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기업 ㈜클래시스가 지난 2022년 매출과 이익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또 한 번의 연간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고 15일 밝혔다. 클래시스의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2년 연간 매출액은 1418억원으로 전년 대비 4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689억원으로 전년 대비 3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률은 48.6%로 고수익을 유지하고 있다.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기존 사옥 매각에 따른 영업외수익이 발생하면서 전년 대비 72% 증가한 754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이익률은 53.2% 수준이다. 높은 매출 성장에 가장 큰 공을 기여한 품목은 신제품 ‘슈링크 유니버스(해외 모델명: ULTRAFORMER MPT)’다. 2022년 1월 200대 판매라는 미용 의료기기 업계 신기록을 세운 데 이어 1년간 누적판매대수가 1100대를 돌파하며 명실상부 국내 최고 리프팅 미용 의료기기 자리에 등극했다. 브라질에서는 슈링크 유니버스의 판매 허가를 기대보다 빠르게 획득하며 약 4개월 만에 누적 판매대수 250대를 돌파할 정도로 빠르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여기에 슈링크 유니버스를 판매 중인 일본,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에서도 긍정적인
[더구루=최영희 기자] 피부 리프팅 장비 슈링크 제조사 클래시스가 코스메틱 브랜드 스케덤을 통해 신제품 3종을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5월 출시된 스케덤 신제품 3종은 고객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스케덤의 기술력 및 노하우를 결합하여 출시된 제품이다. 먼저 스케덤 UV쉴드 골프 패치는 자외선 차단 기능과 더불어 눈가 주름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제품이다. 뛰어난 접착력으로 골프 라운딩, 등산 등 야외 활동을 할 때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포어 클린 율무 머드 마스크는 머드팩을 마스크팩 방식으로 구현하여 사용감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제품이다. 머드팩의 수축 기능이 모공 청소 및 모공 타이트닝을 동시에 도와주며 율무와 청정지역 남해안 머드 성분이 피부 톤을 맑게 개선해준다. 마지막으로 핑크 블래미쉬 카밍 패드는 초대형 토너 패드로 노폐물 흡착, 모공 타이트닝, 수분 충전 기능 및 2 in 1 양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피부에도 안심인 비건 인증 안심 패드이며 스케덤 토너패드 한 장으로 얼굴 전체의 커버가 가능하다. 미용의료기기를 주력으로 하는 클래시스는 B2B 전문 유통망에서 B2C 유통망으로 확대하기 위한 일반 소비자용 브랜드 '스케덤' 브랜드를
[더구루=최영희 기자] 글로벌 미용의료기기 기업 클래시스가 올해 1분기에 연결 기준으로 매출액 354억원, 영업이익 167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0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6%, 53% 늘어난 금액으로 분기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경신했다. 클래시스 관계자는 “국내 신제품 슈링크 유니버스의 성공적인 런칭과 빠른 시장 침투로높은 매출 성장을 보였다”라면서 “해외에서는 기존 주력 장비인 울트라포머3(Ultraformer III)의 누적 판매대수가 증가하면서 브라질 등에서는 대중화가 시작되며 소모품 교체가 빨라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브랜드별로 클래시스 매출은 2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3% 증가했다. 국내 매출이 전년 동기 29억원에서 118억원으로 4배 이상 증가했으며 수출은 8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늘었다. 같은 기간 클루덤(미용기기) 및 스케덤(코스메틱) 매출은 각각 12%, 168% 증가했고 소모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다만 영업이익률은 47%로 전년 동기 대비 4%p 하락했다. 이는 신제품인 장비 판매 비중이 높아진 가운데, 원자재가 상승이 지속된 영향이다. 또한 장비 판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차세대 증강현실(AR) 글래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중국에서도 AR 글래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공지능(AI)와 양자컴퓨터 등에 이어 '미중 기술 전쟁'의 전선이 AR글래스로 확대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AR글래스 제조업체 로키드(Rokid)는 3분기 중 49그램(g) 초경량 AR글래스를 출시한다. 로키드는 "새로운 AR글래스가 가벼운 무게와 함께 인공지능(AI) 기능 탑재하고 있다"며 "아이웨어 기업인 '볼론'과 협력해 일상생활에서도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로키드 AR 글래스에는 퀄컴의 AR 전용 칩인 '스냅드래곤 AR1'이 탑재됐다. 또한 자체 개발한 '도파관(웨이브가이드)' 기술이 적용됐다. 도파관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나온 빛의 회절과 반사를 활용해 사용자가 보는 글래스에 영상을 투사하는 기술로, AR 글래스의 무게를 가볍게 만들 수 있는 핵심기술이다. 또한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 등을 연동한 강력한 AI 기능도 탑재됐다. 로키드는 해당 AR 글래스가 사물인식은 물론 번역, 실시간 내비게이션, 알람 등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슬라가 2년 전 출원한 특허가 시장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전기차 핵심 부품인 전자모터에 희토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담고 있어서다. 중국의 희토류 통제로 공급망 리스크가 커지며 테슬라처럼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려는 완성차 업계의 움직임이 거세질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wccftech'는 최근 테슬라의 특허가 중국 희토류 수출 통제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특허는 '선택적 보자력 조절을 위한 슬릿형 자석 및 그 방법(Slitted magnet for selective coercivity, and methods thereof)'이라는 이름으로 지난 2023년 10월 31일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출원됐다. 영구자석에 작은 구멍을 정밀하게 뚫어 특정한 첨가물을 주입하고, 자기력과 반응 속도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담고 있다. 그동안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네오디뮴계 영구자석과 같은 희토류 금속이 필수적이었다. 네오디뮴계 자석은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영구자석으로 알려졌다. 성능이 좋은 만큼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