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광산 회사 '캐나다 니켈'이 니켈 광산 개발 사업의 기본설계(FEED)에 착수했다. 내년 가공 시설 투자를 확정해 건설에 나서고 오는 2027년 말부터 니켈을 본격 생산한다. 캐나다 니켈에 투자한 삼성SDI는 캐나다산 니켈을 적기에 확보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응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캐나다 니켈은 크로포드 프로젝트의 FEED를 시작한다. 이를 위해 아우센코 엔지니어링 캐나다(Ausenco Engineering Canada ULC)를 파트너로 선임했다. 올해 겨울까지 지질 조사로 얻은 데이터를 토대로 FEED를 수행하고 오는 8월 완료할 예정이다. 캐나다 니켈은 내년 중반까지 가공 공장 건설을 결정하고 2027년 말 생산을 시작한다. 마크 셀비 캐나다 니켈 최고경영자(CEO)는 "크로포드의 자금 조달과 허가 활동을 성공적으로 발전시키면서 프로젝트 개발의 다음 단계로 자신 있게 나아가고 있다"며 "2027년 말 첫 생산 목표를 지키겠다"고 밝혔다. 크로포드 프로젝트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니켈 광산 개발 사업이다. 캐나다 니켈은 온타리오주 동부 팀민스시 인근에서 니켈 광산을 개발하고 있다. 작년 10월 발표한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SDI가 캐나다니켈(Canada Nickel Co) 지분을 성공적으로 인수했다. 세계 2위 니켈 매장지인 온타리오주 광산에서 채굴한 니켈을 확보해 배터리 광물 수급을 안정화한다. 캐나다니켈은 삼성SDI가 지분 투자를 완료하며 1850만 달러(약 250억원)를 조달했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다. 삼성SDI는 주당 1.57캐나다달러(약 1500원)에 총 1660만주를 취득했다. 보유 지분은 8.7%다. 삼성SDI는 올해 초 캐나다니켈과 지분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캐나다 증권거래소의 허가를 거쳐 지분 인수를 완료하며 니켈 공급망을 강화했다. 캐나다니켈은 2019년 설립됐다. 온타리오주 티민스에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니켈 매장지를 개발하는 크로포드 프로젝트 지분을 100% 보유하고 있다. 광산 개발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해 탄소 중립 니켈(NetZero Nickel™)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삼성SDI는 지분 투자를 통해 크로포드에서 생산한 니켈의 10%를 1억50만 달러(약 1300억원)에 확보할 권리를 갖게 됐다. 필요시 가격 협의를 거쳐 15년간 크로포드 니켈 생산량의 20%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 니켈은 배터리 에너지밀
[더구루=김예지 기자] BMW가 전기차(EV) 전환에 발맞춰 핵심 원자재 공급망 안정화와 순환경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BMW 그룹 호주 법인이 현지 배터리 재활용 선도기업 에코뱃(EcoBatt)과 손잡고 EV 폐배터리 재활용 프로그램을 공식 출범했다. 특히 에코뱃의 시설은 배터리가 기기에 내장된 상태 그대로 파쇄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첨단 기술이 적용돼 주목받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만 TSMC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첨단 공정 가격을 내년부터 최대 10% 올릴 것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인공지능(AI) 수요 급증과 미세 공정 병목이 맞물려 공급 단가 상승이 불가피해지는 가운데, 이번 인상이 삼성전자를 비롯한 글로벌 반도체 업계 전반의 가격 구조 재편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