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유럽 페배터리 재활용 시설 투자가 활발하다. 재활용 설비는 3년 사이 세 배 이상 증가했다. 연간 16만t인 용량은 2025년 40만t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2일 코트라 브뤼쉘무역관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의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설비는 올해 말 기준 총 37개다. 2020년 13개 대비 3배 가까이 늘었다. 설비 용량은 연간 16만t으로 향후 16개 시설이 추가되면서 2025년까지 40만t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 유럽에 진출한 재활용 기업은 70%가 현지 회사다. 아시아는 16%, 미주는 14%다. 한국의 성일하이텍, 미국 레드우드머티리얼즈가 대표적인 해외 기업이다. 규모로 보면 독일 토제로 리사이클링과 실립 등 스타트업들도 있다. 호주 배터리 소재·재활용 기업 리튬 오스트레일리아의 사이먼 린지 대표는 "배터리 재활용은 완전히 새로운 시장"이라며 "새 기업이 5~10년 후 핵심 플레이어로 성장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재활용 기업들은 대부분 휴대전화와 노트북용 배터리 생산 시 발생하는 스크랩을 활용하고 있다. 아직 전기차에서 나오는 폐배터리가 없어서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는 2025년까지 스크랩이 재활용 원료의 53%를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온이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밴처캐피털(VC)로부터 세 번째로 많은 자금을 확보한 배터리 기업에 뽑혔다. 5일 미국 리서치 기관 머콤 캐피탈 그룹(Mercom Capital Group)에 따르면 SK온은 올해 1~3분기 기준 VC로부터 가장 많은 자금을 조달한 배터리 관련 기업 3위에 올랐다. 투자 유치액은 9억4400만 달러(약 1조2600억원)로 추정된다. SK온은 설비 투자를 강화하고자 실탄 충전에 힘썼다. SK온은 중대형 전지 생산능력을 2021년 말 22.5GWh에서 이듬해 말 71.7GWh까지 늘렸다. 2025년까지 220GWh 이상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겠다는 포부다. 미국 포드와 테네시주에 1개, 켄터키주에 2개 공장을 짓고 있고, 현대자동차 그룹과도 조지아주에 배터리 합작공장을 추진한다. 헝가리 이반차에도 30GWh 규모의 3공장을 설립해 가동을 목전에 뒀다. 국내에서도 서산 3공장 증설에 1조5000억원을 투입하며 신·증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온과 함께 배터리 기업 중에서는 프랑스 스타트업 베르코어(Verkor)가 4위, 중국 히튬(Hithium)이 5위를 차지했다. 양사 모두 시리즈C 투자 라운드를 통해 투자
[더구루=오소영 기자] 아메리칸 배터리 테크놀로지와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 등 미국 주요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들이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미국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폐배터리 산업의 고성장이 예상된다. 22일 코트라 실리콘밸리무역관에 따르면 아메리칸 배터리 테크놀로지는 네바다주 펀리 소재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공장의 시범 운영에 돌입했다. 미국 에너지부(DOE)의 보조금에 힘입어 차세대 고급 재활용 기술을 시연하고 2027년까지 추가 공장 3곳을 더 지어 연간 폐배터리 처리 용량을 32만t으로 늘릴 계획이다. 아쿠아 메탈즈도 지난달 폐배터리에서 주요 금속을 추출하는 재활용 공장 가동을 시작했다. 오는 1분기부터 재활용으로 얻은 금속 재료를 판매할 예정이다. 레드우드는 테슬라와 포드, 토요타, 닛산 등과 협력해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하고 있다. 지난달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35억 달러(약 4조3300억원)를 투자해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도 짓겠다고 발표했다. 연간 100GWh의 배터리에 들어가는 양·음극재 원료를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한다. 업계는 향후 폐배터리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레드우드의 창업자
