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의료미용 산업이 세계 2위 시장으로 급성장한 가운데 보톡스 시장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현지에서 우리나라 보톡스 제품 수요가 높은 편으로 국내 기업의 진출이 기대된다. 4일 코트라 중국 상하이무역관의 '중국 의료미용용 보톡스(보툴리눔 톡신) 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보톡스 시장 규모는 2017년 19억 위안에서 2021년 46억 위안으로 성장했다. 이 기간 연평균 복합성장률은 25.6%였다. 보톡스 주사 수는 같은 기간 170만건에서 450만건으로 증가, 연평균 복합성장률 27.4%를 기록했다. 중국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면서 보톡스 소비는 앞으로 빠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보톡스 제품은 일반적으로 평균 효과 지속 기간이 약 4개월로 재구매율이 높고(1년에 보통 2~3회 필요) 다른 관련 제품과 묶음으로 판매하기가 용이해 고객 기반을 확대할 때 유용한 제품이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중국 보톡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약 20개의 A형 보톡스 제품이 상장 판매를 승인받았다. 2020년 중국 비수술 항목 가운데 주사류 시장 매출은 의료미용 시장의 57.4%를 차지했다. 히알루론산 매출은 66.6%
[더구루=한아름 기자] GS그룹이 신사업인 바이오에 드라이브를 건다. 지난해 보툴리눔 톡신 업체 휴젤을 인수하며 바이오 사업에 첫 발을 내딛 이후 신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어서다. 바이오벤처와 협업해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됐다. 추후 보툴리눔 톡신 사업을 확장할 때 필러를 통한 상승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모습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GS는 종합상사 계열사 GS글로벌을 통해 국내 바이오벤처 덱스레보(DEXLEVO)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글로벌 필러 시장 개척에 나섰다. 터키 시장을 첫 격전지로 선정한 데 이어 유럽·중화권으로 시장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GS글로벌과 덱스레보는 최근 터키 지역에서 1000만 달러(약 127억원) 규모의 액상형 고분자 필러(PCL 주사) 고우리(GOURI)의 유통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휴젤은 지난해 7월부터 덱스레보의 액상형 고분자 필러 국내 독점 판매 권한을 확보하는 등 사업 확대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덱스레보는 지난 2013년 설립된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 의료기기 전문회사다. 지난해 5월 유럽 인증(CE)을 받아 수출길을 열었다. 고우리는 액상형 고분자 관련 고유 기술인 ‘CESAB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거대 국영기업인 화룬그룹(华润集团)이 휴젤의 중국 파트너사인 사환제약(四环医药)와 인수 논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화룬그룹은 사환제약과 비공개로 인수를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화룬그룹은 사환제약 인수를 위해 30억 달러(약 3조8370억원)를 투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체펑성(Dr. Che Fengsheng) 사환제약 그룹 회장은 화룬그룹에 주당 2.5홍콩달러에 매각할 수 있다고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가격은 지난 3개월간 사환제약 주가에 60% 이상 프리미엄이 붙은 가격이다. 비공개 인수 논의가 진행 중이라는 사실이 전해지고나서 두 회사는 관련 사안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는 상황으로 관계자 간의 지분율 등 자세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화룬그룹이 사환제약 인수에 나선 것은 중국 의료미용 사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중국의 의료미용 시장은 2023년에는 3120억 위안(약 59조원) 규로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사환제약은 휴젤의 보톡스, 필러 등의 제품을 유통하며 중국 의료미용 사업에서 빠르게 보폭을 넓혀가고 있는 사환
[더구루=최영희 기자] 글로벌 토탈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 휴젤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1일 오전 9시 28분 기준 휴젤 주가는 전일보다 12.01% 급락한 12만 2400원을 기록 중이다. 거래량도 이미 전일보다 3배 이상 급증했다. 이날 주가 하락은 메디톡스가 휴젤이 자사 균주 및 제조공정을 도용했다며 휴젤·휴젤아메리카·크로마파마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제소해서다. 크로마파마는 휴젤의 미국과 유럽 사업 파트너사이며, 휴젤아메리카는 휴젤과 크로마파마가 함께 설립한 미국 자회사다. 메디톡스는 소장에 "휴젤이 자사 보툴리눔 균주와 제조공정 등 영업비밀을 도용해 보툴리눔 톡신 제제를 개발 및 생산했으며, 해당 의약품을 미국에 수출하려 한다"고 적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중국향 통합마케팅 솔루션 기업 아이콘차이나가 최근 104억 원의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아이콘차이나는 국내 기업들이 중국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브랜딩부터 마케팅, 세일즈 등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중국 통합마케팅 솔루션 기업이다. 앞서 아이콘차이나는 시시각각 빠르게 변화하는 중국 시장의 흐름을 명확히 분석하고 그에 최적화된 브랜딩과 커뮤니케이션 전략, 세일즈 방안 등을 제시, 현재까지 10여개의 국내 기업들을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시켰다. 이번 투자에는 휴젤 창업자 홍성범 원장 등 2명이 참여했으며 이번 투자로 홍성범 원장은 아이콘차이나의 2대 주주가 되었다. 2007년 설립 이후 아이콘차이나가 이뤄낸 국내 기업의 성공적인 중국 진출 사례를 고려, 향후에도 이 같은 성공모델을 이끌어 낼 기업이라는 판단에서 이뤄진 투자다. 아이콘차이나는 이번 투자를 기반으로 중국향 쇼트클립 커머스 사업과 중국 소비자 데이터 기반의 상품 개발에 집중할 방침이다.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 더우인(Douyin, 중국 틱톡) 등 SNS와 커머스의 연동성이 깊어진 중국 현실을 반영해 중국 시장에 최적
