제품 상용 테스트 등에 착수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네오배터리머티리얼스(Neo Battery Materials, 이하 네오배터리)가 개발중인 실리콘 음극재 성능이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된다.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탄소나노튜브(CNT)를 사용해 실리콘 음극재 단점을 보완하고 상용화 준비에 박차를 가한다. 네오배터리는 13일(현지시간) CNT 소재 생산업체 '나노리알(Nanorial)' 과 비독점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네오배터리 실리콘 음극재 'NBMSiDE' 표면을 코팅하는 나노 재료로 나노리알의 CNT 기반 고성능 첨가제를 사용한다. 양사는 나노리알 CNT 첨가제를 적용한 NBMSiDE의 안전성과 성능을 최적화하는 작업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향후 NBMSiDE 대량 양산을 포함해 다양한 사업 기회도 함께 발굴한다. 네오배터리와 나노리알은 자금 조달 방안도 공동으로 모색한다. 캐나다 혁신과학경제개발부(ISED), 온타리오주정부 등의 재정 지원 프로그램을 신청할 계획이다. CNT는 탄소 기반 나노 물질로 전기와 열의 전도율이 구리 및 다이아몬드와 동일하면서 강도는 철의 100배에 달한다. 소량으로도 높은 전도율을 구현해 배터리 수명과 에너지밀도, 충전 속도 등을 향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이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한 걸음 다가섰다. 칭화대학교가 100kg급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성공하면서 1회 충전으로 최대 1000㎞를 주행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했다. 칭화대는 전고체 배터리 에너지 효율과 안전성을 대폭 향상, 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판도 변화가 예상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이 ASML의 심자외선(DUV) 노광 장비를 리버스 엔지니어링하려다 실패했다. 미국의 반도체 제재 속 반도체 독립을 시도하고 있는 중국이 노광장비 부문에서 난관에 부딪혔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