[더구루=정예린 기자] 폭스바겐이 전기차 사업 필수 요소로 자리잡은 배터리 재활용을 본격화하기 위해 미국 '레드우드 머리티얼즈(이하 레드우드)'와 손잡는다.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의 역할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선도 기업이 레드우드를 향한 러브콜이 잇따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레드우드는 폭스바겐 그룹 미국법인과 수명이 다한 폭스바겐·아우디의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1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미국 내 수천 곳의 대리점에서 배터리팩을 회수한 뒤 레드우드가 금속을 추출, 폭스바겐의 현지 배터리 제조 파트너사에 보낸다. 레드우드는 네바다주 북부 카슨시티에 위치한 공장에서 수명이 다한 폭스바겐의 배터리를 처리할 예정이다. 니켈, 코발트, 리튬, 구리 등 배터리에서 발견되는 금속의 95% 이상을 회수한다. 파나소닉 등 미국 내 폭스바겐의 배터리 파트너사가 이를 받아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음극재 등을 생산한다. 폭스바겐의 북미 전기차 생산 허브인 테네시주 소재 채터누가 공장 내 배터리 엔지니어링 랩 등 연구 시설에도 보내져 배터리 프로토타입 개발에도 쓰일 전망이다. 레드우드는 테슬라 공동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를 지낸 J.B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가 연간 약 6GWh 규모의 폐배터리를 재활용해 양극·음극재를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기차 시장 확대로 폐기되는 배터리가 늘어나면서 레드우드의 생산능력도 확대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J.B. 스트로벨 레드우드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상원 에너지·천연자원위원회가 지난 7일(현지시간) 개최한 조 바이든 행정부의 핵심 광물 확보를 위한 국방물자생산법(DPA) 발동 명령 관련 청문회에 참석해 사업 현황을 공유했다. 수명이 다한 리튬이온배터리 6GWh는 2MT 규모의 소재로 재탄생한다. 연간 약 6~8만 대의 전기차에 쓰일 수 있는 수준이다. 테슬라향 배터리를 생산하는 파나소닉 등에 공급하고 있다. <본보 2022년 1월 25일 참고 美 레드우드, 동박 생산 임박…테슬라용 배터리 탑재> 레드우드는 소비자 전자기기, 전기차, ESS(에너지저장시스템) 폐배터리에 함유돼 있는 니켈, 코발트, 리튬, 구리 등 다양한 금속의 95%를 회수한다. 현재 북미에서 수거되는 리튬이온배터리의 대부분이 레드우드를 통해 재활용되고 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레드우드는 네바다주
[더구루=정등용 기자] 전기차 업체 리비안이 정부 대출 지원에 따른 대가로 노동조합의 지배를 받을 것이란 분석이 제기됐다. 특히 행정부 교체로 대출 지원의 불확실성도 높아져 악재가 겹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월스트리트저널은 25일(현지시간) 리비안이 66억 달러(약 9조2000억원) 대출 지원의 대가로 노조의 지배를 받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리비안은 지난달 조지아주 전기차 생산 공장 건설을 위해 미국 에너지부로부터 최대 66억 달러의 조건부 대출을 승인 받았다. 다만 리비안은 대출 조건의 일환으로 조지아 공장에서의 노조 결성 노력을 적극적으로 반대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9월 최초의 단체 협약과 자발적 노조 인정, 고용주의 중립성을 촉진하기 위한 협약을 통해 긍정적인 노사 관계를 촉진하는 프로젝트의 우선 순위를 정하도록 기관에 지시한 바 있다. 리비안은 현재 직원 조직화를 원하는 전미자동차노조(UAW)와 갈등을 빚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리비안은 일리노이주 공장의 노조 조직화 노력에 반대하지 않기로 약속하는 이른바 ‘중립 협약’을 전미자동차노조와 맺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계약은 회사가 특정 수익성 및 기타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효율부(DOGE) 공동 수장으로 지명된 비벡 라마스와미 로이반트사이언시스 창업자가 '비트코인 빚투'로 유명한 미국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체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의 채권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가상자산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라마스와미가 설립한 자산운용사 스트라이브(Strive)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전환사채에 투자하는 ETF 상장을 신청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전 세계에서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기업이다. 이 회사의 공동 창업자 마이클 세일러 회장은 인플레이션 헤지(위험 분산) 수단으로 2020년부터 비트코인을 매수해 왔다. 처음엔 회사 운영자금으로 사들였고, 이후에는 주식이나 전환사채를 발행한 돈으로 비트코인을 적극 사들였다. 현재 비트코인 보유량은 44만4262개에 이른다. 보유 가치는 암호화폐 시황 사이트 코인마켓캡 기준 이날 오전 8시 현재가(약 9만6000달러)를 반영하면 426억5000만 달러(약 62조6600억원)에 달한다. 한편, 비벡 라마스와미는 인도계 이민자 2세로 바이오테크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