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 회사와 합병을 추진 중인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가 증권법 위반 혐의와 관련해 미국 증권당국과 합의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합병이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나스닥에 상장된 스팩인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증권법 위반 혐의에 대해 잠정적으로 합의했다고 5일 밝혔다. 이에 DWAC는 1800만 달러(약 230억원)의 벌금을 낼 예정이다. DWAC는 앞서 지난 2021년 10월 트럼프가 설립한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TMTG)과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이후 증권법 위반 혐의 등이 불거지면서 2년 가깝게 지연되고 있다. 양사가 합병 계약을 체결하기 전인 2021년 3월부터 논의를 시작했다는 의혹을 제기됐다. 미국 증권법은 스팩이 증시에 상장하기 전 합병 파트너 간 논의를 금지하고 있다. DWAC는 그해 9월 말 상장했다.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관련 의혹을 조사 중이다. TMTG는 지난해 2월 소셜미디어(SNS) 서비스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출시했다. 이는 작년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 회사와 합병을 추진 중인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가 나스닥 상장폐지 조치에 항소한다. [유료기사코드] 나스닥에 상장된 스팩인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은 1일(현지시간) "나스닥 상장폐지 통지에 대해 항소하기로 결정했다"며 "일부 미납한 수수료를 지불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DWAC는 트럼프가 설립한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TMTG)과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지난 2021년 10월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증권법 위반 혐의 등이 불거지면서 1년 반째 합병이 지연되는 상황이다. 양사는 합병 계약을 체결하기 전인 2021년 3월부터 논의를 시작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미국 증권법은 스팩이 증시에 상장하기 전 합병 파트너 간 논의를 금지하고 있다. DWAC는 같은 해 9월 말 상장했다.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관련 의혹을 조사 중이다. TMTG는 작년 2월 소셜미디어(SNS) 서비스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출시했다. 이는 작년 1월 트럼프가 지지자들의 미 의회 폭동 사건 후 트위터와 페이스북으로부터 퇴출당한 데 따른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증권당국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 회사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간 합병 거래에 대해 조사를 확대하고 있다. 이에 합병 무산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스팩인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은 13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TMTG)과 거래와 관련해 더 많은 정보를 요청했다"며 "이로 인해 거래가 지연될 수 있다"고 밝혔다. SEC는 DWAC와 TMTG이 사전 합의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작년 말 조사를 시작했다. 양사는 작년 10월 합병 계약을 체결했는데, 이에 앞서 3월부터 이미 논의를 시작했다는 주장이 일각에서 나왔다. 미국 증권법은 스팩이 증시에 상장하기 전 합병 파트너 간 논의를 금지하고 있다. DWAC는 지난해 9월 말 상장했다. TMTG는 지난 2월 소셜미디어(SNS) 서비스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출시했다. 이는 작년 1월 트럼프가 지지자들의 미 의회 폭동 사건 후 트위터와 페이스북으로부터 퇴출당한 데 따른 것이다. 퇴출 당시 트럼프는 트위터 팔로워 8900만명, 페이스북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인 '트루스 소셜(Truth Social)'과 합병을 추진 중인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가 올해 하반기 상장을 완료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스팩인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에서 기존 투자자들의 보유한 최대 1억주를 상장지분 사모투자(PIPE)를 통해 재판매할 계획이라하고 공개했다. 트루스 소셜 운영사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TMTG)과 디지털월드애퀴지션은 앞서 작년 10월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 트럼프는 지난해 1월 지지자들의 미 의회 폭동 사건 후 트위터와 페이스북으로부터 퇴출당했다. 퇴출 당시 트럼프는 트위터 팔로워 8900만명, 페이스북 팔로워 3500만명에 달했다. 한편, SEC는 작년 말 두 회사의 합병과 관련해 규정 위반 조사를 시작했다. 