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쇼와덴코의 자회사 한국소화화학품(Korea Showa Chemicals Co.,이하 KSC)이 반도체용 특수가스 공장 내 저장시설을 증설했다. 저장용량을 2배 늘리고 전 세계 반도체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아시아 시장을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KSC는 경기도 안성시 제2산업단지에 위치한 특수가스 공장을 확장하겠다고 지난 5일 밝혔다. 사옥을 다시 짓고 2007년에 구축한 저장시설을 2배가량 증축했다. 향후 저장용량을 2배로 확대하기 위해 증설을 지속할 계획이다. 쇼와덴코는 2006년 8월 KSC를 세우고 한국에 진출했다. 15억원을 투자해 이듬해 2월 공장을 완공하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을 상대로 판매에 돌입했다. 추가 투자를 통해 안성 사업장을 키우고 한국을 포함해 아시아 고객들의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반도체는 자동차와 스마트폰, PC, 데이터센터 등에 쓰이며 국가적으로 중요한 전략물자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컨설팅 업체 맥킨지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 규모가 2030년 1조 달러(약 1380조원)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글로벌 시장의 패권은 아시아가 쥐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쇼와덴코머티리얼즈가 일본·대만에 200억엔(약 2000억원)을 쏟아 반도체 연마 재료인 'CMP 슬러리' 생산라인 신·증설에 나선다. 첨단 반도체 수요가 견인하는 CMP 슬러리 시장 성장에 대응하려는 포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쇼와덴코머티리얼즈는 대만 타이난과 일본 이바라키현 공장 내 CMP 슬러리 생산라인을 증설한다. 각각 내년 1월, 2024년부터 양산을 시작한다. 일본에 2025년 가동을 목표로 신공장 건설도 모색한다. 신·증설에 쓸 비용은 약 200억엔이다. 쇼와덴코머티리얼즈는 이번 투자를 통해 CMP 슬러리 생산량을 20% 늘리고 반도체 업계의 수요를 충족할 계획이다. CMP 슬러리는 반도체 웨이퍼 표면을 평탄화하는 데 쓰이는 액체다. 웨이퍼와 CMP 패드 사이에 CMP 소재를 넣고 회전시키면 거친 표면이 깎아지고 화학 반응이 일어난다. 반도체 정밀도를 높이려면 평탄화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CMP 슬러리 시장은 고성능 반도체 수요 증가와 맞물려 성장하고 있다. 반도체 업황은 하반기부터 둔화되고 있지만 적층 증가와 공정 미세화로 CMP 슬러리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강세다. 시장조사업체 QY리서치는 세계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자동차, 로보틱스, 재생에너지의 발전이 질화갈륨(Gan) 전력 장치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전망됐다. 이들 산업이 요구하는 고성능, 고효율, 소형화라는 과제를 해결할 소재로 질화갈륨이 주목받으면서, 관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글로벌 질화갈륨 전력 장치 시장은 2024년 3억9000만 달러(약 5390억원)에서 2030년 35억1000만 달러(약 4조8500억원)로 9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기간 연평균 성장률(CAGR)은 44%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질화갈륨은 실리콘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한 제품이다. 질화갈륨 반도체는 실리콘 반도체 대비 내구성이 우수해 고온·고전압을 견딜 수 있다. 에너지 변환 효율도 높아 소형화에 유리하다. 실제로 실리콘 반도체와 비교해 같은 성능의 반도체 크기를 3분의 1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질화갈륨 반도체는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데이터센터, 로봇 분야 등에서 발생하는 고성능 전력 부품 수요에 적합한 차세대 소재로 꼽히고 있다. 질화갈륨 전력 장치 시장 성장의 가장 강력한 동력은 AI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이 차세대 원자력 발전 건설 속도를 높이기 위해 원전 규제 개편에 착수한다. 원자력 프로젝트 승인 속도를 높이고 지나치게 느리고 복잡한 시스템을 개편해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한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 원자력규제청(ONR)은 원전 규제 관련 문제점을 인정하며 관행 개선에 나선다. ONR은 업계 이해 관계자들과 협의를 거쳐 올 연말까지 최종 권고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권고안은 규정을 간소화하고, 절차를 현대화하며, 높은 안전 기준을 유지하는 동시에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규제 개편은 행정 규제 비용을 25% 감축하고, 현재 허가된 8개 부지 외에도 잉글랜드와 웨일즈 전역에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허용하는 완화된 정부 개혁도 포함된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지난 2월 장기 국가계획으로 원전 규제를 대폭 완화하겠다며 8개로 제한됐던 원전 부지 제한 규정을 폐지했다. 마이크 피너티 ONR 최고경영자(CEO)는 "규제 개편을 위해 그룹과 지속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원자력 부문 성장을 방해하는 규제 관련 과제를 인정하고 관행을 개선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ONR이 원전 규제 개편에 나서는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