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넥소(Nexo)가 웹 3.0 생태계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약 1800억원 규모의 투자펀드를 조성했다. [유료기사코드]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넥소는 웹 3.0 생태계에 집중하는 투자·인수 펀드인 넥소벤처스를 출범시켰다. 넥소벤처스는 웹 3.0 관련 다양한 프로젝트와 이니셔티브에 투자해 블록체인 기술 개발과 채택을 가속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웹3.0은 컴퓨터가 시맨틱 웹 기술을 이용해 웹페이지에 담긴 내용을 이해하고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지능형 웹 기술을 말한다. 웹 3.0을 비롯해 △탈중앙화금융(디파이) △결제·거래 인프라 △컴플라이언스 솔루션 △메타버스·대체 불가능한 토큰(NFT)·블록체인 기반 게임파이 등 5개 주요 투자 분야에 중점을 둔 예정이다. 넥소의 재무·투자 책임자인 타티아나 메토디에바가 투자펀드를 이끈다. 메토디에바는 "우리의 임무는 암호화폐 분야의 혁명을 이끌 기업가를 발굴하는 것"이라며 "우선 순위를 정해 글로벌 시장에서 넥소의 제품 생태계와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강조했다. 넥소는 넥소벤처스 설립에 앞서 사내 투자팀을 통해 1인치 네트워크·일드 프로토콜·큐레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선물거래소 백트(Bakkt)가 금융권의 미래 신사업으로 주목받는 '가상자산 커스터디(수탁)' 사업 확장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백트와 세계적인 암호화폐 대출업체 넥소(Nexo)는 19일(현지시간)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자산 수탁 서비스와 관련해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백트는 자사의 가상자산 커스터디 서비스인 '백트 웨어하우스'에 넥소가 보유 중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자산을 보관·관리한다. 백트 웨어하우스는 온라인과 에어갭(Air-Gapped·망분리) 오프라인 가상자산 스토리지로 구성된다. 커스터디는 암호화폐를 포함한 가상자산을 보관·관리해주는 수탁 서비스다. 최근 암호화폐 뿐만 아니라 미술품, 음악 등을 기반으로 하는 대체불가능한토큰(NTF) 등이 활성화하면서 성장 잠재력이 충분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미래에셋 등 국내 금융사들도 이 시장에 주목하고 앞다퉈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댄 오프레이 백트 암호화폐 부문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암호화폐 시장이 빠른 속도로 확장하면서 유명 기업들이 가상자산 수탁을 다변화하고 있다"며 "파트너십을 구
[더구루=홍성일 기자] 머리카락처럼 생긴 뇌전도(EEG) 전극이 개발됐다. 연구팀은 해당 전극을 활용하면 장시간 뇌 활동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팀은 24시 이상 연속 착용이 가능한 EEG 전극을 개발했다. 연구 내용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생체공학 분야 저널 'npj 바이오메디컬 이노베이션(npj Biomedical Innovations)'에 소개됐다. EEG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로 간질은 물론 수면 장애, 뇌 손상과 같은 질환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보통 EEG는 여러 개의 전극을 두피에 붙여 뇌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장기간 뇌파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 젤로 두피에 붙도록 만들어진 금속 전극을 활용한다. 문제는 젤이 마르거나 하는 경우 제대로 측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3D 프린팅이 가능한 생체 접착 잉크로 EEG 전극을 만들었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이 개발한 EEG 전극은 머리카락 굵기의 안테나 부분에 조그마한 점처럼 생긴 부분이 붙어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영화와 TV 시리즈 제작사를 신설했다. 구글은 영화와 TV시리즈를 앞세워 자사 제품의 이미지를 변화시킨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콘텐츠 제작사인 레인지 미디어 파트너스(Range Media Partners)와 다년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100제로스(100 Zeros)라는 새로운 영화·TV 제작사를 출범시켰다. 100제로스는 향후 구글이 투자하거나 자체 제작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굴하는 일을 담당한다. 구글의 100제로스 설립은 애플의 마케팅 전략을 벤치마킹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수년간 자체 OTT인 '애플 TV 플러스'를 통해 아이폰과 맥, 에어팟 등을 꾸준히 노출해왔다. 이를 통해 애플 제품에 대한 호감도와 가치를 높여왔다. 향후 구글도 100제로스가 제작하는 콘텐츠를 통해 자사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노출시켜 브랜드 가치와 호감도를 높일 것으로 분석된다. 구글과 애플의 차이점도 존재한다. 애플이 자체 OTT를 활용한 것과 다르게 구글은 넷플릭스와 디즈니 플러스 등 OTT업체와 파트너십을 맺고 콘텐츠를 배포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구글은 유튜브에서도 영화 등을 배포하지 않는다. 업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