합병 소식이 알려진 직후 두 회사가 지난해 3월부터 합병을 논의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미국 증권법은 스팩이 증시에 상장하기 전 합병 파트너 간 논의를 금지하고 있다. DWAC는 9월 말 상장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 합병을 추진 중인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설립한 소셜 미디어(SNS) 플랫폼이 실제 매출 없이도 기업가치가 최대 13조원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척 존스 포브스 칼럼니스트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최근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이 공개한 투자 안내서를 보면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TMTG)은 기업공개(IPO)를 통해 10억 달러(약 1조1900억원)의 상장지분 사모투자(PIPE)를 유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실제 IPO에 성공하면 발행 주식은 현재 3720만주에서 최대 2억2500만주까지 늘어난다"면서 "지난달 29일 종가(51.91달러) 기준 DWAC와 TMTG의 가치는 19억 달러(약 2조2600억원) 수준인데 발행 주식이 2억2500만주로 늘면 시가총액은 117억 달러(약 13조9200억원)까지 치솟게 된다"고 분석했다. 존스는 "TMTG는 수익 창출 첫해인 2023년 매출 1억1400만 달러(약 1400억원)에서 2026년 37억 달러(약 4조4000억원)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한다"면서 "다만 이러한 전망은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설립한 소셜 미디어(SNS) 플랫폼 회사와 합병을 추진 중인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가 사기 혐의로 소송을 당했다. 최근 스팩 합병 규정 위반 의혹에 대한 미국 규제당국의 조사가 시작된 데 이어 악재가 겹쳤다. [유료기사코드]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브라이언 셰블랜드 블루스톤캐피탈매니지먼트 최고경영자(CEO)는 패트릭 올랜도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 CEO를 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셰블랜드는 자신이 트럼프미디어앤드테크놀로지그룹(TMTG)와 DWAC 간 합병 계약을 성사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에도 올랜도가 애초 합의를 위반해 그를 합병기업의 이사 자리에서 제외했고 주식도 사취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지난 10월 TMTG와 DWAC를 합병하고 자체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출범시킬 것이란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트럼프는 지난 1월 6일 지지자들의 미 의회 폭동 사건 후 트위터와 페이스북으로부터 퇴출당했다. 퇴출 당시 트럼프는 트위터 팔로워 8900만명, 페이스북 팔로워 3500만명에 달했다. 한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두 회사의 합병과 관련해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테레스트리얼 에너지(Terrestrial Energy)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첨단 원자력 발전 시범 프로그램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 회사와 협력 중인 DL이앤씨의 수혜가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에너지부(DOE)는 1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신규 원전 시범 프로그램을 공식 출범시키며 11개 사업자를 선정했다. 선정된 기업은 △알로 아토믹스(Aalo Atomics) △안타레스 뉴클리어(Antares Nuclear) △아토믹 알케미(Atomic Alchemy) △딥퓨전(Deep Fission) △라스트에너지(Last Energy) △오클로(Oklo) △나투라 리소시스(Natura Resources) △래디언트 인더스트리스(Radiant Industries) △테레스트리얼(Terrestrial Energy) △발라르 아토믹스(Valar Atomics) 등이다. 에너지부는 이들 11개 기업과 협력해 내년 7월까지 최소 3개의 시험용 원자로를 건설·운영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원전 테스트 절차를 간소화하고, 상업 인허가를 신속하게 추진하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테레스트리얼은 2012년 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이 주력 거대언어모델(LLM)의 '100만 컨텍스트 토큰' 지원을 시작했다. 구글에 이어 앤트로픽까지 '장문(Long Context)' 처리 기술을 선보이면서, AI업계의 새로운 경쟁 포인트로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앤트로픽은 12일(현지시간) 클로드 소네트4(Claude Sonnet 4)에서 최대 100만 개의 컨텍스트 토큰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LLM에는 컨텍스트 창 혹은 컨텍스트 길이라는 개념이 있다. 해당 개념은 LLM이 한 번에 고려하거나 기억할 수 있는 토큰 단위 텍스트의 양을 말한다. 이에 컨텍스트 창이 클수록 AI모델은 더 긴 질문을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더 많은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번 업데이트 전까지 클로드 소네트 4의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는 최대 20만 토큰까지만 지원했다. 하지만 업데이트로 100만 개 컨텍스트 토큰을 지원하게 되면서 이용자는 최대 7만5000줄에 달하는 코드베이스를 단일 프롬프트로 입력해 처리할 수 있게 됐다. 확장된 컨텍스트 토큰 기능은 현재 앤트로픽 API와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에서 공개 베타 버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