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메디톡스 협력사 미국 바이오업체 다이아딕 인터내셔널(Dyadic International·이하 다이아딕)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이 이르면 올해 연말 인도 시장에 출시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에피젠은 인도 생명공학부(Department of Biotechnology)로부터 미래에 출현할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개발하는 중인 RBD 기반 백신의 임상 1상과 임상 2상을 시작하기 위한 자금을 조달했다. 에피젠은 생산성이 높은 C1 세포 단백질 생산 플랫폼을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에피젠은 유럽연합 ZAPI(동물원성 감염 예측 및 대비 이니셔티브)의 과학자들이 해당 플랫폼의 성능을 입증했다고 전했다. 에피젠은 다이아딕으로부터 C1 세포 단백질 생산 플랫폼에 대한 라이센스를 획득했다. 이스라엘 생물학 연구소(IIBR)와 협력해 생산성이 뛰어난 C1 코로나19 바이러스 RBD 세포주를 개발하기 위해서다. 에피젠과 다이아딕은 지난 2020년 10월 다이아딕의 C1-RBD 기반 항체 코로나19 백신을 인도에서 생산하기 위한 협력하기로 했다. 면역원성 반응을 평가한 전임상 시험에서는 매우 높은 역가(
[더구루=김다정 기자] 다이아딕 인터내셔널(Dyadic International)이 치료 단백질 제조를 위해 얀센과 손을 잡았다. [유료기사코드]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다이딕은 최근 존슨앤존슨의 자회사 얀센의 계열사인 얀센 바이오텍과 연구·라이선스·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계약은 존슨앤존슨 이노베이션에 의해 촉진됐다. 이번 계약으로 얀센은 디아딕의 C1 플랫폼을 이용해 얀센의 단클론항체 생산을 위한 예비(타당성)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다이아딕은 얀센의 C1 플랫폼 사용 대가로 50만 달러의 선불금을 받게 된다. 얀센은 특정한 표적 1개를 겨냥한 치료용 단백질 제조용 C1 플랫폼 사용을 위해 다이아딕에 독점 라이선스 대가로 수백만 달러를 지급할 옵션이 있다. 또 얀센은 후보를 위한 C1 생산 세포주를 평가하기 위해 최대 1800만 달러의 R&D 자금을 제공한다. 약물 개발에 성공할 경우 얀센은 다이아딕이 C1 플랫폼 기술 이전을 완료함으로써 C1 배양세포를 내부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성공적으로 기술 이전이 완료될 경우 Dyadic은 수백만 달러 규모의 기술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다이아딕은 신약 후보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소렌토 테라퓨틱스(이하 소렌토)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을 확인했다. 보편적인 백신은 물론 추후 부스터 샷(추가접종) 역할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소렌토와 다이아딕 인터내셔널(이하 다이아딕)은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 변종 감염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다이아100(DYAI-100)'의 면역 반응 및 보호 효과를 조사한 전임상 시험의 데이터를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에 공개했다. 다이아100은 다이아딕의 단백질 생산 플랫폼 C1을 활용해 개발한 백신 후보물질이다. 소렌토와 다이아딕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다이아100을 포함해 C1 기술에 대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백신·치료제 개발 및 상업화에 협력키로 했다. <본보 2021년 8월 18일 참고 '유한양행 투자' 소렌토, 다이아딕과 'C1' 독점 라이선스 계약> 연구진은 쥐와 원숭이에 다이아100 접종을 실시했다. 인산알루미늄 보조제와 함께 근육 내 투여되는 재조합 스파이크 수용체 결합도메인(RBD, R
[더구루=김다정 기자] 미국 소렌토 테라퓨틱스가 차세대 백신 기술로 주목받는 단백질 생산 플랫폼 ‘C1’ 기술을 보유한 바이오 기업 다이아딕 인터내셔널 (Dyadic International)과 손을 잡았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백신·치료제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해 다이아딕의 백신후보 물질과 기술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소렌토는 지난 11일(현지시간) 다이아딕과 C1 단백질 생산 플랫폼을 사용해 생산된 주요 코로나19 백신 후보인 'DYAI-100'을 포함해 C1 기술에 대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소렌토는 북미·남미, 유럽, 중국과 일본을 포함한 주요 아시아 국가 등에서 C1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독점권을 획득했다. 이에 대한 대가로 다이아딕에 1000만 달러 선지급(현금 500만 달러, 소렌토 주식 500만 달러)을 지급하고 향후 △DYAI-100 R&D 비용 일부 상환(최대 400만 달러) △마일스톤 및 로열티 등을 지불할 것으로 예상된다. 헨리 지 쏘렌토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6개월 동안 우리는 다이아딕의 주요 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을 이용해 몇 가지 유망한 전임상 동물 연구를 수행했다"며 "델타 변이를 포함해 우려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메모리 반도체 전문기업 브이컬러 테크놀로지(V-Color Technology, 이하 브이컬러)가 '업계 최초' 64기가바이트(GB) 메모리 키트를 출시했다. 브이컬러는 신형 메모리 키트를 앞세워 고사양 컴퓨터가 필요한 전문가 컴퓨터 시장을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1일 브이컬러에 따르면 브이컬러 64GB DDR5 CUDIMM 메모리 키트는 32GB 메모리 2개로 구성됐다.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와 Z890 메인보드에 최적화됐다. 올 2분기 중 글로벌 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다. 이 제품은 CUDIMM 기반으로 개발돼 전송 속도가 9000MT/s(초당 메가트랜스퍼)에 달한다. 전문 콘텐츠 제작과 게임, 고해상도 렌더링, 고급 멀티태스킹 등 까다로운 작업에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CUDIMM은 클럭을 최적화하는 클럭 드라이버 칩(Clock Driver IC, CKD)을 메모리 모듈에 내장하는 기술로, 신호 무결성을 강화해 고속 전송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한다. 브이컬러는 64GB DDR5 CUDIMM 메모리 키트에 RGB 조명과 하얀색 방열판을 적용, 디자인 만족도도 높였다. 브이컬러 관계자는 "64GB DDR5 CUDIMM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방산기업 록히드마틴이 메타에 이어 구글과도 인공지능(AI) 부문에서 협력한다. 록히드마틴은 구글의 AI 기술을 도입해 국가안보·항공우주 분야에 특화된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1일 록히드마틴에 따르면 구글 공공부문 자회사 '구글 퍼블릭 섹터(Google Public Sector)'와 파트너십을 맺고, 록히드마틴 'AI팩토리(AI Factory)' 생태계에 구글 클라우드 AI 플랫폼 '버텍스 AI(Vertex AI)'를 통합한다. 록히드마틴의 AI팩토리는 다양한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방산·항공우주 등 국가안보 분야 제품에 특화된 AI를 개발하는 플랫폼이다. 앞서 록히드마틴은 지난해 11월 메타와 계약을 맺고 AI팩토리에 생성형 AI 모델인 라마(Llama)를 도입하기도 했다. 버텍스 AI는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전용 AI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필요한 개발 툴을 모아둔 플랫폼이다. 록히드마틴은 버텍스 AI를 AI팩토리와 통합해 △실시간 의사 결정 △항공우주 유지보수 예측 △엔지니어링 최적화 설계 등이 가능한 AI솔루션을 개발, 국가안보·항공우주 분야 역량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록히드마틴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