[더구루=길소연 기자] 휴젤 중국 파트너사인 사환제약(四环医药)이 미국 제네시스 바이오시스템즈를 인수, 메디컬 에스테틱 제품 라인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사환제약 자회사 야오중 인터내셔널(Yaozhong International)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 제네시스 바이오시스템즈(Genesis Biosystem)와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야오중 인터내셔널이 제네시스의 모든 지분을 인수하기로 했다. 이번 인수로 사환제약은 메디컬 에스테틱 제품 라인을 더욱 확장하고, 비수술과 외과 메디컬 에스테틱 분야에서 그룹의 전체 레이아웃을 통합한다. 특히 제품 에이전시에서 통합 플랫폼 기반으로 그룹의 메디컬 에스테틱 비즈니스 발전을 더욱 가속화한다. 2001년에 설립된 제네시스는 고품질의 에스테틱과 바이오메디컬 제품을 제조한다. 주로 미용기기 개발, 제조, 유통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또 피부 미용 관리와 성형수술을 위한 마이크로 채널 시스템, 지방채취 제품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제네시스의 마이크로 채널 시스템 제품으로는 △더마 제네시스® △더마셀® △더마프락® 제품이 있다. 이들 제품들은 미세 흡입을 통해 피부 모공을 고르게 만들어준다. 작은 상처를 줘
[더구루=최영희 기자] 휴젤이 폭락하며 올해 최저가를 갈아치우고 있다. 10일 오전 9시 19분 현재 휴젤 주가는 전일보다 25.63% 하락한 13만 5500원을 기록 중이다. 이날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휴젤주식회사와 파마리서치바이오 2개 업체가 국가출하승인을 받지 않고 보툴리눔제제 6개 품목을 국내에 판매한 사실을 위해사범중앙조사단에서 적발하고, 해당 품목에 대한 품목허가 취소 등 행정처분과 회수·폐기 절차를 착수했다고 밝혔다. 국가출하승인 의약품은 보건위생상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생물학적 제제의 안전성과 유효성 확보를 위해 국내에 판매하기 전에 식약처장의 제조·품질관리에 관한 자료 검토 및 시험검정 등을 거쳐 제조단위별로 출하승인을 받아야 한다. 위반 품목은 △㈜파마리서치바이오 리엔톡스주100단위, 리엔톡스주200단위 △휴젤주식회사 보툴렉스주, 보툴렉스주50단위, 보툴렉스주150단위, 보툴렉스주200단위다. 특히 ㈜파마리서치바이오 2개 제품은 수출 전용 의약품으로 국내 판매용 허가 없이 판매한 것이 적발돼 전(全)제조업무정지 6개월 처분도 받게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차세대 증강현실(AR) 글래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중국에서도 AR 글래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공지능(AI)와 양자컴퓨터 등에 이어 '미중 기술 전쟁'의 전선이 AR글래스로 확대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AR글래스 제조업체 로키드(Rokid)는 3분기 중 49그램(g) 초경량 AR글래스를 출시한다. 로키드는 "새로운 AR글래스가 가벼운 무게와 함께 인공지능(AI) 기능 탑재하고 있다"며 "아이웨어 기업인 '볼론'과 협력해 일상생활에서도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로키드 AR 글래스에는 퀄컴의 AR 전용 칩인 '스냅드래곤 AR1'이 탑재됐다. 또한 자체 개발한 '도파관(웨이브가이드)' 기술이 적용됐다. 도파관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나온 빛의 회절과 반사를 활용해 사용자가 보는 글래스에 영상을 투사하는 기술로, AR 글래스의 무게를 가볍게 만들 수 있는 핵심기술이다. 또한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 등을 연동한 강력한 AI 기능도 탑재됐다. 로키드는 해당 AR 글래스가 사물인식은 물론 번역, 실시간 내비게이션, 알람 등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슬라가 2년 전 출원한 특허가 시장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전기차 핵심 부품인 전자모터에 희토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담고 있어서다. 중국의 희토류 통제로 공급망 리스크가 커지며 테슬라처럼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려는 완성차 업계의 움직임이 거세질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wccftech'는 최근 테슬라의 특허가 중국 희토류 수출 통제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특허는 '선택적 보자력 조절을 위한 슬릿형 자석 및 그 방법(Slitted magnet for selective coercivity, and methods thereof)'이라는 이름으로 지난 2023년 10월 31일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출원됐다. 영구자석에 작은 구멍을 정밀하게 뚫어 특정한 첨가물을 주입하고, 자기력과 반응 속도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담고 있다. 그동안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네오디뮴계 영구자석과 같은 희토류 금속이 필수적이었다. 네오디뮴계 자석은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영구자석으로 알려졌다. 성능이 좋은 만큼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