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자율주행 트럭기술 스타트업인 '엠바크 트럭스'가 글로벌 반도체기업 '엔비디아'와 손잡고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엠바크는 9일(현지시간) 자사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인 '유니버셜 인터페이스'와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엔비디아 드라이브 컴퓨팅 플랫폼을 통해 구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엠바크는 향후 엔비디아 드라이브 컴퓨팅 플랫폼 과 유니버셜 인터페이스, 드라이브 소프트웨어를 통합하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엠바크가 엔비디아와 손잡은 것은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강력하면서도 안전하고 유연한 컴퓨팅 플랫폼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특히 사람의 안전과 직결되기 때문에 컴퓨팅 플랫폼에는 높은 안전성은 물론 높은 연산 능력 등을 갖춰야 한다. 또한 다양한 운송업체가 존재하는 만큼 각 업체별로 원하는 자율주행 수준도 다양하고 차량도 다양하기 때문에 유연한 플랫폼이 요구된다. 엠바크는 4년간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에 협력해온 엔비디아의 플랫폼을 선택했다. 엔비디아의 드라이브 자율주행 차량 컴퓨팅 플랫폼은 복잡한 AI 알고리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연산을 위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레벨2+부터 레벨5 자율주행차까지 하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영국 ARM이 합병 작업을 성사시키고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중국의 승인을 받지 못하고 영국에서도 '현미경식 조사'를 추진해 무산 우려가 커진 가운데 합병 효과를 강조하며 신뢰 확보에 나섰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온라인으로 열린 '식스파이브 서밋'에서 "ARM과 엔비디아는 같은 시장에서 같은 일을 하지 않고 같은 방식으로 일하지도 않았다"라며 "ARM은 세계적인 중앙처리장치(CPU) 지적재산(IP) 회사고 엔비디아는 플랫폼 기술 회사로 주변 장치, 소프트웨어 스택 등을 다룬다"고 설명했다. 그는 "(합병이) 이러한 차이를 보완하고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며 "ARM 고객은 더 많은 IP에 접근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사이먼 시거스 ARM CEO도 "ARM은 엔비디아와 합병한 후에도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모바일을 넘어 네트워크 엣지에서 데이터센터에 이르는 새 시장에 더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명했다. 양사 CEO는 합병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강조하는 한편 수출 통제 우려에도 반박했다. ARM은 지금까지 '일본 회사가 소유한 영국계 반도체 기업'이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인도법인의 성공적 증시 데뷔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인도 IPO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메이커 토요타가 인도 자회사 기업공개를 추진, 최대 8억 달러 자금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현대차에 이어 토요타까지 가세하면서 인도가 새로운 글로벌 완성차 'IPO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오클로와 엑스에너지, 테레스트리얼 에너지 등 소형모듈원전(SMR) 기업을 첨단 핵연료 시범 사업자로 선정했다.