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모빌리티 플랫폼 ‘타다’ 운영사 브이씨엔씨는 ‘타다 넥스트’와 함께 할 2기 드라이버 모집을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타다는 지난달 진행한 1기 드라이버 모집이 성황리에 마감됨에 따라, 2기 드라이버를 빠르게 모집한다는 계획이다. 대형차량 이동 서비스인 ‘타다 넥스트’는 택시 면허를 보유한 드라이버의 7인승 이상 차량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호출 중개 서비스(타입3)다. 현대자동차의 ‘스타리아’ 등 모빌리티 서비스에 최적화된 모델을 활용한다. 2기 드라이버에게도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우선, 최대 1,000만 원의 홍보비가 일시 지급되며, 일정 운행 조건을 충족 시, 12개월 동안 매월 50만 원의 활동비가 지급된다. 또한, 계약 기간 동안 플랫폼 수수료 50% 할인 혜택을 매월 제공한다. 아울러, 1기와 동일하게 현재 ‘타다 라이트’ 혹은 ‘타다 플러스’를 운행 중인 드라이버가 ‘타다 넥스트’로 전환할 경우, 타다 서비스 참여 기간에 따라 최대 200만 원을 추가 지급한다. 드라이버 신청 자격은 ▲ 서울 개인택시 면허를 보유하고 ▲ 행정처분 이력이 없으며 ▲ 5년 무사고 경력의 중형 개인 택시 사업자이거나, 1년 무사고 경력의 대형
[더구루=최영희 기자] 새로운 이동 경험을 제시할 타다의 신규 서비스가 12월 초 본격 출시한다. 모빌리티 플랫폼 ‘타다’ 운영사 브이씨엔씨(VCNC, ‘타다’)는 출범을 앞둔 신규 서비스 ‘타다 넥스트’에 참여할 드라이버를 사전 모집한다고 20일 밝혔다. ‘타다 넥스트’는 택시 면허를 보유한 드라이버의 7인승 이상 대형 차량을 기반으로 한 호출 중개 서비스(타입3)로, ‘타다 베이직’이 선보인 혁신적인 이동 경험을 뛰어넘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타다는 별도 주문을 통해 현대자동차의 ‘스타리아’ 트림 중 모빌리티 서비스용 모델을 확보했으며, 현재 모집 중인 1기 드라이버는 해당 차량을 통해 ‘타다 넥스트’ 서비스에 참여하게 된다. 드라이버 지원 자격은 ▲ 서울 개인택시 면허를 보유하고 ▲ 행정처분 이력이 없으며 ▲ 5년 무사고 경력의 개인 택시 사업자로,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1기로 선정된 드라이버에게는 최대 4,100만 원이 지급된다. 우선, 타다 서비스 홍보비 1,500만 원이 일시 지급되며, 일정 운행 조건을 충족 시, 12개월 동안 매월 최대 200만 원의 활동비를 제공한다. 또한, 현재 ‘타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승차공유 기업 우버(Uber)의 화물운송 사업 부문인 '우버 프레이트(Uber Freight)'의 최고경영자(CEO)가 자율주행 트럭 스타트업 와비(Waabi)에 합류했다. 와비는 업계 베테랑 영입을 토대로 올해 말 자율주행 트럭 상용화에 나설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리오르 론(Lior Ron) 우버 프레이트 CEO가 와비의 최고운영책임자(COO)에 임명됐다. 우버 프레이트 후임 CEO는 테슬라 슈퍼차징 팀을 총괄하다 지난해 8월 우버에 영입된 레베카 티누치(Rebecca Tinucci)가 맡게 됐다. 리오르 론은 우버 프레이트 이사회 의장직은 유지한다. 리오르 론은 과거 이스라엘 군 정보부에서 근무했으며 야후를 거쳐 구글, 모토로라를 거쳐 2016년에는 자율주행 트럭 스타트업 오토(OTTO)를 공동창업했다. 오토는 설립 8개월여만에 우버에 인수되며 현재의 우버 프레이트가 됐다. 리오르 론은 이후 우버 프레이트를 이끌면 자율주행 트럭 기술 연구를 진두지휘해왔다. 리오르 론을 영입한 와비는 2021년 라켈 우르타순(Raquel Urtasun)이 설립한 자율주행 트럭 기술 개발 스타트업이다. 와비는 인공지능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테레스트리얼 에너지(Terrestrial Energy)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첨단 원자력 발전 시범 프로그램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 회사와 협력 중인 DL이앤씨의 수혜가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에너지부(DOE)는 1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신규 원전 시범 프로그램을 공식 출범시키며 11개 사업자를 선정했다. 선정된 기업은 △알로 아토믹스(Aalo Atomics) △안타레스 뉴클리어(Antares Nuclear) △아토믹 알케미(Atomic Alchemy) △딥퓨전(Deep Fission) △라스트에너지(Last Energy) △오클로(Oklo) △나투라 리소시스(Natura Resources) △래디언트 인더스트리스(Radiant Industries) △테레스트리얼(Terrestrial Energy) △발라르 아토믹스(Valar Atomics) 등이다. 에너지부는 이들 11개 기업과 협력해 내년 7월까지 최소 3개의 시험용 원자로를 건설·운영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원전 테스트 절차를 간소화하고, 상업 인허가를 신속하게 추진하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테레스트리얼은 2012년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