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금융 기업 홍콩상하이은행(HSBC)이 홍콩 은행 중 최초로 가상자산(암호화폐, 가상화폐) 상장지수펀드(ETF) 거래 서비스를 시작한다. 미국과 캐나다 등 일부 국가에선 이미 암호화폐 ETF 상장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홍콩이 새로운 암호화폐 시장으로 급부상할지 주목된다. HSBC는 28일 개인투자자를 상대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선물 상장지수펀드(ETF) 거래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HSBC는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CSOP 비트코인 선물 ETF, CSOP 이더리움 선물 ETF, 삼성 비트코인 선물 액티브 ETF를 개인투자자들이 투자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중개할 예정이다. HSBC는 암호화폐에 대한 현지 투자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이번 서비스를 시작하게 됐다. HSBC는 지난해 3월 기준 170만 명의 활성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모든 소매 거래의 약 95%가 온라인으로 처리되고 있다.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HSBC는 가상자산 투자자 교육 센터도 출범시켰다. 교육 센터는 투자자가 투자하기 전 교육 자료와 위험 공시에 접근하도록 해 암호화폐와 관련된 위험으로부터 보호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HSBC 홍콩 이지
[더구루=정등용 기자] 가상자산(암호화폐, 가상화폐) 시장 약세를 뜻하는 크립토 윈터(Crypto Winter)가 지속되면서 암호화폐 관련 상장지수펀드(EFT)의 상장 폐지가 속출한다. 다만 일각에선 크립토 윈터가 내년이면 끝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금이 투자 적기라는 분석도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호주 시장에 출시된 암호화폐 ETF들은 올해 저조한 성과로 인해 상장 폐지 위기에 몰렸다. 대표적인 것이 코스모스자산운용이 출시한 상품들로 △코스모스 퍼포즈 비트코인 액세스 ETF △코스모스 퍼포즈 이더리움 액세스 ETF △코스모스 글로벌 디지털 마이너스 액세스 ETF 등이 포함된다. 코스모스자산운용은 호주에서 최초로 암호화폐 ETF를 출시하면서 업계 선두 주자로 떠올랐다. 하지만 최근 1년 동안 전체 암호화폐 시장 규모가 2조 달러(약 1800조 원) 이상 줄어들면서 직격탄을 맞았다. 댄 아난 코스모스자산운용 최고경영자(CEO)는 사내 메신저를 통해 “이번 결과로 인해 모두가 실망했겠지만 최선의 이익을 위해 우리가 정해 놓은 프로세스를 계속 다를 필요가 있다”고 내부 직원들을 독려했다. 가상자산 시장은 작년 11월부터 크립토 윈터를
[더구루=홍성일 기자]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지갑 메타마스크 개발사 컨센시스(ConsenSys)가 이더리움 지분증명 전환을 기념한 NFT(대체불가토큰)을 출시한다. 6일 블록체인 업계에 따르면 콘센시스는 이더리움 지분증명 전환을 기념해 '리제네시스(Regenesis) NFT 컬렉션을 출시한다. 리제네시스 NFT는 이더리움의 지분증명 전환 예정일인 14일 발행된다. 리제네시스 NFT는 콘센시스와 인비저블 노스가 제휴해서 제작했으며 일러스트레이터인 크리스 스키너가 디자인했고 NFT 애니메이션은 키이스시티 그룹이 담당했다. 리제네시스 NFT는 약간의 가스비(수수료)만 제공하면 무료로 획득할 수 있으며 메타마스크와 같은 웹3 디지털 월렛을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 NFT 구매는 증명 전환 후 72시간동안 가능하다. 리제네시스 NFT가 기념하는 이더리움의 지분증명 전환은 '더 머지(The merge)'로 불리며 암호화폐 업계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더리움은 현재 작업증명(PoW)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작업증명은 하드웨어인 컴퓨터를 이용해 연산, 채굴을 진행하고 작업을 한 만큼 코인을 가져가는 방식을 말한다. 이더리움 외에도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더구루=홍성환 기자] 블록체인 기술기업 폴리곤이 소프트뱅크, 세쿼이아캐피탈 등으로부터 5400억원을 조달했다. 폴리곤 생태계 확장이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폴리곤은 세쿼이아캐피탈이 주관한 최신 자금조달에서 4억5000만 달러(약 5400억원)를 유치했다. 이번 파이낸싱에는 소프트뱅크 비전펀드2를 비롯해 타이거글로벌, 갤럭시디지털, 리퍼블릭캐피탈, 세븐세븐식스 등 40여개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폴리곤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레이어2 플랫폼이다.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17년 출범했다. 이더리움의 대체제를 넘어 독립적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플랫폼을 통해 △탈중앙화 금융(DeFi) △웹3.0 △메타버스 등 프로젝트와 관련해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확장할 수 있다. 현재 폴리곤 기반 애플리케이션은 7000개에 달한다. 2020년까지만 해도 30개에 그쳤는데 2년새 급성장했다. 폴리곤은 이번 유치한 자금 가운데 1억 달러를 생태계 펀드에 투자하고, 허메즈·제로·나이트폴 등 확장성 강화 제품에 1년에 각 1억 달러씩 투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웹3 클라우드 서비스와
