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유럽계 큰손 투자자가 캐나다 제약사 오리니아 파마슈티컬스(Aurinia Pharmaceuticals) 경영진에 회사 매각 추진을 요구했다. [유료기사코드] 9일 영국 경제 블로그 베타빌(Betaville)에 따르면 스위스에 기반을 둔 행동주의 사모펀드 MKT택티컬펀드(MKT Tactical Fund)는 오리니아 이사회 측에 회사 매각을 진행할 투자은행(IB)을 선임할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이 펀드는 오리니아의 지분을 5% 이하 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작년 하반기부터 업계 안팎에서 오리니아 인수설이 계속 거론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앞서 지난해 10월 미국 대형 제약사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이 오리니아 인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온 바 있다. 이어 올해 초에는 미국 제약사 바이오젠이 오리니아 인수에 관심이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영국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도 인수 후보로 거론됐다. <본보 2021년 10월 25일자 참고 :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 '일진 투자' 오리니아 인수 추진> 오리니아는 경구용 루푸스신염 치료제 '루프키니스'를 개발하고 있는 회사다. 2010년부터 투자를 시작해 11년 만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월가의 헤지펀드들이 일진그룹이 투자한 캐나다 소재 제약사 오리니아 파마슈티컬스에 대한 비중을 늘렸다. 이 회사가 개발한 루푸스신염 치료제가 미국 시장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유통을 시작하면서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미국 투자전문매체 인사이더몽키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27개 헤지펀드가 오리니아 주식을 투자 포트폴리오에 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4분기 말 24곳에서 3곳이 늘었다. 의료 전문 헤지펀드 오비메드어드바이저는 헤지펀드들 가운데 가장 많은 7880만 달러(약 910억원)어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킹돈캐피탈이 2270만 달러(약 260억원) 규모로 뒤를 이었다. 또 시타델인베스트먼트, 베이커브로어드바이저, 헬스코르매니지먼트, 블랙클레인캐피탈, 프로사이트캐피탈 등도 이 회사 주식에 투자했다. 인사이더몽키는 "오리니아는 헤지펀드에게 가장 인기 있는 주식은 아니지만 평균 이상의 관심을 받고 있다"면서 "이는 향후 주가 움직임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오리니아는 미국 나스닥과 캐나다 토론토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제약사다. 일진그룹은 지난 2010년부터 투자해 현재
[더구루=홍성일 기자] 머리카락처럼 생긴 뇌전도(EEG) 전극이 개발됐다. 연구팀은 해당 전극을 활용하면 장시간 뇌 활동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팀은 24시 이상 연속 착용이 가능한 EEG 전극을 개발했다. 연구 내용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생체공학 분야 저널 'npj 바이오메디컬 이노베이션(npj Biomedical Innovations)'에 소개됐다. EEG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로 간질은 물론 수면 장애, 뇌 손상과 같은 질환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보통 EEG는 여러 개의 전극을 두피에 붙여 뇌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장기간 뇌파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 젤로 두피에 붙도록 만들어진 금속 전극을 활용한다. 문제는 젤이 마르거나 하는 경우 제대로 측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3D 프린팅이 가능한 생체 접착 잉크로 EEG 전극을 만들었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이 개발한 EEG 전극은 머리카락 굵기의 안테나 부분에 조그마한 점처럼 생긴 부분이 붙어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영화와 TV 시리즈 제작사를 신설했다. 구글은 영화와 TV시리즈를 앞세워 자사 제품의 이미지를 변화시킨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콘텐츠 제작사인 레인지 미디어 파트너스(Range Media Partners)와 다년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100제로스(100 Zeros)라는 새로운 영화·TV 제작사를 출범시켰다. 100제로스는 향후 구글이 투자하거나 자체 제작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굴하는 일을 담당한다. 구글의 100제로스 설립은 애플의 마케팅 전략을 벤치마킹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수년간 자체 OTT인 '애플 TV 플러스'를 통해 아이폰과 맥, 에어팟 등을 꾸준히 노출해왔다. 이를 통해 애플 제품에 대한 호감도와 가치를 높여왔다. 향후 구글도 100제로스가 제작하는 콘텐츠를 통해 자사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노출시켜 브랜드 가치와 호감도를 높일 것으로 분석된다. 구글과 애플의 차이점도 존재한다. 애플이 자체 OTT를 활용한 것과 다르게 구글은 넷플릭스와 디즈니 플러스 등 OTT업체와 파트너십을 맺고 콘텐츠를 배포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구글은 유튜브에서도 영화 등을 배포하지 않는다. 업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