[더구루=홍성환 기자] 스웨덴 정부가 유럽연합(EU)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채굴 금지를 촉구했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스웨덴 금융감독청과 환경보호청은 이달 초 각 기관장 명의 공동성명을 통해 "암화화폐 자산은 소비자 위험이 상당하고 일반적으로 범죄 목적으로 사용된다"면서 "더욱이 암호화폐 채굴은 온실가스를 대량으로 배출해 기후에 심각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이는 중국 정부의 전면 암호화폐 채굴 금지로 채굴기업들이 친환경 에너지가 풍부하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북유럽으로 이동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두 기관은 "스웨덴은 가장 저렴한 에너지원인 수력·풍력 발전 비중이 급증하면서 암호화폐 채굴장의 타깃이 되고 있다"면서 "실제로 지난 4~8월 스웨덴에서 비트코인 채굴을 위한 전력 소비가 수백 퍼센트 증가했고 사용량은 스웨덴 20만 가구 사용량과 맞먹는 연간 1TWh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암호화폐 채굴을 허용한다는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재생 에너지가 필요한 기후 변화를 처리하기 충분하지 않을 위험이 있다"고 강조했다. 두 기관은 "EU는 에너지 집약적인 채굴 방식 작업 증명에 대한 EU
[더구루=최영희 기자] 비트코인 채굴회사 프라임블록(PrimeBlock)이 특수 목적 인수 회사(SPAC)를 통해 미국에서 IPO를 추진한다. 22일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프라임블록은 쉘 회사와의 합병을 통해 상장을 상장을 추진한다. 예상 시장 가치는 15억 달러다. 파라임블록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채굴을 위한 2600개 이상의 채굴 장비를 갖추고 있다. 최근 이 회사는 골드만삭스의 베테랑 거라브 버드라니(Gaurav Budhrani)를 회사의 CEO로 임명했다. 버드라니는 골드만삭스에서 10년 이상을 보냈으며 골드만삭스가 이끄는 코인베이스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980억 달러의 직상장을 포함해 암호화폐 투자 은행 업무를 담당하는 직책을 맡은 바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프랑스 1위 통신사인 오렌지(Orange)가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 오렌지는 공격 감지와 함께 즉각 대응에 나섰으며 데이터 유출은 없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이버 공격이 중국 기반 해커 그룹의 소행일수도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오렌지는 성명을 통해 "25일(현지시간) 자사 정보 시스템 중 하나에 대한 사이버공격을 감지했다"며 "공격이 식별되자마자 오렌지 사이버디펜스와 협력해 해당 시스템과 연계된 서비스를 격리하는 등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오렌지는 즉각적인 대처 이후 프랑스 당국에 이같은 사실을 통보했다. 유럽연합(EU) 내 통신사는 일반 데이터 보호 규정(GDPR)을 적용받아, 사이버 공격 등이 감지되면 3일 이내에 소재한 국가의 데이터 보호 당국에 신고해야한다. 이번 사이버 공격으로 데이터 유출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오렌지는 "내부 또는 고객 데이터가 유출됐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오렌지는 보안상의 이유를 들어 더 이상의 세부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오렌지가 격리한 서비스는 기업용 관리 서비스와 플랫폼 등 프랑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일부 서비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 연구진이 양자컴퓨터의 핵심인 큐비트(qubit)를 안정적으로 더 오래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향후 수백, 수천개 큐비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다가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핀란드 알토대학교 연구팀은 트랜스몬(transmon) 큐비트의 결맞음 시간(coherence time) 1.02밀리초(ms)를 기록했다. 알토대 연구팀의 기록은 기존 최고 기록(0.6ms)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결과다. 트랜스몬 큐비트는 기존 반도체 제조 기술을 활용해 만든 초전도 회로를 말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7월호에 게재됐다. 알토대 연구팀은 그동안 큐비트의 결맞은 시간을 더욱 장시간 유지하는데 집중해왔다. 결맞음 시간은 양자컴퓨터의 연산 단위인 큐비트가 양자 상태를 유지하며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으로, 결맞음 시간이 길수록 양자 연산 오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 뿐 아니라 더 많은 큐비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큐비트의 양자중첩 상태가 붕괴되는 '결어긋남(decoherenc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제된 클린룸에서 큐비트를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